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보단” 에 대한 검색결과 1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9)

사전(9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임진왜란 때 일본의 침략을 저지하고 우리나라의 수호를 위해 군대를 파견했던 명나라 신종(神宗)의 은혜를 추모하기 위해 쌓은 제단(祭壇). [내용] 명나라가 망하고 병자호란으로 남한의 치욕을 씻기 위해 군신이 절치부심하면서 대명절의(大明節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가평군 하면 대보리 조종암(朝宗巖)에 있는 단(壇). 서울의 창덕궁 비원내의 에서 유래되었다. 1683년(숙종 10)에 명나라 창해처사(滄海處士) 허격(許格), 당시의 가평군수 이제두(李齊杜), 지방선비 백해명(白海明) 등이 상의하여 명나라 의종의 친필인...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임진왜란 때 원군을 보내 준 명(明)나라 신종(재위 1573-1620)의 은혜를 기리기 위해서 1704년에 세운 제단.
    정의임진왜란 때 원군을 보내 준 명(明)나라 신종(재위 1573-1620)의 은혜를 기리기 위해서 1704년에 세운 제단.[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Daebodan | MR표기Taebod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G1_S_0003 국제관계 配祭, 報惠, 壬辰之禍, 不忘之恩, 天子, 諸侯, 國亡, 宗廟, 丘墟, 追遠, 臣子, 先王, 東征, 將士, 元功, 大享, 司勲, 六功, 戰功, 多, 太常, 大烝, 提督, 經理, 先代, 帝王, 配食, 一體, 君臣, 祭祀...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1권 1장 1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유성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임하였으나 집의(執義) 한성우(韓聖佑)의 탄핵을 받아 파면되었다. 1704년 3월 사직으로서 명나라의 멸망 1주갑(甲申年)을 맞아 비운에 죽은 의종과 그 신하들을 위하여 단을 쌓고 추모 제사를 지낼 것을 건의하여 채택되었는데, 이것이 () 설치의 계기...
    이칭별칭 집중(集中)| 묵수(默守)

고서·고문서(42)

  • 기(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기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기
  • 人事門5_配祭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配祭 者, 所以報惠也. 壬辰之禍, 非大明 神宗, 無以再造, 此萬世不忘之恩也. 天子而祭於諸侯, 於古無考, 然明旣國亡, 宗廟丘墟. 設有其子孫爲庶, 追遠有誠, 則不容不祭, 與臣子等也. “禮雖先王未之有, 可以義起”者, 此之謂也. 當時, 東征之功, 宜以石星爲主, 將...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증수소의궤(增修所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04년(숙종30)에 건립된 ()을 1749년(영조25) 증수(增修)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로 증수소(增修所)에서 간행하였다. 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의 침략을 저지하고자 조선(朝鮮)에 군대를 파견했던 명(明) 신종(神宗)의 은혜를 추모하기 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奉和聖製〈親享〉韻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20 詩集 卷二 ITKC_MP_0597A_0020_010_1800 奉和聖製〈親享〉韻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
    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人事篇六]治道門三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者, 所以報惠也. 壬辰之禍, 非大明 神 神: 규장각본에는 ‘文’으로 되어 있다. 宗, 無以再造, 此萬世不忘之恩也. 天子而祭於諸侯, 於 於: 규장각본에는 없다. 古無考, 然明旣國亡 國亡: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에는 ‘亡國’으로 되어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기초학문(4)

  • 조선후기 전쟁의 기억과 () 제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욱, 게재일 : 2006
    21888 이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종교학회 2006 조선후기 전쟁의 기억과 () 제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英祖의 증수와 明 三皇의 配享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호, 게재일 : 2003
    01646 김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003 英祖의 증수와 明 三皇의 配享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749년(영조 25) 明 毅宗과 太祖의 배향과《增修所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호, 게재일 : 2003
    01400 김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749년(영조 25) 明 毅宗과 太祖의 배향과《增修所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조선후기 의 친행 현황과 그 정치 문화적 함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1954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연구회 2010 조선후기 의 친행 현황과 그 정치 문화적 함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

  • 조선출판경찰월보 034호 용천검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할 일을 8년까지 무엇을 하면서 지연했는가. 개 같은 XX놈들아 옥황께 신비의 힘을 빌려 하룻밤 사이에 멸망시켜 놓고 무궁토록 전해야 할 일임을 ()에 올라가서 서약합시다.」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34호 용천검 | 출판물명용천검(龍泉劍) 제18호

주제어사전(10)

  • / [종교·철학]

    명 나라의 황제 신종(神宗)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은 제단. 임진왜란때 군대를 파견하여 조선을 도운 신종의 은혜를 기리는 뜻에서 1704년에 쌓은 제단이다. 형태는 건물이 없는 제단으로 교사(郊祀)를 지내던 남교(南郊)의 규모를 따라 지었다. 제례는 왕이 친제함을 원칙으

  • 사연설 / 事筵說 [종교·철학/유학]

    1704년 설치에 대한 경연의 논의를 수록한 정책서. 1책. 필사본. 은 임진왜란 때 원군(援軍)을 보내 도와준 명나라의 신종(神宗)과 마지막 왕인 의종(毅宗)의 은의(恩義)에 보답하기 위해 지은 단이다. 서문과 발문이 모두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 장취오 / 張聚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4∼1770). 조부는 장효민, 부친은 장시서이다. 1756년(영조 32) 병자 정시 병과 3위에 급제하였다. 영조의 사랑을 받아 왕으로부터 어제인 《자성편》·《식경편》그리고 어제어필인《갱첩》을 하사받았는데, 8대손인 장기덕에 의해 보존

  • 조선국가제향처략기 / 朝鮮國家祭享處略記 [정치·법제]

    사직서, 환구단, 동명왕릉, 고려왕릉을 비롯해 단군, 기자, 주몽, 박혁거세, 왕건 등을 모신 전, 묘, 관왕묘, , 선무사 등의 이름과 위치를 간략하게 기록한 문서. '궁내부 제도국'이라는 판심으로 보아 궁내부제도국이 신설된 1906년(광무 10) 1월 30일

  • 노포유고 / 老圃遺稿 [종교·철학/유학]

    권3에 서(書) 7편, 기 1편, 장(狀) 1편, 잡저 2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제문 각 1편, 만장 15수, 기 1편, 시 53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의 「만동묘소(萬東廟疏)」는 흥선대원군이 서울에 ()을 짓고 만동묘를 훼철하자 그 부당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