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립가” 에 대한 검색결과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2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필)보다 몇 배나 되는 가 공공연히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조정에서는 대립을 공인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를 공정하는 조처를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시기에는 지방 장시의 등장과 국제 무역의 성행 등의 상업 발달로 면포는 국내외적으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전기에 서울에 번상(番上)하는 군사가 실역(實役)을 면제받는 대신 지불한 값
    정의조선 전기에 서울에 번상(番上)하는 군사가 실역(實役)을 면제받는 대신 지불한 값 | 문광부표기daeripga | MR표기taeripk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방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 대신 입역하게 하고 자신은 귀향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번상으로 인해 자신의 생활권조차 위협을 받게 된 군사의 편의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러나 점차 각 관 말단 관리의 영리 행위로 자행되고 있었다. 또 도 1인당 면포 1필을 초과할 수 없다는...
  • 군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수를 각각 다르게 규정하였다. 이들의 정군에 대한 재정적 부담은 매월 면포(綿布) 1필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15세기 말 이후 수포대립제(收布代立制)ㆍ방군수포제(放軍收布制)가 성행하면서 ()가 폭등함에 따라 이들의 부담은 엄청나게 늘어나 이를 감당...
  • 신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고 귀향하는 수포대립제(收布代立制)가 유행하였다. 그 결과 군역 의무가 신포, 즉 군포(軍布)를 경중에 납부하는 식으로 바뀌었고 관리들과 결탁한 대립인은 역이 고되다 하여 두 달에 15, 16필의 ( : 軍布)를 요구하였다. 이에 번상 군사가...

고서·고문서(1)

  • □□□□。○吉哉答言“唐津防浦, 爲之可矣, 母氏有病, 吾身難遠出, 見勢更通”云云。○忠甲答言“壽祺母近日極羸, 恐難支”云云, 可傷。○靑坡葬所定於竹山, 外槨、板, 可爲云云。翰林簡陳也。○朴貴孫送藥材及煎藥一沙合。○南伯順寄音問, 送曆三事。 1546년 12월 18일...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경제]

    조선 전기에 서울에 번상하는 군사가 실역을 면제받는 대신 지불한 값. 1464년(세조 10) 보법이 시행된 뒤, 과도한 군액의 책정으로 일반 가호에 돌려진 군역 부담자의 수가 늘어났다. 또 서울에서의 입번중 여건도 악화된 가운데 대립이라는 변칙적인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