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8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09)
사전(2,236)
- 大邦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2_S_0017 大邦 나라 人物, 宗班, 奉使, 入燕, 車子, 胡姓, 刑部尚書, 奮然, 死生, 行住, 自在, 天命, 齷齪, 抱關 季主 S_11_01_40 성호사설 11권 1장 40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1권 1장 4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帶方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3_D_0176 帶方 지방 地理, 檢校帶方州刺史 漢建安 百濟, 古龍郡, 帶方郡, 曹魏, 南帶方郡, 百濟, 南原府 唐太宗, 劉仁軌, 刺史 D_06_03_61 대동운부군옥 6권 3장 6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3장 6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大房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4_J_0002 大房 제례 籩豆大房, 半體之俎, 周以房俎, 俎, 堂房, 飫, 房烝, 禮之立成, 房, 大俎, 丞升, 半解其體, 升之俎, 夏屋 王公 詩, 禮記, 國語 J_05_02_02 지봉유설 5권 2장 2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5권 2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대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보부상 조직의 임원. [내용] 보부상의 성인회원회인 ‘요중(僚中)’에는 동몽청(童蒙廳, 일명 裨房廳)이라는 산하단체가 있었는데, 대방은 이 조직체의 최고책임자이었다. 동몽청에 있어서 대방은 요중의 영위급에 해당하며, 혼...
- 대방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식견이 넓은 전문적인 사람. 雖曰樂此不疲 其爲見笑於大方誠不些 還可呵也, 정조(正祖), 19-3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3,561)
- 大方身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李海應, 『薊山紀程』 제4권, 復路, 갑자년 2월 25일(을유) 『薊山紀程』 갑자년(1804, 순조 4) 2월 25일(을유) 1804 大方身 大方身 瀋陽 지리 외교 晴.大方身四十里旗下劉姓家午餐.瀋陽四十五里民...출처전거『薊山紀程』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大方身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徐慶淳, 『夢經堂日史』 玉河旋軫錄, 병진년 1월 14일(신미) 『夢經堂日史』 병진년(1856, 철종 7) 1월 14일(신미) 1856 大方身 大方身 지리 외교 陰.午雪晡止.午飰于大方身劉桂芳家.與桂芳敍舊款款.…출처전거『夢經堂日史』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帶方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450 我邦疆域考 其一 ITKC_MP_0597A_1450_000_0090 帶方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我邦疆域考 其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대방공보(帶方公俌)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1409 B041409 대방공보 帶方公俌 인물 『宣和奉使高麗圖經』 『宣和奉使高麗圖經』 卷第八 守太師尙書令李資謙 _ 高麗素尙族望 而國相多任勳戚 自王運娶李氏之後 而俁爲世子時 亦納李女爲妃 由是 門戶始光顯 資謙之兄資義 在前代時 已爲國相 坐事流竄 故資謙視覆車之戒 每自修飭 俁...출처전거『宣和奉使高麗圖經』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방공보(帶方公俌)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1411 B041411 대방공보 帶方公俌 인물 高麗史 권127 列傳40 叛逆1 李資謙 分强請納第三女于王王不得已從之是日大風飛瓦拔木後又納其第四女又大風雨 王旣冊資謙推恩赦二罪以下其日中外所獻悉歸資謙第命有司脩葺資謙祖先所居開明宅功旣訖改號重興宅令資謙入處遣叅知政事李壽同知樞密院事許載...출처전거高麗史 권127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41)
- 장성이 나온 대방과 흥룡마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인근 마을의 형세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10.02.12 | 조사장소전남 광양시 옥룡면 죽천리 내천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이종찬
- 이용우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그의 가족관계에 대해 설명한 자료이다. 2) 음질 중 경기도당굿 이용우 이영광 이영하 이종만 재인청 도대방 판소리;무속음악 1987-01-17 수원시 매교동 이용우 자택 28:26 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용우
- 정광수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져있다. 2) 음질 상 정광수 이매방 이진영 이소희 임동선 이생강 박판석 임방울 김창환 송만갑 정정렬 정응민 유성준 김연수 권금주 이준열사가 시나위 삼현 풍류 잔영산 도드리 군악 조청 당악 대방 어정제 패개성음 신청 권번 판소리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광수
- 이날치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대방리 노인정 15:39 00:00 A면 이날치가 머리가 좋고 소리를 잘했었다고 한다. 하지만 옛날에는 소리하는 사람을 천대하였기 때문에 담양에서 나가 공부를 하고 다시 돌아왔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한다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형환
- 조상현 춘향가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기록되어 있으나, 무주 음반에 관한 정보는 알 수 없다. 2) 음질 중 조상현 춘향가 동편제 판소리 미상 미상 27:43 25:28 A면 -\'호남좌도 남원부는 옛날 대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상현
기초학문(18)
- 『新譯大方廣佛華嚴經音義』言語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535232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05 『新譯大方廣佛華嚴經音義』言語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05
- 한국의 대(對)아프리카 수출확대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영호, 게재일 : 200306348 박영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아프리카학회 2003 한국의 대(對)아프리카 수출확대방안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3
- IMF시대 지방 중소무역업체의 수출확대방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강빈, 게재일 : 199904887 이강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무역학회 1999 IMF시대 지방 중소무역업체의 수출확대방안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1999
- 오브제를 통해 본 장 뤽 라가르스의 『상대방의 자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은영, 게재일 : 201719390 박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7 오브제를 통해 본 장 뤽 라가르스의 『상대방의 자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17
