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6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88)
사전(4,124)
- 태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제후국에서는 대비(大妃)라 칭했다. 그런데 고려의 경우 초기에는 ‘○○왕태후(王太后)’라고 하다가 뒤에는 ‘○○태후’로 호칭했다. ‘왕태후’에서 ‘왕’은 제후국 칭호이고 ‘태후’는 황제국 칭호이다. 이러한 현상은 태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초기에는...이칭별칭황태후(皇太后)
- 동사구문사전 : 대비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1346 대비되다 대비되다I 대비-되다1 對比-- 대비되어(대비돼), 대비되니, 대비되고 대비가 되다 일반동사 vi (둘 이상의 대상이) 대응되어 그 차이점이 비교되다. (Of certain targets) Correspo...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동사구문사전 : 대비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1348 대비하다 대비하다I 대비-하다1 對比-- 대비하여(대비해), 대비하니, 대비하고 대비를 하다 일반동사 vt (둘 이상의 대상을) 대응시켜 그 차이점을 비교하다. Correspond and compare certai...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대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왕조체제에서 전왕(前王)의 왕비이며 현왕(現王)의 어머니인 여성을 높여서 부르던 호칭. [개설] 왕대비(王大妃), 대왕대비(大王大妃) 등을 통틀어 대비로 일컫기도 했다. [연원] 왕조에서 황제체제를 취할 경우 황제의 정부인...이칭별칭자전|자성
- 대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선조대왕의 두 번째 왕비 김씨이다. 광해군의 폭정이 심해져 인조가 반정을 일으키자 그에게 어보를 맡기며 장래를 부탁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4)
- 中韩语言对比研究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태평무 ... | 출판사 : 세계도서출판사 | 출판일 : 201306유형단행본
-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觀) [조선시대 국왕의 리더십과 소통방식(疏通方式) | 단국대학교]저자 : 김석근, 김문식, 신명호 ... | 출판사 : 도서출판 역사산책 | 출판일 : 20190228조선시대 국왕의 리더십과 소통을 주제로 하는 ’조선 국왕의 리더십과 소통 총서’의 제1권은 조선시대 국왕의 리더십 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은 ’리더십’이라는 현대적인 관점에서 조선시대 국왕의 존재와 위상을 재조명하면서, 동시에 현재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고자 한...
- (조선왕실의 일상 2)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09.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대비의 권한 (3) 시기마다 다른 수렴청정 5. 왕실 여성의 독서와 글쓰기 (1) 왕실 여성이 되는 첫걸음, 간택 (2) 궁궐의 삶과 독서 (3) 글쓰기를 통한
- 역주 헌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시책문 13. 애책문 14. 시호를 추상할 때의 옥책문 15. 왕비의 지문 16. 왕비를 책봉하는 옥책문 17. 왕대비에게 존호를 올리는 옥책문
논문(4)
- 한중 의문사의 부정 기능 대조 분석-”什么”와 “무엇”을 연구대상으로 [중국 절강성지역 한국학 교육 플랫폼 구축 | 浙江越秀外國語學院 (Zhejiang Yuexiu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저자 : 김용군 | 게재정보 : 동북아외국어연구
- 朝语、汉语“中指义”表达方式之对比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金顺女(延邊大學), 池花(延邊大學:교신저자) | 게재정보 : 동강학간 29권 2호, 게재일 : 2012.4조선어, 한어 “中指义”표달방식 비교 (김순녀, 지화) 본 논문은 조선어와 한어에서 각각 "中指义"가 갖고 있는 표현방식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이런 분석을 통해 조선어에서 中指义의 본질적인 특징과 한어에서 '中指义'의 특점은 다소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유형논문
- 서사와 재서사 사이-『황야의 사나이』와 『우둥불』의 대비적 읽기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인문한국학' 교육연구모델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南京大學 (Nanjing University)]저자 : 최창륵 | 게재정보 : 대동문화연구 98 , 게재일 : 201706유형논문
- 중국 조선족의 선택과 조선인 간부들의 역할-조선족의 장편소설과 조선인 간부들의 회고록과의 대비를 통하여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 | 게재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45 , 게재일 : 201504유형논문
고서·고문서(2,184)
- 생활대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생활대비 기 남자 길림성(吉林省) 장춘시(长春市) 관성구(宽城区) 동삼조 25-1 2 2 생활대비, 만흔선전, 필요,...대표표제어생활대비 | 성씨기
- 絞帶非四股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nk_00054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二 喪禮_小斂 絞帶非四股 絞帶非四股 이익(李瀷, 1681~1763) 答尹幼章別紙 DRAC_2:1:12:10Q 《家禮》: “絞帶, 用麻繩, 中屈爲兩股云云.” 旣用繩, 而又合爲兩股, 則恰成三重四股. 然則以...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李王殿下接待費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4100022 李王殿下接待費 궁내청 공문서관 93813 0018 1 이왕무 2014. 12. 05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4. 12. 05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당종젼양비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1 어와평 조흘시고 당명황 직위초원쳔 장시고 쳔평 도다군신츅 그지업다 쳔지 호봉고신부 오공니 구듕츈 션도화만과쳔 봄치요 이원 풍유소평기 도다 만물니 번셩니인물인들 업실손야 슈슌사 영현임이만고절 달...가사유형교훈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Александр Георгиевич и др.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프리아무르 주는 중국과의 전쟁을 감당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제정러시아 대외정책문서보관소 | 발신일1885.09.07. 외
