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도호부사” 에 대한 검색결과 1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2)

사전(10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 시대 대도호부의 장관직. [내용] 품계는 정3품이다. 외관직으로 안동‧강릉‧안변(安邊)‧영변(寧邊) 등에 파견되었으며, 기존 지역과 신생 지역의 통폐합이나 승강에 따라 치폐를 거듭하기도 하였다. ...
  • 도호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 지방행정구역 도호부의 장관직. [내용] 고려시대에는 4품 이상이었고, 조선시대에는 종3품이었다. →도호부 『고려사(高麗史)』 『경국대전(經國大典)』 ...
  • 김언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급제하였다. 연산군 때 정언(正言)ㆍ감찰(監察), 중종 때 장령(掌令)ㆍ강릉(江陵使) 등을 역임하였다. 연산군 때 경상감사 이점(李坫)이 왕에게 흰 꿩을 바친 것을 탄핵하다가 장령 유희철(柳希轍), 정언 서후(徐厚) 등과 함께 장형(杖刑)을 받았...
    이칭별칭 사형(士衡)
  • 구치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21(세종 3)∼1507(중종 2). 조선 중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능성(綾城). 할아버지는 안동 성로(成老)이고, 아버지는 목사 양(揚)이며, 어머니는 관찰사 윤사영(尹思永)의 딸이다. 형은 영의정 치관(致寬)이며,
    이칭별칭 호양(胡襄)
  • 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조선시대 지방장관직. 고려시대에는 개성부(開城府)와 지사부(知事府)의 수령을, 조선시대는 정3품의 (使)와 종3품의 도호부사(都護府使)를 가리키는 칭호였다. 지방제도로서 변방 및 행정 중심지에 설치하였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행정구역으로서의

고서·고문서(19)

  • 1854년 안동(安東使) 전령(傳令)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54년(철종 5) 4월 14일에, 안동부사가 동후면도곡동의 이임(里任)에게 발급한 산송 관련 전령이다. 고성이씨 문중은 도곡리에 있는 문중 묘역을 두고 영해의 권씨 문중과 분쟁을 벌였다. 이 분쟁은 1735년부터 시작되어 1854년까지 1백여 년 동안 계속되었다. ...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전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27년 안동(安東使) 전령(傳令)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27년(순조 27) 11월 25일, 안동부사가 풍남면 면주인에게 하회 풍산 류씨 문중의 산송과 관련한 사항으로 보낸 전령이다. 류씨 문중은 1826년부터 1831년까지 김제리에 사는 김학연 등의 인물과 대곡산 산지를 놓고 산송을 벌였다. 소송 상대자로 김학연 외에 ...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전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40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40년 3월 4일, 헌종이 이원조를 통훈대부 행 강릉 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품계이고 강릉 는 정3품 외관직이다. 이원조는 1809년 문과에 급제하고 이후 여러 벼슬을 거쳐 1839년 당하관 중 가장 높은 관직인 군자감 정에 임...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691년 김상(金瑺) 외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1년(숙종17) 김상 등 광산김씨가 인물 69명이 선대의 사우 건립을 위해 관의 지원을 청원하는 문서를 안동에게 올렸다.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565년 윤복(尹復)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5년(明宗20) 6월 15일에 윤복을 통훈대부 안동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주제어사전(8)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대도호부의 장관직. 품계는 정3품이다. 외관직으로 안동·강릉·안변(安邊)·영변(寧邊) 등에 파견되었으며, 기존 지역과 신생 지역의 통폐합이나 승강에 따라 치폐를 거듭하기도 하였다. 동반 정3품 외관직명으로 대도호부(大都護府)(안동(安東)·강릉(江陵)·

  • 부사 / 府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지방장관직. 고려시대에는 개성부(開城府)와 지사부(知事府)의 수령을, 조선시대는 정3품의 (使)와 종3품의 도호부사(都護府使)를 가리키는 칭호였다.

  • 이평 / 李枰 [종교·철학/유학]

    ?∼? 조선 전기의 문신. 계을 증손, 할아버지는 신, 아버지는 구관, 희순의 아버지이다. 일찍 문음으로 관직에 진출하였다. 충청도병마절도사, 병조참지, 강릉, 대사간 등을 역힘하였다.

  • 어모장군 / 禦侮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관직으로는 첨위·상호군·목사· 등이 있다.

  • 전 / 箋 [문학/한문학]

    국가에 길사나 흉사가 있을 때 왕에게 아뢰는 사륙체의 글. 사륙체는 한문체의 하나로 4자와 6자를 기본으로 하여 대구를 쓰는 문체. 예를 들면, 정조(正朝)·동지(冬至)·대전탄일(大殿誕日)에 유수·관찰사·절도사·2품 이상 수령 및 부윤··목사 등이 축하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