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례복” 에 대한 검색결과 1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2)

사전(7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국가의 중대한 의식 때 입던 예복. [내용] 조선시대는 오례(五禮 : 家禮‧吉禮‧賓禮‧軍禮‧凶禮)에 따라 제복(祭服)‧조복(朝服)‧공복(公服)‧상복(常服)‧시복(時服)을 착용하였다. 1895년 8월 10일 ‧소...
    연계항목대례복(大禮服)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가의 중대한 의식 때 입는 예복
    정의국가의 중대한 의식 때 입는 예복 | 문광부표기daeryebok | MR표기taeryeb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갑오의제개혁(甲午衣制改革), 문관복장규칙(文官服裝規則), 외교관(外交官), 원수부(元帥府), 흑단령(黑團領)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국 대한제국기 고종, 순종 목수현
    관련어갑오의제개혁(甲午衣制改革), 문관복장규칙(文官服裝規則), 외교관(外交官), 원수부(元帥府), 흑단령(黑團領)
  • 떨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을 입고 큰머리를 할 때 머리에 꽂는 장식품. [내용] ‘떨철반자’라고도 한다. 모양은 중앙에 꽂는 나비 모양을 한 선봉잠과 양쪽에 꽂는 둥근 모양의 반자가 있으며, 사각모양의 것도 있다. 재료는 지름 6∼8㎝ 정도 크기의
    이칭별칭떨철반자
  • 구장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 왕이나 대한제국 시기의 황태자가 착용하였던 의 일부가 남은 진품으로 그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은조사 구장복은 고종이 착용하였던 것이라고 전해진다. 1918년 영친왕이 영녕전(永寧殿)을 참배하면서 면복을 착용하였는데 이 때...
    이칭별칭면복(冕服) | 연계항목구장복(九章服)

고서·고문서(6)

  • 公文雑纂・大正九年・第一巻・内閣一・鉄道院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1020892016102089_025 公文雑纂・大正九年・第一巻・内閣一・鉄道院 朝鮮貴族有爵者制ヲ廃止シ朝鮮貴族有爵者モ内地ノ有爵者ト同様有爵者制ニ依ラシムルコトニ付宮内大臣ヘ照会ノ件 조선귀족 중 작위가 있는 자의 제를 폐지하고 조선 귀족 중 작...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7. 01.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故大勲位李王国葬書類 巻二・大正十五年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다. 참석자의 복장은 , 정장이었다. 有位者는 또는 통상예복(연미복)을 입고, 服制의 적용을 받지 않는 자는 통상예복(연미복)이나 그에 상당하는 옷을 입도록 하였다. 단 조선인은 앞의 규정에 관계없이 고유의 祭服을 입을 수 있었다. 앞의 규정에 해당하지...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04.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9432 B009432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5年 6月 8日_009 張氣勢, 勵其距角, 攻擊之, 斥逐之, 使不敢復言者, 皆此輩之揶揄也。 及其正, 國是改定之後, 不思悛改, 反懷怨毒, 益肆邪詖之說, 煽動不逞之徒, 弼明之圖說, 尙敏之冊子, 亦皆此輩之意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95 B007595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5年 6月 8日_009 張氣勢, 勵其距角, 攻擊之, 斥逐之, 使不敢復言者, 皆此輩之揶揄也。 及其正, 國是改定之後, 不思悛改, 反懷怨毒, 益肆邪詖之說, 煽動不逞之徒, 弼明之圖說, 尙敏之冊子, 亦皆此輩之意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겨드랑이에 대는 딴 폭)도 좁아졌는데 이것을 소례복(小禮服)이라 하였으며, 여기에 흉배를 달아 으로 대신하기도 하였다. 한편, 1895년 육군복장규칙(陸軍服裝規則)이 제정되어 구군복(舊軍服)은 구미식 군복으로 바뀌게 되었다. 1899년에는 외교관의 복장이 서양...
    자료명옛날 대관의 승교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기초학문(1)

  • 대한제국기 서구식 문관 상의 수장(袖章)의 자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미, 게재일 : 2015
    56266 이경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복문화학회 2015 대한제국기 서구식 문관 상의 수장(袖章)의 자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64)

