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동법” 에 대한 검색결과 4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5)

사전(4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 함께 1647년(인조 14)부터 수미법(別收法)이 시행되어 이미 의 효과를 대신하고 있었던 때문에 시행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왕조에서는 국용의 기반을 전통적인 수취체제에 따라 전세(田稅)‧공물‧진상‧잡세(雜稅)‧잡역(雜役:徭役) 등에 두었...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후기에, 여러 가지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납세 제도
    정의조선 중기‧후기에, 여러 가지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납세 제도 | 문광부표기Daedongbeop | MR표기Taedongp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납제(貢納制) 경대동(京大同), 사대동(私大同) 방납(防納), 수미법(收米法), 사주인(私主人), 공물주인(貢物主人), 공인(貢人), 상정법(詳定法) 경제재정/공물·진상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후기...
    상위어공납제(貢納制) | 하위어경대동(京大同), 사대동(私大同) | 관련어방납(防納), 수미법(收米法), 사주인(私主人), 공물주인(貢物主人), 공인(貢人), 상정법(詳定法)
  • 대동상정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함경도‧강원도‧황해도에 실시되었던 변형된 (). [내용] 상정법이라고도 하였다. 은 호세(戶稅)이었던 공납(貢納)을 전세화(田稅化)하여 토지의 등급에 상관없이 1결 12두씩을 일괄적으로 부과한 수취제도이었다. ...
  • 시행기념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평택시 소사동 에 있는 비. [개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0호. 이 비는 1659년(효종 10)에 김육(金堉)이 충청감사로 있을 때 삼남지방에 을 실시하면서 백성들에게 균역(均役)하게...
    이칭별칭김육대동균역만세불망비(金堉大同均役萬世不忘碑)|호서선혜비(湖西宣惠碑) | 연계항목대동법시행기념비(大同法施行記念碑)

고서·고문서(25)

  • 지세에 관련한 조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조선시대의 지세제도와 운영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조사보고서이다. 문헌조사 등을 토대로 내용을 기술한 것으로, 지세에 관한 최종 기술보고서의 초고로 추정된다. 조선의 개국으로부터 균역법(均役法)을 시행한 18세기 중엽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로...
    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續大典》曰:“京畿ㆍ江原道ㆍ湖西ㆍ湖南ㆍ嶺南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120 經世遺表 卷七 ITKC_MP_0597A_1120_020_0030 《續大典》曰:“京畿ㆍ江原道ㆍ湖西ㆍ湖南ㆍ嶺南行。”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
    권차명經世遺表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36697 B036697 내포 內浦 군사교통 孝宗實錄 元年(1650) 六月 효종실록_10106008_001 諫院啓曰: “政莫大於安民, 安民之本, 莫先於均役, 而圻甸、關東、海西則旣行, 以均其役, 三南則壬辰亂後, 權定貢案, 伊時以被兵各邑之役, 移定於內浦完全之地,
    출처전거孝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69년 원두표(元斗杓)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면서 이어서 을 행하는 것은 법망이 치밀하기 때문에 시행될지의 여부는 확신할 수 없음을 덧붙이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복내 죽산안씨 죽곡정사
  • 36696 B036696 내포 內浦 군사교통 孝宗實錄 元年(1650) 六月 효종실록_10106008_001 ○庚寅 / 諫院啓曰: “政莫大於安民, 安民之本, 莫先於均役, 而圻甸、關東、海西則旣行, 以均其役, 三南則壬辰亂後, 權定貢案, 伊時以被兵各邑之役, 移定於內浦完...
    출처전거孝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멀티미디어(1)

  • 한국 유학의 논쟁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교문명국 조선의 건설 3주차. 조선시대 장부와 해부에 대한 관념 4주차. 조선 유학의 사단칠정논변 5주차. 예송 6주차. 열녀의 탄생 7주차. 조선의 법치 8주차. 조선 최고의 개혁 9주차. 소재 노수신과 조선의 양명학 10주차. 논쟁으로서의 서학 강명관

연구과제(2)

  • 공동체와 공유의 인류사 : 21세기의 비상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항녕 | 전주대학교 | 2024 | 국내 | 전북

  • 영․정조대 국가운영과 왕실재정-정례서를 통해 본 왕실과 나라 살림-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9)

  • /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에 공납제를 폐지하고 그에 대신해서 제정·실시한 재정제도. 조선 전기 농민이 호역(戶役)으로 부담하였던 온갖 세납, 즉 중앙의 공물·진상과 지방의 관수·쇄마 등을 모두 전결세화하여 1결(結)에 쌀 12말씩을 징수하고, 이를 중앙과 지방의 각 관서에 배분하여

  • 대동상정법 / 大同詳定法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함경도·강원도·황해도에 실시되었던 변형된 . 대동상정법은 일률적인 세액을 부과함으로써 야기된 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되어 지방에 따라 효과적으로 시행되기도 하였으나, 제도의 미비점과 시행상의 어려움 때문에 또 다른 문제점을 낳기도 하여

  • 군선가미 / 軍船價米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때 군선을 신조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비축하여 둔 미곡. 조선 후기 이 실시된 뒤 각종 군선과 조운선 등 관선을 건조 또는 수리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대동미로서 충당되었다.

  • 대동사목 / 大同事目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실시에 따른 시행세칙. 은 15세기 중엽 이래 누적되어온 공납제의 모순을 타개하기 위한 제도였다. 이 제도는 1608년(선조 41) 이원익의 건의에 따라 최초로 경기도에서 실시. 그 뒤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지에 차례대로 시행되

  • 대동청 / 大同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재정 제도인 대동미를 관장하던 관서. 임진왜란 이후 다시 논의되어 이른바 선혜지법(宣惠之法)으로 이라 하여 1608년(광해군 즉위년) 경기도에만 실시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경기대동사(京畿大同事)를 관장할 경기청을 설치한 것이 대동청의 시초였다.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