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명사” 에 대한 검색결과 5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6)

사전(26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품사의 일종. ‘대이름씨’라고도 한다. 발화장면(發話場面)이나 담화 또는 문장 속에 주어진 대상이나 문장 자체를 이름 대신 직접 가리켜 부르는 단어의 집합을 말한다. [내용] 가 발화장면 속에 주어진 인물이나 사물을 직접 가리킬 때...
    이칭별칭대이름씨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대신 나타내는 말이나 그런 말들을 지칭하는 품사
    정의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대신 나타내는 말이나 그런 말들을 지칭하는 품사 | 문광부표기daemyeongsa | MR표기taemyŏng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인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의 하나. 사람을 그 지시 내용으로 하는 를 가리킨다. [내용] 사물을 그 지시 내용으로 하는 사물, 장소를 지시 내용으로 하는 처소 등에 대립된다. 인칭는 사람을 가리키기 때문에 단순히 인(人)라고...
  • 지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를 인칭와 지시로 양분하는 체계에서의 의 한 하위류. [내용] 사물을 가리키는 ‘이것, 그것, 저것, 무엇’과 처소를 가리키는 ‘여기, 거기, 저기, 어디’를 묶어 지시로 한다. 따라서, 지시는 흔히 사물...
  • 곽해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역관(譯官). [생애] 1384년(우왕 10) 왕에게 건의하여 무예도감(武藝都監)을 설치하였다. 1385년 역관으로 명경(明京)에서 돌아와 명나라 왕이 조서사(詔書使)와 시책사(諡冊使)를 보내온다고 ...

논문(2)

고서·고문서(104)

  • 初等國語語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初等國語語典 卷二 初等國語語典_卷二 第十八課 複習 김희상 1909 경성유일서관 이화여자대학교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나 너 우리 이것 여긔 거긔는 무슨 詞이냐 이올시다 그러면 ᄂᆞᆫ 무엇이냐 名...
    서명初等國語語典 | 자료명第十八課 代名詞 複習
  • 大韓文典 卷一 大韓文典_卷一 第二章 第一節 의 意義 유길준 1909 동문관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라ᄒᆞ는 者ᄂᆞᆫ 事物의 名의 代에 用ᄒᆞ는 語이라 나, 너, 누구,
    서명大韓文典 | 자료명第二章 代名詞 第一節 代名詞의 意義
  • 大韓文典 卷一 大韓文典_卷一 第二節 의 種類 유길준 1909 동문관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ᄂᆞᆫ 其用處ᄅᆞᆯ 隨ᄒᆞ야 四種으로 區別ᄒᆞ니 (一)人 (二)指云 (三)...
    서명大韓文典 | 자료명第二節 代名詞의 種類
  • 初等作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初等作文法 卷一 初等作文法_卷一 第三章 원영의 1908 광동서국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ᄂᆞᆫ 實名을 替代ᄒᆞᆷ이니 人代名 疑問代名 指示代名의 三類가 有ᄒᆞ니라
    서명初等作文法 | 자료명第三章代名詞
  • 初等國語語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初等國語語典 卷二 初等國語語典_卷二 第六課 김희상 1909 경성유일서관 이화여자대학교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나 너 져이 이것 그것 져것 여긔 져긔 이 우에 써셔노은 여러가지ᄂᆞᆫ 다 名詞ᄅᆞᆯ 代ᄒᆞ
    서명初等國語語典 | 자료명第六課 代名詞

구술자료(1)

  • 런 농담도 많이 하고. [조사자1: (힌드에게) 안타라 같이 사랑할 수 있어? (웃음)] 힌드: 없을 것 같아요. (웃음) [조사자2: 이게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제일 사랑의 남자의 가 되었구나.]
    국가사우디아라비아 | 제보자압둘라 르만 [사우디, 남, 1990년생, 유학 6년차] 샤하드 [사우디, 여, 1992년생, 유학 2년차] 힌드 [사우디, 여, 1989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73)

  • 한국어 ‘우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한규, 게재일 : 2007
    06809 이한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담화‧인지언어학회(The Discourse and Cognitive Linguistics Society of Korea) 2007 한국어 ‘우리’ https://www.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스페인어 접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성태, 게재일 : 1999
    06435 손성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서어서문학회 1999 스페인어 접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
    유형논문 | 게재일1999
  • 한국어 ‘우리’의 의미와 용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정남, 게재일 : 2003
    12694 김정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의미학회 2003 한국어 ‘우리’의 의미와 용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조응의 비통사적 해석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광희, 게재일 : 2005
    09734 김광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학회 2005 조응의 비통사적 해석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일인칭 복수 발화시 언어행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영석, 게재일 : 2014
    10117 손영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4 일인칭 복수 발화시 언어행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26)

