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기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1)
사전(7)
- 대기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각 군영에서 의장(儀仗) 및 군사 신호용으로 사용했던 사방 4자 이상의 대형 기치의 총칭. ≪만기요람≫에 명시된 대기치의 종류‧규격‧문양‧용도 등은 다음 [표]와 같다. 이 기치들은 또 사용 포백 재료에 따라 대단대기치(大緞大旗幟)‧면주대기치(綿紬大旗...
- 대기(大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2288 제도 대기(大旗) 대기 大旗 사각형의 큰 깃발. 대오방기(大五方旗). 대기치(大旗幟). 조선시대 때 의장(儀仗) 및 군사 신호용으로 사용했던 사방 4자 이상의 대형 깃발을 두루 일컫는 말이다. 대기(大旗)는 원래 조선시대에...유형분류제도
- 해석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다. 「제대기치문(祭大旗幟文)」은 군대에서 사용하는 기를 만들고 그 기의 신에게 군을 위험에서 보호해 줄 것을 빈 글이다. 「예부방물이준자문(禮部方物移準咨文)」은 중국에 보내는 토산물의 종류와 수량을 표준치로 결정할 것을 건의한 글이다. 서(書)의 「여이시수(...
- 시헌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였고, ② 천체의 운동은 본륜(本輪)과 균륜(均輪)으로 그 지속을 설명하였으며, ③ 지구의 개념을 도입하여 달의 지반경차(地半徑差)라는 시차(視差)를 썼고, ④ 대기차(大氣差)를 도입하였으며, ⑤ 계산에서 평면 및 구면(球面) 삼각법(三角法)을 사용하였고, ⑥ 근일점(...
- 서양신법(西洋新法)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서양신법 서양신법 西洋新法 역법(曆法) 시헌력(時憲曆), 청력(淸曆) 교식추보법(交食推步法), 구면삼각법(球面三角法), 근일점(近日點), 대기차(大氣差), 시차(視差), 신법서양역서(新法西洋曆書), 아담 샬, 정기법(定氣法), 지반경차...상위어역법(曆法) | 동의어시헌력(時憲曆), 청력(淸曆) | 관련어교식추보법(交食推步法), 구면삼각법(球面三角法), 근일점(近日點), 대기차(大氣差), 시차(視差), 신법서양역서(新法西洋曆書), 아담 샬, 정기법(定氣法), 지반경차(地半徑差), 항기법(恒氣法)
고서·고문서(53)
- 照錄給美國照會中國已代寄致朝鮮函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미국이 조선에 보낸 공문을 중국이 대신 전달함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故宮博物院 資料室(淸代宮中檔奏摺與軍機處檔摺件) | 발신일同治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580 B07058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3年 12月 21日_004 ○李翊漢, 以備邊司意啓曰, 東萊府使朴乃貞, 本以抱病之人, 傷於水土, 病勢深重, 五朔廢衙, 累次呈狀, 邊上重任, 不可輕遞, 而病狀如此, 勢難等待其差歇, 東萊府使朴乃貞, 改差, 何如?...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581 B07058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3年 12月 21日_004 ○李翊漢, 以備邊司意啓曰, 東萊府使朴乃貞, 本以抱病之人, 傷於水土, 病勢深重, 五朔廢衙, 累次呈狀, 邊上重任, 不可輕遞, 而病狀如此, 勢難等待其差歇, 東萊府使朴乃貞, 改差, 何如?...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633 B07063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3年 12月 21日_004 ○李翊漢, 以備邊司意啓曰, 東萊府使朴乃貞, 本以抱病之人, 傷於水土, 病勢深重, 五朔廢衙, 累次呈狀, 邊上重任, 不可輕遞, 而病狀如此, 勢難等待其差歇, 東萊府使朴乃貞, 改差, 何如?...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634 B07063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3年 12月 21日_004 ○李翊漢, 以備邊司意啓曰, 東萊府使朴乃貞, 本以抱病之人, 傷於水土, 病勢深重, 五朔廢衙, 累次呈狀, 邊上重任, 不可輕遞, 而病狀如此, 勢難等待其差歇, 東萊府使朴乃貞, 改差, 何如?...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평북로동신문_1948_0320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65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보라! 남조선단독선거에 오르는 반대기치!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320_01 | 책임주필김봉훈
주제어사전(1)
-
대기치 / 大旗幟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각 군영에서 의장(儀仗) 및 군사 신호용으로 사용했던 사방 4자 이상의 대형 기치의 총칭. 『만기요람(萬機要覽)』에 명시된 대기치의 종류·규격·문양·용도 등에 따라 나누었다. 이 기치들은 또 사용 포백 재료에 따라 대단 대기치(大緞大旗幟)·면주 대기치(綿紬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