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군사부” 에 대한 검색결과 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

사전(2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대군의 교육을 담당한 관직. [내용] 권설직(權設職)으로 품계는 종9품이다. 왕자사부(王子師傅)‧왕손교부(王孫敎傅) 등과 함께 1785년(정조 9)에 편찬된 『대전통편』에 새로이 법제화되었다. 사과(司果) 이하의 체아록(遞兒祿)을...
  • 조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가자되었다. 그 뒤 대사간ㆍ도승지ㆍ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명문장가로서 예론에 밝았으며 명필이었다. 유필(遺筆)로 허목(許穆)이 찬한 동창위(東昌尉) 권대항(權大恒)의 비문과 양주의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목서흠(睦敍欽)의 비문, () 권적(權蹟...
    이칭별칭 회여(晦汝)| 송천(松泉)
  • 왕자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왕자의 교육을 맡았던 종9품 관직. [내용] 권설직(權設職)으로, 1785년(정조 9) 『대전통편(大典通編)』에 명문화됨으로써 임시로 증치된 관직이다. 품계는 종9품으로 사과 이하의 체아록(遞兒祿)을 받았다. ()...
  • 안응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산이씨(韓山李氏) 덕순(德淳)의 딸이다.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에 제수(際授)되어 청나라 심양(瀋陽)에서 불모로 있던 봉림대군(鳳林大君)을 1640∼1643년까지 3년 동안 모시다가 소현세...
    이칭별칭 우졸재(愚拙齋)| 백암(柏巖)
  • 신석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水李氏)이다. 상주 출신.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이다. [내용] 1633년(인조 11)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641년에 (), 1644년 경기전참 봉(慶基殿參奉)을 역임하고 효종 때 유일(遺逸)로서 천거를 받아 형조...
    이칭별칭 중연(仲衍)| 백원(百源)

고서·고문서(12)

  • 1628년 윤선도(尹善道) 차첩(差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8년(仁祖6) 3월에 이조에서 임금의 명을 받들어 윤선도를 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4277 B00427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5年 8月 23日_023 ○又以吏曹言啓曰, 宋時瑩尙不上來, 姑先推考事啓下矣。 今接忠淸監司缺則令所在永同縣, 更爲催促, 則同宋時瑩戶奴呈狀內, 江都之陷, 兩遭慘慟之喪, 精神喪失, 舊痾新恙, 交備造作, 專廢...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711 B004711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5年 8月 23日_023 ○又以吏曹言啓曰, 宋時瑩尙不上來, 姑先推考事啓下矣。 今接忠淸監司缺則令所在永同縣, 更爲催促, 則同宋時瑩戶奴呈狀內, 江都之陷, 兩遭慘慟之喪, 精神喪失, 舊痾新恙, 交備造作, 專廢...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一體致祭之命矣。 前日所奏斥和人故相臣李敬輿, 故參判兪棨, 故大司憲李, 故參判曺漢英, 故洪宇定, 故持平蔡聖龜, 綾原大君, 殉節人故府君黃一皓, 故訓鍊主簿崔孝一, 故府使池海南, 江都殉節人贈贊成李惇五, 贈參判李惇敍外, 斥和人故副提學金慶餘, 江都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體致祭之命矣。 前日所奏斥和人故相臣李敬輿, 故參判兪棨, 故大司憲李, 故參判曺漢英, 故洪宇定, 故持平蔡聖龜, 綾原大君, 殉節人故府君黃一皓, 故訓鍊主簿崔孝一, 故府使池海南, 江都殉節人贈贊成李惇五, 贈參判李惇敍外, 斥和人故副提學金慶餘, 江都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대군의 교육을 담당한 관직. 권설직(權設職)으로 품계는 종9품이다. 왕자사부(王子師傅)·왕손교부(王孫敎傅) 등과 함께 1785년(정조 9)에 편찬된 ≪대전통편≫에 새로이 법제화되었다. 사과(司果) 이하의 체아록을 받았으며, 재직임기 900일이 만료되면 6품에

  • 이유태 / 李惟泰 [종교·철학/유학]

    1607(선조 40)∼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서이다. 희릉참봉, , 지평, 집의, 공조참의, 이조참의, 우부승지,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초려집≫ 26권이 전한다.

  • 신석번 / 申碩蕃 [종교·철학/유학]

    1596(선조 29)∼1675(숙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유 증손, 할아버지는 응암, 아버지는 근, 어머니는 덕수이씨이다. 정경세 문인이다. 1633년(인조 11) 사마시에 합격, 1641년에 , 경기전참봉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백원집』이 있다.

  • 왕자사부 / 王子師傅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자의 교육을 맡았던 종9품 관직. 권설직으로, 1785년(정조 9) ≪대전통편≫에 명문화됨으로써 임시로 증치된 관직이다. 품계는 종9품으로 사과 이하의 체아록을 받았다. ·왕손교부·내시교관 등의 권설직은 재직기간 900일이 지나면 6품관으로 승급되

  • 한협증시문서 / 韓協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증규장각제학 한협(韓協)에게 '문목(文穆)'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근학호문왈문 중심현모왈목'이라 적어 문목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장서각에는 1910년 8월 25일 를 지낸 고 한협을 정2품 자헌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