[전체] “대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86)
사전(146)
- 대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소저사의복(各色素紵紗衣服)과 대홍소저사겹대삼(大紅素紵紗裌大衫)‧복청소저겹원령(福靑素紵裌圓領)‧청소저사수적계하피(靑素紵紗繡翟雞霞帔) 등이었다. 1456년(세조 2)에 전래된 복식은 주취칠적관(珠翠七翟冠)과 대홍저사대삼(大紅紵絲大衫)‧청저사수권금적계배자(靑紵絲綉圈金...
- 대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춤사위의 호칭으로 세 박을 크게 움직이는 동작정의춤사위의 호칭으로 세 박을 크게 움직이는 동작 | 문광부표기daesam | MR표기taes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삼(大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삼 대삼 大衫 대례복(大禮服) 관복(冠服), 하피(霞帔)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국 조선 태종~선조 이민주 [정의] 중국에서 하사한 대홍색(大紅色) 저사(紵紗)로 만든 왕비의 관복...상위어대례복(大禮服) | 관련어관복(冠服), 하피(霞帔)
- 겹대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예복 포(袍). 조선 전기 왕비ㆍ왕세자빈의 법복(法服)인 적의(翟衣) 차림을 구성하는 복식 품목의 하나이다. 인조장렬후가례도감의궤仁祖壯烈后嘉禮都監儀軌에 보면 적의는 대삼ㆍ배자ㆍ단삼ㆍ말ㆍ군ㆍ하피ㆍ옥대ㆍ패옥ㆍ대대ㆍ규ㆍ적말ㆍ적석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중 대삼의 재료가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대삼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람에게 닥치는 세 가지 재해 중 화재(火災), 풍재(風災), 수재(水災)와 같이 국가나 공동체 사회에 끼치는 재앙.정의사람에게 닥치는 세 가지 재해 중 화재(火災), 풍재(風災), 수재(水災)와 같이 국가나 공동체 사회에 끼치는 재앙.[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aesamjae | MR표기taesamj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092)
- 葛帶三重說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nk_00055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二 喪禮_小斂 葛帶三重說 葛帶三重說 이익(李瀷, 1681~1763) 葛帶三重說 DRAC_2:1:12:11 按, 《喪禮備要》“絞帶”條云: “在腰絰之下, 通長八九尺, 卽三重四股也. 單糾爲一重, 兩股合爲一繩...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葛帶三重四股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ES_00038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續編終 答安順菴問目_喪禮 葛帶三重四股 葛帶三重四股 이익(李瀷, 1681~1763) DRAC_7:1:3:22Q 帶以多股爲重. 《周禮》“弁而 而: 《예설유편》에는 ‘師’로 되어 있다. 《周禮註疏》에 따라 바로잡...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對三閭問謝龜策不能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10 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ITKC_MP_0597A_1610_000_0900 對三閭問謝龜策不能知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혜산진 상류의 대삼림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3696 P-SDK-03696-P-A-12-12 P-SDK-03696-P-A-12-12-1 P-SDK-03696-P-A-12-12-2 혜산진 상류의 대삼림 惠山鎭上流の森林 혜산진 풍경 회엽서 봉투 있음. 12매 세트. 사제엽서 지리 ...자료명혜산진 상류의 대삼림 | 발행처惠山鎭杉山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1893년 대삼륜장병위(大三輪長兵衛) 진정서(陳情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청원서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청원서
구술자료(5)
- 안숙선 새타령 화초사거리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1949-09-05 여자 전라남도 남원시 산동면 대삼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숙선
-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대삼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숙선
- 안숙선 대담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전라남도 남원시 산동면 대삼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숙선
- 안숙선 춘향가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A-358B.mp3 mp3 이보형 안숙선 1949-09-05 여자 전라남도 남원시 산동면 대삼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숙선
- 판소리 송제 발표회 공연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mp3 A-173B.mp3 mp3 이보형 안숙선 1949-09-05 여자 전라남도 남원시 산동면 대삼리 한국학분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숙선
기초학문(1)
