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두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1)
- 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문은 행서 또는 반초서로 쓴 것을 판각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이는 아마 서문을 쓴 사람의 명망과 더불어 문집을 드러내고자 하는 의식에서 이루어진 것 같고, 특별히 왕의 서문을 붙이는 경우는 본문에서도 대두법(擡頭法)이나 공격(空格)을 사용하여 경의를 표...
고서·고문서(2)
- 聖學輯要序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則或拘於記誦之習, 或淫於詞藻之華, 其於窮理正心、修己治人之道, 未必眞能有得也。 臣以腐儒遭遇明時, 仰覩殿 殿: 인조본, 숙종본, 영조본 모두 대두법으로 한 줄 바꿔쓰기함.下聰明睿智出於天資, 誠以學問之功, 涵養成就, 以充其量, 則東方可見堯 、舜之治, 千載一時, 幾不可失。 顧...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화류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시고 당의 안진양친셕반으로 공긔니 좌우의 동긔질항 질항: 질항(姪行). 조카가 되는 관계.연이 다가도록 시람 시람: 시름. 업 우리셰월오날갓치 지리라: 대두법(擡頭法)으로 내용이 바뀜을 표시한 것으로 추정한다.야야 할미소회 드러셔라너어미 은덕으로 금옥갓한...가사유형풍류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주제어사전(1)
-
대두법 / 擡頭法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 원문에서 중간에 행을 바꾸고 다음 행의 첫글자를 다른 행보다 올려 적었을 때, 올려 쓴 글자 앞에 표시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