  • 大家の眞筆書畵大頒布會 (현대가 진필서화 대반포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現代名士大家の眞筆書畵大頒布會 | 기사명_한글현대명사대가 진필서화 대반포회 | 게재일19230803 | 게재판 | 게재면2 | 게재단10-12
  • 대한문전(大韓文典)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대한문전(大韓文典)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4호 大韓文典 1907. 02. 01. 95 280~283 편집부 대한제국 문전(文典)에 대하여 정리한 글 특별명사, , 보통...
    잡지명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 호수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조선어문학회보_1931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목차 인소화 이희승 1 문학사상에 발견되는 괴사편편 태산 3 민요연구참...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 대한문전(大韓文典)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대한문전(大韓文典)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5호 大韓文典 1907. 03. 01. 122 351~353 편집부 대한제국 문전(文典)에 대하여 정리한 글 명사, , 주격,...
    잡지명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 호수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년 11월 10일 45 서광순 상급학년에 있어서 이미 2학년용을 다 취급하였다고 보아 이제 3학년용 『국어문법』 취급에 대해 류의할 바를 말하려 한다. 3학년에 있어서는 출발점의 활용과 단 중모음 동화작용 장단 및 명사 수사 체언과 □와□ 관계 동...
    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49_1110_03 | 날짜1949년 11월 10일

기타자료(3)

  • (지상국토순례) 국난극복의 진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지상국토순례) 국난극복의 진주 (지상국토순례) 국난극복의 진주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영동 | 사료철명교육경남
  • (성터를 찾아서) 국력총화와 국난극복의 진주성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성터를 찾아서) 국력총화와 국난극복의 진주성 (성터를 찾아서) 국력총화와 국난극복의 진주성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규혁 | 사료철명교육경남
  • 강진 용운리 청자요지 발굴조사보고서-청자9호‧10호요-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있다. 따라서 Ⅱ나 유형의 청자를 생산한 중간 層位는 청자수요의 급증과 지방수요에도 응하는 하나의 대량 생산을 하던 과도기라고 생각한다. 또한 우수한 청마 번조의 같은 기법이 규석 눈 번조이다. 용운리 10호 Ⅱ다 유형은 수량은 적지만 전부 규석 눈 받침이다....
    발행연도1996(도판편)/1997(본문편) | 발굴기관국립중앙박물관 | 발굴지역전라남도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26)

  • / [언어/언어/문자]

    품사의 일종. 발화장면(發話場面)이나 담화 또는 문장 속에 주어진 대상이나 문장 자체를 이름 대신 직접 가리켜 부르는 단어의 집합을 말한다.가 발화장면 속에 주어진 인물이나 사물을 직접 가리킬 때 이를 화용적 용법(話用的用法)이라 하고, 담화나 문장 속에 주어진

  • 지시 / 指示 [언어/언어/문자]

    를 인칭와 지시로 양분하는 체계에서의 의 한 하위류. 사물을 가리키는 ‘이것, 그것, 저것, 무엇’과 처소를 가리키는 ‘여기, 거기, 저기, 어디’를 묶어 지시로 한다. 따라서, 지시는 흔히 사물와 처소로 다시 가른다. 그리

  • 보충법 / 補充法 [언어/언어/문자]

    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나’(1인칭), ‘너’(2인칭), ‘저’(낮춤의 1인칭)의 복수는 ‘우리’, ‘너희’, ‘저희’이다. ‘너희, 저희’의 경우를 보면 각각 ‘너+희’, ‘저+희’가 결합한 형태를 보이는 반면, ‘나’에 대한 복수 는 어원적

  • 명사 / 名詞 [언어/언어/문자]

    격조사를 취하고, 그 관형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는 단어들로서 주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품사. 대체로 사물의 명칭과 개념을 나타내며, ·수사와 함께 체언에 포함된다. 명사 또는 이름씨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 사물을 가리키거나 부르는 의미기능을 지닌다. 이는 사

  • 초급국어문법 / [언어/언어/문자]

    품사 개설, 주어·서술어·수식어·한정어, 활용’의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말 그대로 개설적 내용이다. 2편 품사는 본문 전체 180쪽 중 120쪽을 차지한다. 이 책의 중심이 되는 내용인 것이다. ‘명사, , 조사, 동사, 형용사, 존재사, 관형사, 부사, 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