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명일통지” 에 대한 검색결과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36)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명(明)나라 때 중국 전역과 조공국의 지리를 기술하여 편찬한 지리지(地理誌).
    정의중국 명(明)나라 때 중국 전역과 조공국의 지리를 기술하여 편찬한 지리지(地理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ae Myeong iltongji | MR표기Tae Myŏng ilt’ongj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명지서(大明志書), 명일통지(明一統志), 지리총지(地理總志) 정치외교/외교사안 문헌 중국 명 명 한지선 1461년(천순 5) 4월 90권 ...
    관련어대명지서(大明志書), 명일통지(明一統志), 지리총지(地理總志)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리서 한문 중국 명 성낙수 박종국 2015 이현 등 90권 50책 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정의] ...
  • 조선연혁풍속고이(朝鮮沿革風俗考異)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록에 수록되어 있는 행장과 신도비명 및 연보에 의거하면, 1590년 53세 때 왜승(倭僧) 소친(宗陳)이 와서 보여준 『()』에 조선의 풍속이 비루하고 속되다는 터무니없는 기록이 많아서, 이에 김성일이 조국에서 통행하는 예절과 풍속을 거론하면서 그 기...
    유형분류문헌
  • , 主上 我東, 大同府, 元 李溥光, 趙孟頫, 顧元慶, 溥光, 玄暉, 顔魯公, 牧隱, 恭愍王 , 本草, 雪庵長語, 天山子書法, 牧隱集 S_09_01_51 성호사설 9권 1장 51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9권 1장 5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8)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50 與猶堂全書補遺○日本考 ITKC_MP_0597A_1850_010_008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日本考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제30책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전적조사자료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 약간의 쌀과 소금을 주어 보답했다. ○목사가 《()》25책을 보내서 제목을 써달라고 했다. 十三日丙申, 微陰, 夜雨。 十三日丙申, 微陰, 夜雨。 ○留堂。護孫。○妻氏留此。○安峯法熙僧來納紙十卷。與米、鹽略報之。○牧伯送《》卄五冊, 求題目...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33912 B033912 남산 南山 산악 新增東國輿地勝覽 京畿道 仁川都護府 山川 蘇來山 在府東二十四里鎭山 南山 距府二里 朱雁山 在府北十一里 淸凉山 在府南七里 海 在府西南九里 東方川 在府東二十四里源出蘇來山南流入海 紫燕島 在府西二十七里周五十五里有牧場舊有客館曰慶源...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771 B048771 대청서 大靑嶼 도서 인천광역시 輿地圖書 黃海道 長淵 古跡 古跡海中距津頭六十里水路一百二十里忠肅王四年元流孛刺太子于此越十年召還十七年流陶帖木兒于此後元年召還其所居宅基牧場猶在) 小靑島(在大淸島東作大靑嶼小靑嶼卽此二島也高麗地理志白翎鎭有大小靑二島 ....
    출처전거輿地圖書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이현(李賢) 등 수명편, 금속활자본(을해자), 1책(영본, 전 90권). 명나라 전역을 개괄적으로 정리한 관찬 총지이다. 임진왜란 이전 활자본이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 新增東國輿地勝覽 [지리/인문지리]

    다. 내용은 1477년에 편찬한 ≪팔도지리지≫에 ≪동문선≫에 수록된 동국문사의 시문을 첨가하였으며, 체재는 남송 축목의 ≪방여승람≫과 명나라의 대표적 통지인 ≪≫를 참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