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독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6)
사전(48)
- 대독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 과거시험을 담당한 고시관. [내용] 공민왕 때와 조선 초의 과거에서 지공거(知貢擧)의 주관적인 평가를 막고자 고시관을 다수로 증가시켜 좌주(座主)와 문생(門生)의 결탁을 방지하였다. 대독관은 이 때 개혁된 과거제에서 증...
- 대독관(對讀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독관 대독관 對讀官 과거(科擧) 독권관(讀券官), 시관(試官), 전시(殿試), 친시(親試), 알성시(謁聖試), 정시(庭試), 중시(重試) 정치인사/선발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박현순 태종대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독권관(讀券官), 시관(試官), 전시(殿試), 친시(親試), 알성시(謁聖試), 정시(庭試), 중시(重試)
- 합고(合考)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합고 합고 合考 과거(科擧) 과차(科次), 대독관(對讀官), 독권관(讀券官), 분고(分考), 시관(試官)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박현순 [정의] 과거에서 시관들이 함께 모...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과차(科次), 대독관(對讀官), 독권관(讀券官), 분고(分考), 시관(試官)
- 김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직을 여러 차레 역임한 뒤 1426년 우대언(右代言)에 이르렀으며, 이듬해 인정전(仁政殿) 문과전시 때 대독관(對讀官)이 되었다. 뒤에 관직이 좌대언에 이르렀다.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
- 登俊試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J_0089 登俊試 관직 列卿, 大官, 宗室, 駙馬, 赴試, 親臨策問, 大臣, 對讀官, 正一品, 入試, 恩榮宴, 議政府, 壯元, 賜鞍馬, 設科取士, 重試, 遊街, 異數, 歷事四朝, 策勳 世祖, 成廟 溫陽, 行在所 永順君溥, 廣平大君,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6)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1912)이 親臨庭試 때 對讀官으로 참여한 내용으로 『李熹公從宦錄』(1)에서 채록하였다. 친임정시는 국왕이 직접 참관하는 과거시험을 말한다. 대독관은 독권관을 보좌하며 과거시험을 주관하던 관리였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1912)이 親臨庭試 때 對讀官으로 수행한 내용으로 『李熹公從宦錄』(1)에서 채록하였다. 친임정시는 국왕이 직접 참관하는 과거시험을 말한다. 대독관은 독권관을 보좌하며 과거시험을 주관하던 관리였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912)이 璿派應製에 對讀官으로 참여한 내용으로 『李熹公從宦錄』(1)에서 채록하였다. 璿派란 조선왕실에서 나온 전주 이씨 종파를 말하며, 應製란 왕의 특명으로 시행하는 제술시험의 일종이었다. 따라서 선파응제는 왕족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과거시험을 의미한다. 對讀官은 문과...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912)이 璿派應製에 對讀官으로 참여한 내용으로 『李熹公從宦錄』(1)에서 채록하였다. 선파는 조선왕실에서 나온 계보를 말하며 응제는 왕의 특명으로 시행하는 과거시험이었다. 대독관은 독권관을 보좌하며 과거시험을 주관하던 관리였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대정(大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能壽? 慶遇曰, 無百歲之人也。 多不過八九十矣。 上命監牧官先退, 弘文提學對讀官入侍事。 出榻敎 坐直承旨入侍事。 出榻敎 弘文提學李潭, 右承旨申光洙, 對讀官柳義養·鄭日謙, 以次進伏訖。 上命考文, 潭考之, 義養·日謙對讀, 考至三四軸, 上曰, 濟州文多迂闊乎? 潭曰, 然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2)
- 함남로동신문_1949_0118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4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 3구 3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쏘꼴로브쓰끼, 클레이 대독관리리사회, 정치리사회 【평양 14일발 조선중앙통신】 베를린 10일발 따쓰통신에 의하면 주독 쏘베트군정 정보국에서는 독일 포로병들의 송환계획안의 작성에...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118_04 | 책임주필강길모
- 투사신문_1948_1012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한효 평양시 민본리 15 투사신문사 주독미군정, 블랙·가―드, 흑색 친위대, 베를린직맹, 대독관리이사회, 쏘베트사령부, 안보리사회 (1면에서 계속)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쏘베트 점령 베를린 지구 아닌 베를린 서부지구에서 최근 수개월 동안에...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012_04 | 책임주필한효
- 함남로동신문_1949_0604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31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국내외통신과 아·야·위신쓰끼, 애치슨, 슈만, 베빈 대독관리리사회, 베를린련합사령부 또한 미국 영국 불란서의 3개국정부가 서부독일의 새점령지대를 통합할데대한 근본원칙들에 관하여 금년 4...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04_03 | 책임주필강길모
- 함남인민보_1949_0607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33 렴상준 함남시 중앙리3구37번지 함남인민보사 파리, 쏘련, 불란서, 미국, 영국, 워싱톤, 모쓰크바, 쏘베트 4개국 대독관리리사회 파리4상 회의, 포츠담회의, 크림회의 지난 5월 23일부터 파리에서는 세계인민들의 관심과 주시 밑에...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607_04 | 책임주필렴상준
- 투사신문_1950_0521_04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데 있는 것이다. 1947년4월에도 쏘련 정부는 련합국 령토 및 기타 국가의 령토에 있는 독일 포로병들을 송환할데 관한 4개국 계획을 작성하도록 대독관리리사회에 지시할 것을 미영 불 정부들에게 제의하였으며 또한 이와 같은 제의는 이미 모쓰크바 외상회의에서 접수되었었던...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21_04_01 | 책임주필한효
주제어사전(2)
-
대독관 / 對讀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과거시험을 담당한 고시관. 공민왕 때와 조선 초의 과거에서 지공거(知貢擧)의 주관적인 평가를 막고자 고시관을 다수로 증가시켜 좌주(座主)와 문생(門生)의 결탁을 방지하였다. 대독관은 이 때 개혁된 과거제에서 증가된 고시관의 하나이다. 이들은 응시자와 구문
-
구강 / 具康 [문학/고전시가]
(정조 22)사릉참봉(思陵參奉)에 임명되었다. 1800년(정조 23)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한 뒤 가주서(假注書)를 거쳐 1803년(순조 3)전적(典籍), 이듬해수안군수, 1806년(순조 6)장령, 이듬해대독관(對讀官)과 부사과를 거쳐 1808년정언(正言)으로 임명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