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사례” 에 대한 검색결과 1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6)

사전(5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않았다. 활쏘기는 육예(六藝)의 하나로 남자의 덕행을 수양하는 방법이며 심신을 단련하고 국가의 비상시를 대비하는 훈련 방법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사례에는 와 향사례(鄕射禮)의 두 가지가 있다. 주관하는 곳에 따라 임금이 주관하면 , 대부나 지방...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임금이 성균관에 행차하여 옛 성인에게 제향한 뒤에 활을 쏘던 의식
    정의임금이 성균관에 행차하여 옛 성인에게 제향한 뒤에 활을 쏘던 의식 | 문광부표기Daesarye | MR표기Taesar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사의(大射儀) 사우사단의(射于射壇儀) 왕실왕실의례/가례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 강문식 성균관(成均館) [정의] 왕이 신하들과 함께 시행하는 활쏘기 의...
    동의어대사의(大射儀) | 관련어사우사단의(射于射壇儀)
  • 의궤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영조(재위 1724-1776) 때 시행한 대사례 의식을 기록한 책.
    정의조선 영조(재위 1724-1776) 때 시행한 대사례 의식을 기록한 책.[두산백과] | 문광부표기Daesarye uigwe | MR표기Taesarye ŭigw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육일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성균관(成均館)의 무기고. [내용] ()에 사용하던 궁시(弓矢)ㆍ웅후(熊侯)ㆍ미후(麋侯) 등을 보관하는 전각이다. 예(禮)ㆍ악(樂)ㆍ사(射)ㆍ어(御)ㆍ서(書)ㆍ수(數)의 육예(六藝) 중의 하나라 하여 ‘육일각’이라 하였다.

고서·고문서(36)

  • 의궤(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43년(영조19) 영조(1694~1776)가 거행한 () 의식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조선 제21대 왕 영조(英祖, 1694∼1776)는 숙종(肅宗)과 숙빈 최씨(淑嬪 崔氏)의 소생으로, 1724년 8월 경종(景宗)이 승하하자 왕위에 올랐다. 비(妃...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주례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작성한 것으로, 향음주례(鄕飮酒禮)를 비롯한 주례(酒禮)에 대하여 조사하여 정리한 보고서이다. 성종으로부터 정조연간까지의 왕조실록에서 주례와 관련한 9개의 기사를 발췌하여 수록한 문헌조사 보고서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사용지에 작성하였다...
    분류일상생활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9476 B00947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0年 2月 5日_015 曰, 時, 宗宰置之。 時原任大臣入參。 出榻敎 上曰, 必也正名, 今番唱榜時致詞, 賢俊二字, 以忠良書塡事, 分付。 出傳敎 上曰, 三明日動駕時, 先詣昌德宮展謁。 先後廂軍, 道上留住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9755 B009755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0年 2月 5日_015 曰, 時, 宗宰置之。 時原任大臣入參。 出榻敎 上曰, 必也正名, 今番唱榜時致詞, 賢俊二字, 以忠良書塡事, 分付。 出傳敎 上曰, 三明日動駕時, 先詣昌德宮展謁。 先後廂軍, 道上留住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大禮書類十八ノ五・原議綴込五止・大正四年十二月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1018922016101892_019 大禮書類十八ノ五・原議綴込五止・大正四年十二月 大禮使職員ニシテ他ニ上級ノ官職ヲ有スル者調回答ノ件 직원으로 다른 상급 관직을 갖고 있는 자를 조사하고 회답하는 건 국립공문서관 禮00035100 0364 ...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15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1)

  • 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등대난 명일밤에 입셩다난 그대의 두류쳐소난 이왕 박공왕 젼례로 돈덕뎐으로 뎡터인데 그뎐각은 지금슈리난즁이라 범이 합당치못나 슈일면 다 쥰공이되야 그리로 쳐소 뎡리라고 한셩신문에말얏더라
    게재일1905년 1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

  • 천황이 발해사 기진몽 등에게 사례(射禮)를 명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발해 발해→일본 【번역】 (춘정월) 갑진(17일), 천황이 대극전 남문에 납시어 ()를 관람하셨다. 5위 이상의 사례(射禮)가 끝나자 이내 발해사 기진몽 등에게 사례를 명하였다. (『續日本紀』 13 聖武天皇 天平12年 春正月 甲辰) 【원문】 (春正...
    대표표제어천황이 발해사 기진몽 등에게 사례(射禮)를 명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40년(庚辰/ 신라 효성왕4/ 발해 문왕 大興4/ 당 현종 개원28/ 일본 聖武 天平12)
  • 천황이 발해사 기진몽 등에게 사례(射禮)를 명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발해 발해→일본 【번역】 (춘정월) 갑진(17일), 천황이 대극전 남문에 납시어 ()를 관람하셨다. 5위 이상의 사례(射禮)가 끝나자 이내 발해사 기진몽 등에게 사례를 명하였다. (『續日本紀』 13 聖武天皇 天平 12年 春正月 甲辰) 【원문】
    대표표제어천황이 발해사 기진몽 등에게 사례(射禮)를 명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40년(庚辰/신라 효성왕 4/발해 문왕 大興 4/唐 玄宗 開元 28/日本 聖武天皇 天平 12)
  • 신라가 보낸 김태렴 등이 일보의 대안사와 동대사에서 예불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4) 신라 신라→일본 【번역】 (6월) 정유일(22)에 김태렴 등이 대안사(大安寺)와 동대사(東大寺)에 나아가 예불하였다. (『續日本紀』 18 孝謙紀) 【원문】 (六月)丁酉(22) 泰廉等就大安寺東佛 (『續日本紀』 18 孝謙紀)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김태렴 등이 일보의 대안사와 동대사에서 예불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52년(壬辰/신라 경덕왕 11/발해 문왕 16 大興 16/唐 天寶 11/日本 天平勝寶 4)

연구과제(1)

  • 한국 스포츠문화의 원형 ‘활쏘기’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석규 | 서울대학교 | 202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국가에 행사가 있을 때 임금과 신하가 한자리에 모여서 활을 쏘아 그 예의 도수[禮數]를 살피는 의례. 사례에는 와 향사례(鄕射禮)의 두 가지가 있다. 주관하는 곳에 따라 임금이 주관하면 , 대부나 지방관이 주관하면 향사례라 하였다. 향사와 대사는 중국에서는

  • 국조악장 / 國朝樂章 [예술·체육/국악]

    1765년(영조 41) 홍계희·서명응·김치양 등이 영조의 명을 받들어 우리나라의 악장을 모아 엮은 책. 1책 44장 88면. 활자본. 발문에 이어서 종묘악장·문소전악장·열조악장·열조상존호악장·열조추상존호악장·진풍정악장·조회례연의통용악장·친경악장·관예악장·친잠악장·

  • 국조연강 / 國朝年綱 [역사/조선시대사]

    사항이 되는 사례로, ① 입학, ② 친영(親迎), ③ 선위(禪位), ④ 대리(代理), ⑤ 수렴(垂簾), ⑥ 추숭(追崇), ⑦ 천릉원(遷陵園), ⑧ 기사연(耆社宴), ⑨ 친석채(親釋菜), ⑩ (), ⑪ 친경(親耕), ⑫ 친잠(親蠶), ⑬ 양전(量田), ⑭ 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