  • 視察準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국 시찰로 건너간 일십륙인이일본궁셩통텹을인야본월십삼일에쥬임통역관 이인을 동고 일본 황뎨 폐현얏난 일십팔인즁에 사도 을 쥰비인원이업셔셔금번에다만후록고투만닙고폐현얏스나일후귀국로 직폐현에난 불가불 을 입을로 일본동경양복...
    게재일1907년 5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문무관 燕尾服연미복의 禮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문무관 燕尾服연미복의 禮服례복 쟝교의 軍服 군복과 례복 병뎡의 軍服과 外套 외투와  각죵융속을 염가로 방고 이번 폐졈에셔 이상 각죵군복을 졔죠는 품질을 십분쳥결을 고 봉은 연슉쟝 슈명을 동경으로셔 고입고 갑도 다른상졈보덤 뎨일 염게...
    게재일1903년 4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 문무관 燕尾服연미복의 禮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문무관 燕尾服연미복의 禮服례복 쟝교의 軍服 군복과 례복 병뎡의 軍服과 外套 외투와  각죵융속을 염가로 방고 이번 폐졈에셔 이상 각죵군복을 졔죠는 품질을 십분쳥결을 고 봉은 연슉쟝 슈명을 동경으로셔 고입고 갑도 다른상졈보덤 뎨일 염게...
    게재일1903년 3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문무관 燕尾服연미복의 禮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문무관 燕尾服연미복의 禮服례복 쟝교의 軍服 군복과 례복 병뎡의 軍服과 外套 외투와  각죵융속을 염가로 방고 이번 폐졈에셔 이상 각죵군복을 졔죠는 품질을 십분쳥결을 고 봉은 연슉쟝 슈명을 동경으로셔 고입고 갑도 다른상졈보덤 뎨일 염게...
    게재일1903년 4월 4일 | 기사분류광고
  • 문무관 燕尾服연미복의 禮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문무관 燕尾服연미복의 禮服례복 쟝교의 軍服 군복과 례복 병뎡의 軍服과 外套 외투와  각죵융속을 염가로 방고 이번 폐졈에셔 이상 각죵군복을 졔죠는 품질을 십분쳥결을 고 봉은 연슉쟝 슈명을 동경으로셔 고입고 갑도 다른상졈보덤 뎨일 염게...
    게재일1903년 4월 4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12)

  • / [생활/민속]

    국가의 중대한 의식 때 입던 예복. 조선시대는 오례에 따라 제복·조복·공복·상복·시복을 착용하였다. 1895년 8월 10일 ·소례복·상복을 제정, 반포한 뒤 대례·소례에 따라 ·소례복을 입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으로는, 왕·왕세자에게는 면복

  • 소례복 / 小禮服 [생활/의생활]

    국가의 작은 의식 때 입던 예복. 조선시대에는 오례(五禮 : 가례·길례·빈례·군례·흉례)에 따라 제복(祭服)·조복(朝服)·공복(公服)·상복(常服)·시복(時服)을 착용하였다. 1895년 8월 10일에 ·소례복·상복을 제정, 반포한 뒤에는 대례·소례에 따라 ·

  • 대수 / 大首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왕비가 에 하던 머리모양. 위보다 아래가 넓은 형태로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대수는 ≪진서 晉書≫ 여복지(輿服志)의 “대수계(大手髻) 7개의 비녀가 계(髻)를 덮었다.”라는 구절로 미루어 오래 전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우리 나라에서 왕비의

  • 옥규 / 玉圭 [정치·법제]

    왕, 왕비, 세자비, 세자빈이 을 착용하고 손에 쥐는 것. 옥으로 만든 규의 총칭이다. 왕과 왕세자는 청옥으로 하고, 왕비와 왕세자빈은 백옥으로 한다. 신분에 따라 길이와 넓이가 달라 왕과 왕비는 9촌, 왕세자와 빈은 7촌으로 한다. 고려 문종 3년(1059)

  • 청옥규 / 靑玉圭 [정치·법제]

    왕과 왕세자가 착용시 손에 쥐는 물건. 위는 뾰족하고 아래는 네모지게 만들며 왕은 너비 3촌과 길이 9촌, 두께 5푼의 청옥으로, 왕세자는 길이 7촌의 규를 오른손으로 아래를 쥐고 왼손으로 위를 쥔다. 국장과 관련해서는 오례의에 규정된 청옥규를 대신하여 백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