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88)
사전(929)
- 대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과에 속하는 상록성 목본인 대나무류의 총칭. [내용] ‘대’라고 약칭하기도 하며 한자어로는 죽(竹)이라고 한다. 대나무류는 전세계에 12속 500여 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해장죽속‧왕대속‧이대속‧조릿대속의 4속 14종류가 있다. ...
- 죽엽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나무잎을 넣어 빚은 술. [내용] 대나무잎과 같은 색을 띠는 술을 일컫기도 한다. 『음식지미방』ㆍ『요록(要錄)』ㆍ『역주방문(曆酒方文)』ㆍ『임원경제지』 등 조선시대 문헌에 많이 나타나있다. 『임원경제지』의 제조법은 “대나무잎 60...
- 죽통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산 대나무의 마디를 이용하여 빚는 술. [내용] 대나무는 속이 비어 있고 물이 잘 새지 않기 때문에 제조에 큰 불편은 없었을 것이다. 『증보산림경제』에서는 그 제조법을 “생죽(生竹)의 마디 사이를 뚫고 이 속에 술을 빚어 넣어 와송주와
- 저죽전사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90년(정조 14)대 삼남지방의 대나무[竹]ㆍ닥나무[楮]ㆍ옻나무[漆]ㆍ뽕나무[桑]의 재배현황과 관리 및 장려, 조정에 관한 각 도 감사들의 보고집(報告集). [내용] 1책 99장. 필사본. 편자는 미상이다. 내용을 보면, 서두에 김육...
- 죽력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푸른 대나무를 구워 대의 진액을 뽑아 만드는 술. [내용] 증류주법(蒸溜酒法)에 의한 술이다. 담죽(淡竹)ㆍ고죽(苦竹)을 한자 남짓하게 잘라 시루 위에 올려놓고 중간을 지지면 대 속에서 수분이 나와 그 물이 양쪽으로 흐르게 된다.
고서·고문서(241)
- 대나무값(竹價)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2_1761 물품 및 물품가 궐석판결서 공주구재판소(公州區裁判所) 대나무값(竹價) 청구에 관한 건 융희(隆熙) 3년 민제77호 1909년 04월 05일 이등손태랑(伊藤孫太郞) 서기 김석호(金奭鎬), 일어통역사무(日語通譯事務) 겸 서기 송종...재판기관공주구재판소(公州區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04월 05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해운대 송도각 큰방 송도각 대나무의 방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6400 P-SDK-06400-P-M-08-07 P-SDK-06400-P-M-08-07-1 P-SDK-06400-P-M-08-07-2 해운대 송도각 큰방 송도각 대나무의 방 海雲臺 松濤閣 大廣間 松濤閣 竹ノ間 온천장 해운대의 서표 봉투 있음....자료명해운대 송도각 큰방 송도각 대나무의 방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1905년 방채중(房采重) 방매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905년11월 2일에 방채중이 전라남도 동복군 내남면 삼산리에 있는 대나무밭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문서이다. 대나무밭의 면적은 쓰여 있지 않아 알 수 없고 거래가격은 20냥이다. 이 밭을 사는 사람의 이름은 쓰여 있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전북대학교 박물관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5_354_140 1565년5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5년 5월 23일 무오. ○당(堂)에 머물렀다. ○배응명(裵應鳴)이 대나무 6개를 보냈다. ○배세린(裵世麟)이 대나무 7개를 보냈다. ○우희성(禹熙成)이 대나무 5개를 보냈다. ○이충준(李...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1903년 엄상영(嚴相永) 방매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903년윤5월 4일에 엄상영이 작성한 집터 매매문서이다. 엄상영은 근래 화재를 당하여 이사하기로 마음을 먹고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파도리에 있는 집터와 대나무 밭을 60냥에 팔았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전북대학교 박물관
구술자료(135)
- 대나무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무하며, 풀 뜯으며 부른 노래다. *조사일시1979-04-03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1동 | 제보자이봉기
- 대나무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 | 제보자미상
- 백 마디 대나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베트남 20171207_032_001_베트남_03_융티탄프엉_F_백 마디 대나무 민담 백 마디 대나무 2017. 12. 07(목) 오전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유학 3년차] 조사자 3인 오정미, 한상효, 엄희수 제보자와는국가베트남 | 제보자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백 마디 대나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베트남 20171209_054_007_베트남_01_부티프엉_F_백 마디 대나무 민담 백 마디 대나무 2017. 12. 09(토) 오후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다문화벗들 성바오로배움터 부티프엉 [베트남, 여, 1990년생, 결혼이주 7년차] 조사자 포함 4인 김정은,국가베트남 | 제보자부티프엉 [베트남, 여, 1990년생, 결혼이주 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백 마디 대나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베트남 20181104_043_001_베트남_01_웬태휴_F_백 마디 대나무 민담 백 마디 대나무 2018. 11. 04(일) 오후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 웬태휴 [베트남, 여, 1987년생, 결혼이주 12년차] 조사자 3인 오정미, 황혜진, 한상효 베트남국가베트남 | 제보자웬태휴 [베트남, 여, 1987년생, 결혼이주 1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45)
- 竹 (대나무)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신년 휘호國分三亥(1864*-1962)작품명_원문竹 | 게재일19160103 | 게재판1호 | 게재면02 | 게재단4-5
- 竹 (대나무)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竹 | 게재일19290101 | 게재판조 | 게재면15 | 게재단1-3
