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동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고성 계승사 백악기 퇴적구조
- 김포시
- 단양군
연구성과물(82)
사전(62)
- 대동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층은 하부‧중부‧상부로 세분되어 대동계(大同系)라고 불리게 되었으나 하부와 중부를 합하여 다시 대동층이라 명명하고, 상부는 암질과 지질 구조가 전혀 다르므로 대보층(大寶層)으로 명명하게 되었다. 그 뒤 대동층은 더 구체화되어 하부대동층을 선연통(嬋娟統), 중부대...
- 대동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사건의 증거로 거론된 조직. [내용] 정여립은 병란이 일어나게 될 것을 미리 알고 기회를 보아 난을 일으키려고 전주ㆍ금구ㆍ태인 등 이웃 고을의 여러 무사들과 공ㆍ사천의 노비 등 계급의 상하를 통하여 계를 조...
- 대동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588년 정여립(鄭汝立, 1546-1589)이 역모사건을 꾀할 때 만든 단체.정의1588년 정여립(鄭汝立, 1546-1589)이 역모사건을 꾀할 때 만든 단체.[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aedonggye | MR표기Taedongg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상계(上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상계 상계 上契 대동계(大同契), 상계안(上契案), 상하합계(上下合契), 하계(下契) 사회향촌/계 집단 기구 조선 조선 이해준 [정의] 조선시대에 상층민과 하층민을 결합한 형...관련어대동계(大同契), 상계안(上契案), 상하합계(上下合契), 하계(下契)
- 하계(下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하계 하계 下契 대동계(大同契), 상하합계(上下合契), 촌계(村契), 하계안(下契案), 두레 사회향촌/계 집단 기구 조선 조선 이해준 [정의] 조선시대에 상층민과 하층민을 결...관련어대동계(大同契), 상하합계(上下合契), 촌계(村契), 하계안(下契案), 두레
고서·고문서(18)
- 대동계봉단책(大同禊捧單冊)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68년 12월에 유기성(柳基性) 등이 대동계(大同禊)를 조직하면서 만든 책자이다. 각 계원에게 나락을 거두어서 그것을 식리(殖利)하였다가 계원이 상(喪)을 당했을 때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든 것이다. 계원은 송영구(宋永龜)부터 정두필(鄭斗弼)까지 200명이 올...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현소장처담양 모현관
- 1889년 송촌동 대동계좌목(大同契座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현소장처대전 선사박물관
- 1769년 송촌동 대동계첩(大同契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현소장처대전 선사박물관
- 신묘년 대동계화곡봉상기(大同契禾穀捧上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밧자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밧자기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739~1748년 송촌동 대동계좌목(大同契座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현소장처대전 선사박물관
구술자료(1)
- 상여 대동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마을에 고래로부터 전해지는 계가 있는가 묻자 제보자는 첫 말문을 열기가 어색한 듯, 쑥쓰러워 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1982-07-15 | 조사장소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 제보자장재순
기초학문(1)
- 20세기 전반 長興 老力島 大同契의 조직과 운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70209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20세기 전반 長興 老力島 大同契의 조직과 운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0
주제어사전(6)
-
대동계 / 大同系 [지리/자연지리]
지 백악기의 경상계(慶尙系)에 의하여 경사부정합으로 덮인다. 처음 평양 북서부에 있는 대동군(大同郡)에 분포된 지층에 일본인 학자에 의하여 대동층(大同層)이라는 층명이 주어졌다. 그 뒤 이 대동층은 하부·중부·상부로 세분되어 대동계(大同系)라고 불리게 되었으나 하부와
-
동계 / 洞契 [사회/촌락]
마을 또는 동리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를 위하여 공유재산을 마련하고 관리하는 자치 조직. 계란 특정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모여 공동으로 기금을 염출하고, 그 기금으로 식리(殖利)하여 목적을 달성하려는 결사체이다. 전통 촌락은 대부분 촌락의 복리증진과 협동, 동제 등
-
대동회 / 大洞會 [사회/촌락]
촌락사회의 운영을 논의하고 의결하는 자치적인 집회조직. 흔히 ‘동회(洞會)’·‘대동계(大洞契)’·‘동계(洞契)’·‘이중계(里中契)’라고도 한다. 이런 명칭들은 엄격히 따지면 각각 내용상의 차이가 있다. 대동회·동회·이중계는 촌락사회의 운영을 논의하기 위한 회합을 말한
-
봉명광산 / 鳳鳴鑛山 [경제·산업/산업]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외어리에 있었던 토상흑연질(土狀黑鉛質) 석탄광산. 정탄(精炭)의 탄질은 1㎏당 6,600cal로서 고질탄이므로 대괴탄(大塊炭)은 주물용의 연료로 공급되었다. 지질은 대동계(大同系) 단산층(檀山層)의 최상부 함탄대인 봉명리층(鳳鳴里層) 및 이를
-
충남탄전 / 忠南炭田 [경제·산업/산업]
충청남도 예산군·홍성군·청양군·부여군·서천군·보령시에 걸쳐 있었던 탄전. 탄전을 이루고 있는 퇴적암류는 쥐라기 대동계(大同系) 반송통(盤松統)에 해당되며, 하부로부터 하조층(下鳥層)·아미산층(峨嵋山層)·조계리층(造溪里層)·백운사층(白雲寺層)·성주리층(聖住里層)으로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