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년군”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馬軍)과 보군(步軍) 및 3군영의 표하군(標下軍 : 취고수‧기수 등의 특과병) 충원은 반드시 에 등록된 자들에 한정하게 하였다. 급료병은 일정한 보수가 보장되고 재능에 따라 승진의 기회도 있었기 때문에 희망자가 많았고, 따라서 그 관리도 중시되었다. 친족을...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훈련도감(訓鍊都監), 금위영(禁衛營), 총융청(摠戎廳) 정치군사·국방/편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윤훈표 [정의] 조선후기 훈련도감 등의 군영에 병력의 보충을 원활히...
    관련어훈련도감(訓鍊都監), 금위영(禁衛營), 총융청(摠戎廳)
  • 아기수(兒旗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기수 아기수 兒旗手 () 정치군사·국방/편제 직역 조선 조선 노영구 금위영(禁衛營), 용호영(龍虎營), 훈련도감(訓鍊都監) [정의] 조선후기 용호영, 훈련도감,...
    관련어대년군(待年軍)
  • 아약(兒弱)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약 아약 兒弱 황구(黃口) 아약첨정(兒弱簽丁), 아약(兒弱) 경제재정/역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정연식 [정의] 양역을 부과받기 이전인 15세 이하 어린이. [개설] 조...
    하위어황구(黃口) | 관련어아약첨정(兒弱簽丁), 아약대년군(兒弱待年軍)
  • 별친위사(別親衛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쌀 3말인 군병의 급료를 주거나 각종 시험에서 상으로 줄 밑천도 매우 적었으며, 1초는 정규 군인인 원군(元軍)의 보충을 위해서 등록된 대기병, 즉 ()이라는 명목으로 급료를 주지 않았다. 때문에 장중위 군병을 선발할 때 백성들은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기피하...
    동의어별친위(別親衛) | 관련어별친기위(別親騎衛), 장중위(壯中衛)

고서·고문서(4)

  • 待變軍卒, 或有緩急, 可以朝令夕發者也。 近來則太半空伍, 每當習操時, 必雇軍替送, 事極寒心, 而此非守令之過, 百姓之圖避軍役, 名目甚多, 鄕校·書院·官屬, 三項募入者, 俱得免焉, 有勢士夫之家墓村, 則官旨不得入, 此外又有守禦廳收米牙兵及, 此則初無定額, 且不令本邑關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待變軍卒, 或有緩急, 可以朝令夕發者也。 近來則太半空伍, 每當習操時, 必雇軍替送, 事極寒心, 而此非守令之過, 百姓之圖避軍役, 名目甚多, 鄕校·書院·官屬, 三項募入者, 俱得免焉, 有勢士夫之家墓村, 則官旨不得入, 此外又有守禦廳收米牙兵及, 此則初無定額, 且不令本邑關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추안급국안 : 기묘년(1759, 영조 35) 12월 죄인 김석태(金碩泰) 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민노미를 붙잡아와 가두다 同日假都事武兼趙觀國罪人閔老味自 捕廳拿來囚 ○ 민노미의 심문 및 김석태와 대질심문 내용 同日罪人閔老味年二十三白等因傳敎推問敎是臥 乎在亦矣身以御營廳旋卽見落矣父本無身役而卽春川朴 進士之奴朴進士名則不知矣元無與金碩泰同謀之事矣仍與金碩泰面 質令是白...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을해년(1755, 영조 31) 2월 일 역적 윤지(尹志)등의 신문기록[推案]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矣身亦以入於砲手取才爲 旗牌官就商廳直與否考其年則可知矣身不知就商之爲 何許人而志亦不知志之子則知之矣身之母墳在於烽火峴與志 山相近每當節祭則使之不得行故往見而知之矣當初借 冊光哲家而仍爲受學於希哲及光哲時謂矣身曰汝爲 人可愛可以成人着實讀書云而五年後矣身習射且讀 兵學指南而仍不相往來矣矣父...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1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 급료병의 예비자원으로 등록, 편성된 대기병. 정규군의 16세 미만 아들이나 동생이 등록되었으나, 친족이 없을 경우 타인이 대신할 수 있었다. 훈련도감의 마군과 보군 및 3군영의 표하군 충원은 반드시 에 등록된 자들에 한정하게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