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도호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4)
사전(326)
- 대도호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시대의 지방행정 관서. [내용] 원래 중국에서 외지를 다스리기 위해 두었던 관서였다. 당나라는 고구려의 옛 땅에 9개의 도독부를 두고, 이를 통할하기 위해 평양에 안동대도호부를 설치한 바 있다. 우리 나라는 1018년(현...
- 대도호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의 지방 행정 기구. 고려 전기부터 군사적인 요충지에 설치함.정의고려시대의 지방 행정 기구. 고려 전기부터 군사적인 요충지에 설치함.[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aedohobu | MR표기Taedoho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도호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의 지방 행정 관청.정의조선시대의 지방 행정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aedohobu | MR표기Taedoho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도호부(大都護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도호부 대도호부 大都護府 계수관(界首官), 단부(單府), 도호부(都護府) 정치행정/행정구획 집단 기구 대한민국 고려, 조선 고려, 조선 임용한 1018년(고려 현종 9) 1894년(고종 31...관련어계수관(界首官), 단부(單府), 도호부(都護府)
- 대도호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 시대 대도호부의 장관직. [내용] 품계는 정3품이다. 외관직으로 안동‧강릉‧안변(安邊)‧영변(寧邊) 등에 파견되었으며, 기존 지역과 신생 지역의 통폐합이나 승강에 따라 치폐를 거듭하기도 하였다.
고서·고문서(171)
- 寧邊大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四 平安道 寧邊大都護府 48 使兼兵馬都節制使判官兼本府中翼兵馬延山本高麗 安朔郡光宗二十一年庚午【宋 太祖 開寶三年】改知延州成王乙未改延州防禦使恭愍王十五年丙午陞延山府本朝太宗癸巳例改爲都護府撫山本高麗 撫州縣高宗辛卯避狄兵入于海島成王乙未改撫州防禦使元宗辛酉還...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永興大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五 咸吉道 永興大都護府 23 使一人兼永興道中翼兵馬判官一人兼永興道中翼兵馬團練判官本高句麗之地稱長嶺鎭或稱唐文【古籍唐作堂】或稱博平郡高麗初爲和州光宗六年乙卯【周世宗顯德二年】始築城堡成宗乙未改爲和州安邊都護府顯宗戊午降爲和州防禦使爲本營高宗時合于登州稱和州防禦使...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安東大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 慶尙道 安東大都護府 68 使一人判官一人本古陁耶郡景德王改爲古昌郡高麗 太祖十三年庚寅自將及後百濟王甄萱戰於古昌敗之郡人金宣平權幸張吉佐太祖有功拜宣平爲大匡幸吉各爲大相陞其郡爲安東府後改爲永嘉郡成宗十四年乙未改爲吉州剌史顯宗三年壬子改爲按撫使九年戊午改爲吉州事二十...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江陵大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三 江原道 江陵大都護府 25 使一人判官一人儒學敎授官一人本濊之古國【或稱鐵國或稱蘂國】 漢 武帝 元封二年遣將討右渠定四郡時爲臨芚高句麗稱河西良【一作河瑟羅】新羅 善德王置小京太宗王五年戊午以河瑟羅地連靺鞨罷京爲州置都督以鎭之【唐 高宗 顯慶三年】景德王十五年丁酉...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대도호부(大都護府)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안동 주촌 진성이씨 경류정
멀티미디어(6)
- 19세기 중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대동지지 없음 행정_151_19세기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여지도서 없음 행정_150_18세기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행정_147_15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7세기 중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 정보 없음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행정_149_17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148_1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1)
- 文宗이 渤海王 大彛震에 보낸 勅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당대의 長史는 그가 속하는 관청에 따라 관장직책과 품질에 차이가 있었다. 장사는 16衛, 東宮官, 王府官, 外官, 大都督府·大都護府의 上州에 두어졌다. 平章事 平章事 : 당의 「同中書門下平章事」의 약칭으로 재상에 해당한다. 등에게도 각각 물품을 하사하였으니, 구체적...대표표제어文宗이 渤海王 大彛震에 보낸 勅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46)
-
대도호부 / 大都護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의 지방행정 관서. 원래 중국에서 외지를 다스리기 위해 두었던 관서였다. 당나라는 고구려의 옛 땅에 9개의 도독부를 두고, 이를 통할하기 위해 평양에 안동대도호부를 설치한 바 있다. 우리 나라는 1018년(현종 9) 처음으로 안남(全州)·안서(海州)·안
-
대도호부사 / 大都護府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대도호부의 장관직. 품계는 정3품이다. 외관직으로 안동·강릉·안변(安邊)·영변(寧邊) 등에 파견되었으며, 기존 지역과 신생 지역의 통폐합이나 승강에 따라 치폐를 거듭하기도 하였다. 동반 정3품 외관직명으로 대도호부(大都護府)(안동(安東)·강릉(江陵)
-
강릉대도호부 관아 / 江陵大都護府官衙 [예술·체육/건축]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시대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서 머물던 여관터.객사터·객관터. 사적. 사적 제388호. 1993년 강릉시 청사 신축예정 용지에 대한 발굴조사로 드러난 강릉 객사터이다. 현재 객사문은 이 터의 남측에 국보 제51호로 지정 보존되어 있고, 서측에는
-
교부 / 校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동반 정6품의 토관직. 그 관계는 선직랑이다. 토관직은 고려시대 평양에 처음 설치된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새로이 정비되었다. 즉, 1429년(세종 11) 6월에 평양부에만 두었던 토관직이 함흥부·영변대도호부·경성대도호부·강계도호부 등 12개소로 확대되었
-
도호부 / 都護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지방 행정기구. 대도호부와 도호부의 두 가지가 있다. 도호부는 고려의 제도를 이어온 지방관의 명호로, 태종(太宗) 6년에 지방행정체계가 정비되면서 대도호부(大都護府)·목관(牧官)은 정3품으로 도호부(都護府)는 종3품으로 정해져서, 도호부(都護府)는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