- 일제기 한국 신문을 통해 본 대삼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성해준, 게재일 : 200723293 성해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일본학회 2007 일제기 한국 신문을 통해 본 대삼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108)
- 農大叅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일에 안쥬방면에셔 경의텰도툥례식을 셜으로 졍부각대관을쳥요얏작일상오에 농상공부대신 권즁현씨만 부관료 긔인을 대동고 경의텰도로 디에젼왕얏다더라게재일1906년 4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大森文治(-)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大森文治(-) 부산 大森文治 - 大倉町4-25 - - 유리 - -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大森文治(-)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유리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大森文治(-)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大森文治(-) 부산 大森文治 - 大倉町4-25 - - 건축기구 - 275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大森文治(-)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건축기구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吉田喜代三(吉田喜代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吉田喜代三(吉田喜代三) 서울 吉田喜代三 吉田喜代三 漢江通 8-25 연료품 - 광물유(鑛油) 도소매 234.75 식료품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대표표제어吉田喜代三(吉田喜代三) | 지역서울 | 품목연료품 | 영업종목광물유(鑛油)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민세안재홍전집 : 朝鮮의 現段階와 新民族主義의 要請 (1)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799 1948 12 15 2 1 安民世 安在鴻 朝鮮의 現段階와 新民族主義의 要請 (1) 신문 한성일보 1면2단 논단 정치 직접자료 선집외 新民族主義, 共産主義反對三個條件 A19481215한성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34)
- 대삼헌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7231 남한 경성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1-13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일람 1941 79면 (학년)1학년 (학과)본과 대삼헌자 (본적)경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대삼정호;大森正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대삼정호;大森正浩 경상남도 울산 소화20년 3월23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대삼번이;大森繁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191 일본 彦根 彦根高等商業學校 彦根高等商業學校一覽 昭和17年~昭和18年(제20년도) 1943―03―25 151면 대삼번이;大森繁二 조선학교소재지역彦根 | 학교명彦根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대삼번이;大森繁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201 일본 彦根 彦根高等商業學校 彦根高等商業學校一覽 昭和18年~昭和19年(제21년도) 1943―10―25 162면 대삼번이;大森繁二 조선 제2회 1942년학교소재지역彦根 | 학교명彦根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대삼산덕;大森山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042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55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n. 1941년 3월 졸업 대삼산덕;大森山德 (본적)평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대삼 / 大衫 [생활/의생활]
삼(大紅素紵紗裌大衫)·복청소저겹원령(福靑素紵裌圓領)·청소저사수적계하피(靑素紵紗繡翟雞霞帔) 등이었다.
-
미시령 / 彌矢嶺 [지리/자연지리]
천을 지나 미시령 방면 46번 국도를 거쳐 한계리 삼거리를 지나 용대삼거리에서 우회전하면 미시령이 나온다. 미시령터널은 미시령 고갯마루를 통과하는 옛길의 300m 아래 땅 속을 지나며, 진출입 도로를 합친 전체 구간은 약 15.7㎞이다.
-
삼학도 / 三鶴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목포시 영해동에 있었던 섬. 무안동 남동쪽에 위치하며 면적은 1.12㎢이었고, 해안선 길이는 4.3㎞이었다. 연륙(連陸) 및 간척공사(1968∼1973)의 완공으로 현재는 내륙과 이어져 영해동의 일부가 되었다. 대삼학도·중삼학도·소삼학도로 구성되었으며 서로
-
낙성대 / 落星垈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있는 고려전기 무신 강감찬의 사당.시도유형문화재(낙성대삼층석탑).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강감찬의 출생지로서, 그가 출생할 때 별이 떨어졌다고 하여 낙성대라는 이름으로 전하여오고 있다.강감찬의 애국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