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6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19)
사전(2,924)
- 대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된 것이다. 대군의 칭호는 고려시대도 있었다. 국초에 원군(院君)‧대군의 칭호가 있었다 하고, 1298년(충렬왕 24) 1월 충선왕이 즉위해 관제를 개혁할 때, 대군‧원군을 정1품, 군을 종1품, 원윤(元尹)을 정2품, 정윤(正尹)을 종2품으로 정하였다. 조선...
- 대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대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대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왕자 중 정비(正妃)의 몸에서 출생한 적실왕자(嫡室王子).정의조선시대 왕자 중 정비(正妃)의 몸에서 출생한 적실왕자(嫡室王子).[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aegun | MR표기tae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大裙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N3_D_0017 大裙 복식제도 倡女, 禮服 三代 宋 D_04_02_21 대동운부군옥 4권 2장 2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2장 2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조선왕실의 일상 1) 조선의 왕으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12.05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5. 한시(漢詩)로 보는 국왕의 문화 (1) 국왕도 시인이었다 (2) 단종의 비애와 세조의 의지 (3) 성종과 월산대군의 우애 (4) 폭군의 시와 정서 (5) 전
고서·고문서(2,117)
- 八大君辨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20 文集 卷十二 ITKC_MP_0597A_0120_020_0190 八大君辨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월산대군 치제문(月山大君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정안대군묘지명(定安大君墓誌銘)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금석문 | 형식분류고서-금석문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跋安平大君【瑢】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20_0480 跋安平大君【瑢】書 정약용(丁若鏞) 序跋類|題跋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序跋類|題跋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對張詠語失火家待君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10 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ITKC_MP_0597A_1610_000_0870 對張詠語失火家待君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1)
- 십중대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담배를 한 대 피고 나서, 또 시작한 이야긴데, 불분명한 발음 때문에 한문구의 청취가 어려워 채록치 못한 부분이 더러 있다. *조사일시1984-08-24 | 조사장소경상북도 선산군 무을면 | 제보자지세해
- 양녕 대군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 | 제보자박부돌
- 양녕대군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에게 다시 노래를 권하니 양년대군이 양위한 노래를 하겠다고 나섰다. 어릴 때 친정인 이 마을에서 어른들로부터 들은 노래라고 했다. 가락은 신식 창가와 가까왔다.*조사일시1984-02-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 제보자박부돌
- 나덕명의 세자대군 구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명성황후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자마자 제보자의 선조가 임진왜란 때 세자대군을 구해서 공을 세운 이야기를 이어서 하였다. 제보자의 조상에 관한 이야기라서 더욱 자신 있게 이야기를 들려주었다.조사일시2010. 1. 18(월) | 조사장소나주시 반남면 대영리 구영마을 산 8번지 나종삼 씨 댁 | 제보자나종삼
- 수양대군 문둥병 고쳐 준 지장보살(地藏菩薩)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가 끝나자 옛날 얘기는 거의가 거짓말인데 거짓말로 들으면 재미가 없고 그 이유를 붙이면 재미가 없다면서 옛날 얘기는 들어보 면 이치에 맞지 않는 이야기가 많다고 설명한 뒤 조사자들이 믿지 않을까봐 역사인물의 이야기를 해 준다면서 이야기를 이어서 구연했다....조사일시2009. 2. 1(일) | 조사장소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이목정 1리 363-13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김세기
기초학문(6)
- 안평대군 이용의 문예활동과 서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완우, 게재일 : 200533221 이완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술사학회 2005 안평대군 이용의 문예활동과 서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카미자르: 루이 14세 통치후반기 절대군주정에 대한 민중의 저항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미숙, 게재일 : 201552535 강미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실학회 2015 카미자르: 루이 14세 통치후반기 절대군주정에 대한 민중의 저항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조선시대 〈역대군감〉〈역대신감〉의 수용 양상과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71206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조선시대 〈역대군감〉〈역대신감〉의 수용 