구술자료(29)
- 인목대비의 지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봉이 김선달과 김삿갓등 역사적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이번엔 인목대비 이야기를 하겠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다.조사일시2011. 3. 12 (토) | 조사장소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반계 2리 여재봉 자택 | 제보자여재봉
- 대비못(大悲池)의 이무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설화가 끝나고 조사자가 강철이 이야기 같은 것이 없느냐고 묻자, 아는 게있다고 하면서 이 설화를 꺼내었다. 아주 신명나게 이야기를 하였다. *조사일시1981-01-13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상동면 | 제보자김영필
- 호박소와 대비못 이무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착하는 날 저녁에 이장에게 부탁하여 마을회관 2층 노인당에 남녀 노인들을 모이게 하였다. 얼굴도 익히고 어떤 분이 유능한 제보자인가 알아 보기 위해서였다. 오후 7시경이 되어 노인 10명과 노파 15명이 모였다. 술과 과자를 대접하며 설화를 유도하였다. 먼저 여름...조사일시1981-07-26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손출헌
- 대비못 옆에 묘쓰고 부자된 형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파잠댁의 ‘머슴집에서 육판서 난 이야기’가 끝나자 경동댁이 ‘박곡리에 살았던 부충이네’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이야기가 끝날 무렵 청중들은 부 충이네 가족이 어떻게 살았는지, 현재는 어디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에 대해 서로 이야기를 나누었다.조사일시2009. 7. 23.(목) | 조사장소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미륵당거랑 | 제보자김우현
- 칠년홍수를 대비해 배를 만들어 살아남은 임금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칠 년 동안 가뭄이 들어 부른 노래라며 창부타령을 부르고 나자, 가뭄 들었을 때 이야기를 해 달라고 부탁했다. 옛날 어른들이 말하는 이야기를 들었다면서 구연하였다. 제보자는 목소리도 크고 말이 빠른 편이다.조사일시2010. 1. 22(금)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수항리 신기마을 회관 | 제보자우종예
기초학문(246)
- 니체의 시대비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하용삼, 게재일 : 200727675 하용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철학회 2007 니체의 시대비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기업지배구조가 접대비 및 접대비 한도초과지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종일, 게재일 : 200830304 박종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인회계사회 2008 기업지배구조가 접대비 및 접대비 한도초과지출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조선시대 대왕대비․왕대비 尊號儀禮의 정비과정과 用樂 변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1247218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12 조선시대 대왕대비․왕대비 尊號儀禮의 정비과정과 用樂 변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 ‧ 중 지시어 대비에 관한 소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궁양석, 게재일 : 200410433 남궁양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회 2004 한 ‧ 중 지시어 대비에 관한 소고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신국제질서에 대비한 과학기술법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한택, 게재일 : 200107718 김한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남대학교 비교법연구소 2001 신국제질서에 대비한 과학기술법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823)
- 接待費請求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법부에셔쇼관각도각항판소보좌관을 불가불 일졉터인 졉비 환이잇셔야다고 탁지에쳥구즁이라뎌라게재일1907년 1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接待費請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디방판쇼에 치일인보쟈관과 보자관보의졉비로돈환을 지발라고 법부의셔 탁지부에 쳥구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宮相出城待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대신 리극씨가 직상소야 우비를봉승말은 이우에 긔얏거니와 동씨 작일에 직소를 봉뎡고 즉시동소문외 손가뎡에 나아가 소비를 기다리다가 우비가 날인고로 작일오후일시에 입셩얏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대비바사론초(大毘婆沙論鈔)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대비바사론초(大毘婆沙論鈔) 大毘婆沙論鈔 대비바사론초 유통서지 大毘婆沙論鈔 10 極太述 新編諸宗教藏總錄卷第三 T55, p. 1...대표표제어대비바사론초(大毘婆沙論鈔) | 대표서명大毘婆沙論鈔 | 한글서명대비바사론초 | 서지형태유통서지