- 비고정적 상대방지시를 통해 본 ‘회피’와 ‘완화’의 공손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성철, 게재일 : 200507808 박성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어문학회 2005 비고정적 상대방지시를 통해 본 ‘회피’와 ‘완화’의 공손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685)
- 법대방문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대한매일신보 법대방문 1907년 10월13일 서울 서울 법부대신이 상업회의소를 방문 http://gonews.kinds.o...대표표제어법대방문 | 연월일1907년 10월13일 | 지역서울
- 預入待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신임 궁부대신 리윤용씨 작야에 궁대신이 피임된다 쇼문을 듯고 미리 궐에 들어가 방다가 죠칙이 나리며 즉시 친임식을 고 작일 부터진시무 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兩大訪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대신 리근상씨와 부대신 리지용씨난 작일에 이등통감을 방문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0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兩大訪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에 참졍대신과 군부대신이 이등통감을 방문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0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法大訪晉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하오에법부대신 리하영씨가 진쥬관찰 죠민희씨를 대안동 그 뎨로 방문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1)
- 15세기 중반 대방석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160_토공_15세기_중반_대방석 경제_215_토공_15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의 초기 화엄사상 3주차. 신라 화엄사상의 흐름 4주차. 고려・조선 화엄사상의 전통 5주차. 《대방광불화엄경》의 개요 6주차. 불교와 화엄의 목표・방법・내용 7주차. 화엄의 ‘나’ 이해 8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1] 9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2]강좌제목화엄의 나라 | 강의자박보람
- 의 초기 화엄사상 3주차. 신라 화엄사상의 흐름 4주차. 고려・조선 화엄사상의 전통 5주차. 《대방광불화엄경》의 개요 6주차. 불교와 화엄의 목표・방법・내용 7주차. 화엄의 ‘나’ 이해 8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1] 9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2]강좌제목화엄의 나라 | 강의자박보람
- 의 초기 화엄사상 3주차. 신라 화엄사상의 흐름 4주차. 고려・조선 화엄사상의 전통 5주차. 《대방광불화엄경》의 개요 6주차. 불교와 화엄의 목표・방법・내용 7주차. 화엄의 ‘나’ 이해 8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1] 9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2]강좌제목화엄의 나라 | 강의자박보람
- 의 초기 화엄사상 3주차. 신라 화엄사상의 흐름 4주차. 고려・조선 화엄사상의 전통 5주차. 《대방광불화엄경》의 개요 6주차. 불교와 화엄의 목표・방법・내용 7주차. 화엄의 ‘나’ 이해 8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1] 9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2]강좌제목화엄의 나라 | 강의자박보람
기타자료(117)
- 대방직;大方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512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119면 32. 제32회 졸업생(69명) 소화20년 3월 23일 대방직;大方直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배대방;裵大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3039 남한 경남 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2-49 一新 창간호 1927―12―24 89면 배대방;裵大房 경남 진주군 진주면 평안동 24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대방정실;大方正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5422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7호 1936―04―05 161면 대방정실;大方正實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대방정실;大方正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4950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6호 1934―11―05 100면 대방정실;大方正實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대룡;李大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261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이대룡;李大龍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
-
『한국예학용어사전(韓國禮學用語辭典)』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임종진 | 경북대학교 | 2014 | 국내 | 대구
-
식민지의 ‘내무’ 행정과 그 유산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서호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23 | 국내 | 경기
-
조선의 '글로벌 기프트'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구도영 | 동북아역사재단 | 202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96)
-
대방 / 大房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보부상 조직의 임원. 보부상의 성인회원회인 ‘요중(僚中)’에는 동몽청(童蒙廳)이라는 산하단체가 있었는데, 대방은 이 조직체의 최고책임자이었다. 동몽청에 있어서 대방은 요중의 영위급에 해당하며, 혼인 후 요중의 임원인 본방이 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고 있었다
-
인어대방 / 隣語大方 [언론·출판/출판]
1790년(정조 14)에 왜학당상역관인 최기령(崔麒齡)이 편찬한 일본어 학습서. 목판본. 10권 5책. 이 책은 일본어를 흘림체(草體)로 쓰고, 한 자 낮추어 한글과 한자를 쉬어 해자(楷字)로 우리말을 썼는데, 서발(序跋)과 간기(刊記)가 없다. 총 236장에 510
-
전고대방 / 典故大方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강효석(姜斅錫) 편, 신연활자본, 한양서원(1925), 4권 1책. 고대에서 근대까지의 자료로 작성한 각 분야별 인명사전이다. 제첨지 하단이 손상되어 있다.
-
진대방전 / 陳大方傳 [문학/고전산문]
천선하여 효성을 드높인다는 것을 표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고전소설로 보기에는 짧은 작품에 속하나 장편소설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작품은 전체를 3단계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1단계는 대방의 불효가 극치에 이른 것이고, 2단계는 대방의 가족에 대한 태수의 현명하고도
-
대방진굴항 / 大芳鎭掘港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사천시 대방동에 있는 인공항구. 대방진굴항은 수령 200년의 팽나무와 소나무가 이루는 숲 가운데 만들어진 면적 4,658㎡의 인공항구이다. 1983년 12월 20일 경상남도 지정문화재 자료 제93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대방진굴항의 서쪽으로는 대방과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