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롱옥” 에 대한 검색결과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라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초기철기시대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조선시대까지도 쓰였다. 은 처음에는 새뼈같이 속이 빈 뼈를 잘라서 만든 것에서 출발하였다고 생각되어지며, 실제로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이러한 새뼈로 만든 들이 출토된다. 그밖에 신석기시대는...
    이칭별칭관옥(管玉)|조옥(棗玉)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멍이 뚫린 짧은 대롱 모양의 구슬.
    정의구멍이 뚫린 짧은 대롱 모양의 구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aerongok | MR표기taerong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래패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귀(雙耳)가 달리고 가볍게 바라진 아가리가 달린 형태와 좁은 바닥에 역시 몸이 장타원형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김해 회현리패총 출토품과는 계통이 다르며 보다 발달한 형식인데, 부장품으로는 항아리 1개, 유리 (管玉) 약간과 쇠못(鐵釘) 1점이 출토되었다.
  • 강계풍룡동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동서방향이고, 안쪽 길이 약 240㎝, 서쪽 너비 60㎝, 동쪽 너비 45㎝이며, 바닥은 동서 벽보다 약 15㎝쯤 높게 되어 있다. 출토유물은 토기 2점, 벽옥제 (碧玉製 管玉) 27점, 홍마노제옥(紅瑪瑙製玉) 7점, 청동제 단추형 장식 1점, 돌화살촉(石鏃...
    이칭별칭강계풍룡동고분
  • 부여송국리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발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비파형동검과 돌화살촉, (管玉), 장식옥(飾玉)이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출토된 동검을 보면 봉부(鋒部)에서 꼬다리(莖部) 끝까지의 길이가 33.4㎝로, 등날이 봉부의 선단(先端)까지 발달하고, 등대의 중간에 돌기부(突起部)가 뚜렷하...

고서·고문서(7)

주제어사전(6)

  • / ─玉 [역사/선사시대사]

    구멍을 뚫은 짧은 대롱모양의 구슬. 짧은 것은 1㎝ 이하에서 긴 것은 10㎝ 이상 되는 것이 있다. 구슬 중에서는 가장 먼저 발생한 형식으로 주로 목걸이에 쓰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초기철기시대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조선시대까지도 쓰였다.

  • 배천대아리석관묘 / 白川大雅里石棺墓 [역사/선사시대사]

    10점, 〔管玉〕 1점 등 모두 13점이다.

  • 부산수안동패총 / 釜山壽安洞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적갈색 연질토기(赤褐色軟質土器), 유리제 [瑠璃製管玉] 및 원형 철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 강계풍룡동유적 / 江界豊龍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북도 강계군 어뢰면 풍룡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분묘 유적. 장축(長軸)이 동서방향이고, 안쪽 길이 약 240㎝, 서쪽 너비 60㎝, 동쪽 너비 45㎝이며, 바닥은 동서 벽보다 약 15㎝쯤 높게 되어 있다. 출토유물은 토기 2점, 벽옥제 (碧玉製 管玉) 27점

  • 망울구슬 / Mangwulguseul [역사/선사시대사]

    유리로 만든 구슬옥[球玉], 북옥[鼓玉] 또는 [管玉] 등의 표면에 다른 색의 유리를 모자이크처럼 작은 원형으로 여러 개 박아놓은 구슬. 청령옥(蜻蛉玉)이라고도 한다. 그 모습이 잠자리눈과 같다고 해서 일본문헌에서는 ‘잠자리구슬’으로 불린다. 이러한 구슬은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