- 竹 (대나무)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竹 | 게재일19290123 | 게재판석 | 게재면03 | 게재단3-4
- 〈竹〉 (대나무)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竹〉 | 게재일19280214 | 게재판석 | 게재면03 | 게재단1-2
- 冬 (겨울대나무)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堅山坦 재조선일본인작가작품명_원문冬 | 게재일19300119 | 게재판무 | 게재면06 | 게재단2-4
멀티미디어(3)
- 18세기 중반 대나무[竹]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470_18세기_중반_대나무[竹] 경제_1470_18세기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대나무[竹]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O/X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688_16세기_초반_대나무[竹] 경제_743_16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바다대나무[海竹]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193_토공_15세기_중반_바다대나무[海竹] 경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35)
- 72. 보호령에 대한 항의. 대나무의 전설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72. 보호령에 대한 항의. 대나무의 전설 n°48 Protestations contre protectorat. Le bambou. C, E, K, N 정치 법제, 사회, 언론 출판, 국제 문헌, 사건, 인물 근대 대한제국 고서/고문서 보호...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7월 19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프랑스 외무부 장관
- 생산성을 높이는 공작교육 -대나무 공작-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생산성을 높이는 공작교육 -대나무 공작- 생산성을 높이는 공작교육 -대나무 공작- 교육 문헌 교육과정 보건 교육과정 생활지도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안장열 | 사료철명부산교육
- 백제의 예식진이 당으로 이주하고 벼슬을 받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禰素士)의 부친 식진(寔進)은 입조하여 귀덕장군(歸德將軍), 동명주자사(東明州刺史), 좌위위대장군(左威衛大將軍)이 되었다. 당시 충성스럽고 정직하다고 칭하였으니, 가문이 번성하여 훈문(勳門)이 되었다. 대나무를 쪼개 징표로 삼았으니 과거에 기탁한 것이었고, 수레를 달려...대표표제어백제의 예식진이 당으로 이주하고 벼슬을 받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2년(壬申/신라 문무왕 12/唐 咸亨 3/倭 天武 1)
- 백제의 예식진이 당으로 이주하고 벼슬을 받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예소사(禰素士)의 부친 식진(寔進)은 입조하여 귀덕장군(歸德將軍), 동명주자사(東明州刺史), 좌위위대장군(左威衛大將軍)이 되었다. 당시 충성스럽고 정직하다고 칭하였으니, 가문이 번성하여 훈문(勳門)이 되었다. 대나무를 쪼개 징표로 삼았으니 과거에 기탁한 것이었고, 수레...대표표제어백제의 예식진이 당으로 이주하고 벼슬을 받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72년(壬申/신라 문무왕 12/唐 高宗 咸亨 3/倭 天武天皇 1)
- 당이 유인원을 보내 문무왕에게 천자의 칙명을 전하고 정절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수 있는 소형물임에 반해 旌節은 대나무 깃대 위에 소의 꼬리를 매달고 장식을 가해 사용한 깃발로서 대외 전시를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4가지 符는 모두 하나를 두 개의 조각으로 나눈 割符 형태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符는 반드시 왼쪽 할부와 오른쪽 할부가 동시에 한...대표표제어당이 유인원을 보내 문무왕에게 천자의 칙명을 전하고 정절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67년(丁卯/신라 문무왕 7년/고구려 보장왕 26/唐 乾封 2/倭 天智 6)
연구과제(1)
-
마한 분구묘의 이해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승옥 | 전북대학교 | 2019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68)
-
대나무 / [과학/식물]
대과에 속하는 상록성 목본인 대나무류의 총칭. ‘대’라고 약칭하기도 하며 한자어로는 죽(竹)이라고 한다. 대나무류는 전세계에 12속 500여 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해장죽속·왕대속·이대속·조릿대속의 4속 14종류가 있다. 대나무의 대표종인 왕대는 중국 원산으로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 南海知足海峽竹防簾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과 창선면 사이에 위치한 지족해협에 있는 명승. 지족해협은 조수 간만의 차이에 따라 바닷물이 양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흐른다. 따라서 이곳은 양방향으로 흐르는 빠른 물살을 이용해 고기를 잡는 고정식 그물을 설치하기 좋은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다. 두
-
죽력고 / 竹瀝膏 [생활/식생활]
푸른 대나무를 구워 대의 진액을 뽑아 만드는 술. 증류주법에 의한 술이다. 담죽·고죽을 한자 남짓하게 잘라 시루 위에 올려놓고 중간을 지지면 대 속에서 수분이 나와 그 물이 양쪽으로 흐르게 된다.이 물이 바로 죽력인데, 이것은 대나무의 진액이므로 약간 끈끈하다.『동국
-
백자 철화매죽문 항아리 / 白磁 鐵畵梅竹文 立壺 [예술·체육/공예]
풍만한 몸체 앞뒤에 매화와 대나무를 철화 안료로 그려서 장식한 조선 17세기의 백자 항아리. 보물 제1425호. 조선 1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구연부와 몸체 하단에 종속문이 시문되어 있고 몸체 전면에는 앞뒤로 매화와 대나무를 그려 넣었다. 유조는 17세기 특유의 옅
-
죽순 / 竹筍 [생활/식생활]
대나무의 어린 줄기. 대나무는 동양의 열대·아열대에서 자생하는 식물로서, 죽순은 고급 식품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조선시대의 문헌인 『증보산림경제』·『임원경제지』 등에도 죽순밥·죽순정과·죽순나물 등 다양한 죽순조리법이 수록되어 있다. 어린 죽순은 많은 맛성분이 어울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