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동운부군옥” 에 대한 검색결과 22,8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850)

사전(22,83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우리 나라의 운별 사전임을 밝힌 것이다.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은 저자가 대구부사(大丘府使)로 있을 때인 1589년(선조 22) 20권 20책으로 편찬을 완료하고, 세 벌을 정서해 두었다. 그 중 한 벌을 1591년 부제학 김성일(金...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선조 때 권문해(權文海, 1534-1591)가 편찬한 일종의 백과전서.
    정의조선 선조 때 권문해(權文海, 1534-1591)가 편찬한 일종의 백과전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aedong unbu gunok | MR표기Taedong unbu kun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책판(부)고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89년(선조 22) 권문해(權文海)가 편찬한 ≪≫의 책판과 고본. [내용] 667판, 고본 3종 27책. 보물 제878호. 이 중 책판은 초판본의 판목이 남아 있는 것이며, 고본은 체재와 형식 등이 다소 다른 미완질의 것...
  • 목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구성 및 형식] 작품은 전하지 않고, 그 지어진 내력만이 『고려사』 악지(樂志) 삼국속악조(三國俗樂條)와 『증보문헌비고』 악고(樂考) 17과 『』 권18에 각각 비슷한 내용으로 기록되어
    이칭별칭목주가
  • TD_D2_D_0010 八關 불교 新羅 麗太祖 D_04_05_02 4권 5장 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5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1)

주제어사전(19)

  • / [종교·철학/유학]

    조선 선조 때 권문해가 편찬한 일종의 백과전서. 20권 20책. 목판본. 한중 두 나라의 문헌 중 단군시대로부터 편찬 당시까지 우리 나라의 지리·역사·인물·문학·식물·동물 등을 총망라하여 운별로 분류해 놓은 책이다. ≪≫의 목록은 ≪운부군옥≫과는 달리 유목

  • 목주 / 木州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작품은 전하지 않고, 그 지어진 내력만이 『고려사』 악지(樂志) 삼국속악조(三國俗樂條)와 『증보문헌비고』 악고(樂考) 17과 『』 권18에 각각 비슷한 내용으로 기록되어 전한다. 『고려사』에 실린 제목은 ‘목주’이고,

  • 한문소설 / 漢文小說 [문학/한문학]

    할 수 있는 작품들이 발견된다. 『삼국유사』에 실린 「김현감호」와 「조신」, 『수이전』의 잔편으로 『 』과 『태평통재 太平通載』에 실려 있는 「최치원」과 『』의 「수삽석남 首揷石枏」, 그리고 『삼국사기』 열전(列傳)에 실려 있는 「온달

  • 노옹화구설화 / [문학/구비문학]

    신라 때 김유신(金庾信)을 찾아온 한 노인이 변신술을 부렸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變身譚)에 속한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 『수이전(殊異傳)』에 수록되어 있었다고 하며, 조선 선조 때 권문해(權文海)가 엮은 『()』에 실려 있

  • 송도말년의불가사리 / [문학/구비문학]

    도저히 당해낼 수 없는 일을 하는 사람을 빗대어 이르는 속담설화. 『 』에 따르면 불가사리는 상상의 짐승으로 곰같이 생겼으며 악몽과 요사한 기운을 물리친다고 했으나, 여기서는 마구잡이로 아무 일이나 저질러 감당할 수 없는 존재를 가리키는 말로 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