- 대비바사론초(大毘婆娑論抄)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대비바사론초(大毘婆娑論抄) 大毘婆娑論抄 대비바사론초 유통서지 大毘婆娑論抄 10卷 順憬 大日本古文書 751年(天平勝宝3) ...대표표제어대비바사론초(大毘婆娑論抄) | 대표서명大毘婆娑論抄 | 한글서명대비바사론초 | 서지형태유통서지
멀티미디어(184)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22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23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24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25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26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기타자료(1,790)
- 신대비다;申大比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3804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43면 (2) 졸업생일람 신대비다;申大比多 경성부 돈암정 458-512 女塾5회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기획좌담 통일대비 교육의 과제) 통일에 대비하는 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기획좌담 통일대비 교육의 과제) 통일에 대비하는 교육 (기획좌담 통일대비 교육의 과제) 통일에 대비하는 교육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진성, 류갑현, 정용길, 정춘희 | 사료철명교육월보
- (특집 통일대비 교육) 통일을 대비한 우리의 자세와 교육의 과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특집 통일대비 교육) 통일을 대비한 우리의 자세와 교육의 과제 (특집 통일대비 교육) 통일을 대비한 우리의 자세와 교육의 과제 (特輯 統一對備 敎育) 統一을 對備한 우리의 姿勢와 敎育의 課題 교육 문헌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태강 | 사료철명충북교육
- (특집 통일대비 교육) 통일에 대비한 학교교육의 방향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특집 통일대비 교육) 통일에 대비한 학교교육의 방향 (특집 통일대비 교육) 통일에 대비한 학교교육의 방향 (特輯 統一對備 敎育) 통일에 대비한 학교교육의 방향 교육 문헌 교육행정...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홍순천 | 사료철명충북교육
- (특집 국제화 시대를 대비하는 교육) 국제화 시대를 대비하는 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특집 국제화 시대를 대비하는 교육) 국제화 시대를 대비하는 교육 (특집 국제화 시대를 대비하는 교육) 국제화 시대를 대비하는 교육 (特輯 國際化 時代를 對備하는 敎育) 國際化 時代를 對備하는 敎育 교육 문헌 ...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윤관중 | 사료철명교육전남
연구과제(22)
-
한국역사에서의 공공하는 철학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김태창 | 사단법인 모심과살림연구소 | 2013 | 국내 | 서울
-
파리 컨소시엄 2 : 불어권 한국학 신세대 육성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Bruneton Yannick | Université Paris Diderot - Paris 7 | 2015 | 국외 | 해외
-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남성과 여성의 삶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배영환 | 제주대학교 | 2016 | 국내 | 제주
-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 -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철승 | 조선대학교 | 2015 | 국내 | 광주
-
필리핀 내의 한국학의 중추: 태동에서부터 제도화 까지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Fernando Aldaba | Ateneo de Manila University | 2016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203)
-
대비 / 大妃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조체제에서 전왕의 왕비이며 현왕의 어머니인 여성을 높여서 부르던 호칭. 왕조에서 황제체제를 취할 경우 황제의 정부인을 황후(皇后)라 했는데, 명나라에 대해 제후국을 자처한 조선에서는 황후 대신 왕비(王妃)라는 칭호를 썼다. 왕비는 왕의 정부인으로서 위로는 조상을 받
-
대비과 / 大比科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3년에 한 번씩 실시된 과거제도. ‘대비’라는 말은 <주례>에 “3년은 ‘대비’이므로 대비년에 덕행과 도예를 살펴서 현자와 능자를 뽑아 등용시킨다(三年則大比考其德行道藝而興賢者能者).”라는 문구에서 나온 말이다. 1603년(선조 36)에 창설하여 3년에 한번
-
대비원 / 大悲院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구호기관. 개경(開京)에는 동쪽과 서쪽에 각각 하나씩 있어 동서대비원이라 하였으며, 서경에도 분사(分司) 1원이 있었다. 불교의 복전사상과 자비사상에 의하여 현약(賢藥)과 식량을 갖추어놓고 병자를 치료하였으며, 혹은 기아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의복과 식량을
-
김대비훈민전 / 金大妃訓民傳 [문학/고전산문]
있다. 이 책은 교훈서로서 주인공이 따로 등장하지 않는다.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에 있어서 여성이 마땅히 따라야 할 덕목을 하나씩 나열하면서 김대비란 인물이 훈도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
대비바사론소 / 大毘婆沙論疏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정달이 『대비바사론』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법상종장소(法相宗章疏)』 등의 기록에 따르면 정달 저술로 추정되는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동역전등목록』에 ‘新羅淨達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