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동사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46)
- 대동사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례대로 시행되었다. 그리고 황해도에는 1708년 대동법을 모방한 상정법(詳定法)이 실시되었는데, 그 때마다 실시 지역의 사정에 알맞게 시행세칙을 정하였던 것이다. 현재 「충청도대동사목」과 「전남도대동사목」이 남아 있다. 「충청도대동사목」을 예로 들면, 표제(表題...
- 대동사목(大同事目)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동사목 대동사목 大同事目 대동법(大同法), 선혜법(宣惠法) 호서대동사목(湖西大同事目), 호남대동사목(湖南大同事目), 영남대동사목(嶺南大同事目) 대동청(大同廳), 선혜청(宣惠廳), 호서청(湖西廳), 호남청(湖南廳), 영남청(嶺南廳)상위어대동법(大同法), 선혜법(宣惠法) | 하위어호서대동사목(湖西大同事目), 호남대동사목(湖南大同事目), 영남대동사목(嶺南大同事目) | 관련어대동청(大同廳), 선혜청(宣惠廳), 호서청(湖西廳), 호남청(湖南廳), 영남청(嶺南廳)
- 대동미(大同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확대 시행되었다. 대동법의 시행을 계기로 토지의 다과에 따라 결당 평균 12두의 대동세가 수취되어 선혜청 창고와 지방 관아의 재원으로 활용되었다. [내용 및 특징] 현존하는 호서, 호남, 영남 지역의 『대동사목(大同事目)』을 살펴보면, 각 도의 토지 결수와 결당...상위어대동법(大同法) | 동의어대동세(大同稅) | 관련어공납제(貢納制), 상납미(上納米), 유치미(留置米), 선혜청(宣惠廳)
- 녹봉횡간(祿俸橫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녹봉횡간 녹봉횡간 祿俸橫看 공안(貢案), 녹과(祿科), 녹봉(祿俸), 대동사목(大同事目), 횡간(橫看) 정치행정/문서·행정용어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세조~영조 유지영 [정의] 조선시대 녹...관련어공안(貢案), 녹과(祿科), 녹봉(祿俸), 대동사목(大同事目), 횡간(橫看)
- 주전(廚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줄일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동미가 부족한 지방은 자체적으로 민고(民庫)를 두고 운영하기도 하였다. 『목민심서(牧民心書)』 『영남대동사목(嶺南大同事目)』 『호서대동사목(湖西大同事目)』관련어사신(使臣), 영접도감(迎接都監), 접대도감(接待都監)
고서·고문서(8)
- 광어(廣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之穀, 盡歸私用, 多貿皮楮, 分給寺刹, 勒令造紙, 卷數旣多, 紙品過好, 僧人輩皆怨是如有白旀。 長鬐縣監朴燂段, 詞訟文書, 專委下吏, 吏緣爲奸, 處決多誤哛不喩, 大同事目中, 進上乾廣魚·乾大口, 每一尾價, 米二斗式折定爲白有去乙, 只以若干米升分給海夫, 收捧之際, 稱以封餘, 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此米之分給, 雖出於一時救民, 而此是大同, 如有不納未收之事, 則依大同事目, 當該守令拿問, 解由拘礙, 然後庶可爲守令動念奉行之道, 而江都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此米之分給, 雖出於一時救民, 而此是大同, 如有不納未收之事, 則依大同事目, 當該守令拿問, 解由拘礙, 然後庶可爲守令動念奉行之道, 而江都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何如? 此米之分給, 雖出於一時救民, 而此是大同, 如有不納未收之事, 則依大同事目, 當該守令拿問, 解由拘礙, 然後庶可爲守令動念奉行之道, 而江都米十六萬石內, 戶曹貸用, 至七萬石之多, 而一不還報, 雖緣經用之難繼, 每年如此, 何時責捧乎? 上曰, 向來李箕鎭, 豈不執留米船乎? 東弼...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813 B076813 동래 東萊 정치행정 顯宗實錄 五年(1664) 七月 현종실록_10507008_002 大同事目頒布後, 追送何如?” 上曰: “然則先送西路乎?” 太和曰: “斷自宸衷而送之。” 太和曰: “金壽恒以北道試才事, 近將下去。 臣意則南道人物最盛, 奉使之臣, 留住...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대동사목 / 大同事目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대동법 실시에 따른 시행세칙. 대동법은 15세기 중엽 이래 누적되어온 공납제의 모순을 타개하기 위한 제도였다. 이 제도는 1608년(선조 41) 이원익의 건의에 따라 최초로 경기도에서 실시. 그 뒤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지에 차례대로 시행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