양상과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프랑스 절대왕정의 제도와 ‘1661년 혁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승휘, 게재일 : 2007Id=4b76f6df522e37f9015289725803734a 카미자르 : 루이 14세 통치후반기 절대군주정에 대한 민중의 저항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metaDataId=3c89aa9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조선 전기 ‘無心’ 시조의 연원과 불교적 동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나정순, 게재일 : 2012=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5475&local_id=10047888 조선 전기 '무심' 제재 시조의 연원과 불교적 동향 -월산대군의 시조와 관련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311)
- 法貸軍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법국회사에셔 아국에 야 십억법[오억원가량]을 어쥴의를 발포얏 그즁분일은 법국에셔 군함졔조경비로 쓴다더라게재일1905년 5월 23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反對軍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우리나라에셔 오십만원으로 군함을 일본에 쥬문다는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근일 조션신보를거즉 아국공가 말되 한국졍부에 졍이 오날갓치 곤란즁에 오십만원 거을 허비야 군함을 입는거슨 쓸데업는 업이라 는고로 각국 외교관들은 군함입이 무용이라면 아국기...게재일1903년 2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출판경찰보 119호 최신군가 현대군가신집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19호 최신군가 현대군가신집 최신군가(最新軍歌) 현대군가신집(現代軍歌新集) 77가영단(七七歌詠團) 미기재 상해(上海) 일본_1939년 7월 12일 금지 안녕 중국어 최신군가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9호 최신군가 현대군가신집 | 출판물명최신군가(最新軍歌) 현대군가신집(現代軍歌新集)
- 로뎡 홍릉 뎡계안에잇대군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로뎡 홍릉 뎡계안에잇대군과 부원군 분묘를 방금 이쟝데 그쟝비 후게 쥬고 안쟝날에 디방관을 보야 치졔고 그외에 다른분춍이라도 가히 쟝비를 보죠 쟈가 잇거든 보죠케라 셧다더라게재일1900년 9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중완셩대군 젼흥군 宗 증영챵군 龍奉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중완셩대군 젼흥군 宗 증영챵군 龍奉 증동산군 雲 증동녕군 明達 증슌흥군 明理 증동평군 法莊 증완양군 寶河 증뎡녕군 興吉 증흥군 元 증동양군 春 증도셩군 起生 증계산군 仲孫 증젼산군 銀錫게재일1900년 5월 26일 | 기사분류관보
멀티미디어(107)
- 영주 순흥 금성대군 관련유적 조사보고서 kk4-0249_#1 유구 사진2. 건물지 1~5,9,10 주변전경 2015-01-29_0.1426203_사진2. 건물지 1~5,9,10 주변전경.jpg kk4-0249_#2 유구 사진37. 담제목영주 순흥 금성대군 관련유적 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기타자료(32)
- 왜가 고구려와 신라 사신을 위해 쓰쿠시대군(筑紫大郡)에서 잔치를 베풀고 녹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왜가 고구려와 신라 사신을 위해 쓰쿠시대군(筑紫大郡)에서 잔치를 베풀고 녹을 내리다. 교역물품 673년(癸酉/신라 문무왕 13/唐 高宗 咸亨 4/倭 天武天皇...대표표제어왜가 고구려와 신라 사신을 위해 쓰쿠시대군(筑紫大郡)에서 잔치를 베풀고 녹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73년(癸酉/신라 문무왕 13/唐 高宗 咸亨 4/倭 天武天皇 2)
- 영주 순흥 금성대군 관련유적 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kk4-0249 유구 2014-01-15_0.5399897_영주 순흥 금성대군 관련유적 조사보고서 표지.jpg 영주 순흥 금성대군 관련유적 조사보고서 榮州 順興 錦城大君 關聯遺蹟 調査報告書 2002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영주시 75 이동철,...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영주시 | 발굴지역경상북도
- 금성리 고분군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금성리 고분군 북한 금성리 고분군(錦城里 古墳群) 고분유적 발해 함경북도(咸鏡北道) 화대군(花臺郡) 금성리(錦城里) 금성리 고분군.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석...대표표제어금성리 고분군 | 유적소재국가북한 | 유적명금성리 고분군(錦城里 古墳群)
- 금성리 벽화고분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금성리 벽화고분 북한 금성리 벽화고분(錦城里壁畵古墳) 고분유적 발해 함경북도(咸鏡北道) 화대군(花臺郡) 금성리(錦城里) 금성리 벽화고분.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표표제어금성리 벽화고분 | 유적소재국가북한 | 유적명금성리 벽화고분(錦城里壁畵古墳)
- 능산동 고분군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능산동 고분군 북한 능산동고분 고분유적 발해 함경북도(咸鏡北道) 화대군(花臺郡) 주의리(周儀里) 능산동고분.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석배대표표제어능산동 고분군 | 유적소재국가북한 | 유적명능산동고분
연구과제(5)
-
석보상절 권3,6,9,11
한국 학술 번역사업 | Bella Pak |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 2021 | 국외 | 해외
-
고종과 대한제국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민원 | 사단법인 대한민국역사문화원 | 2014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왕실문화의 상징코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해영 | 경상대학교 | 2013 | 국내 | 경남
-
고구려 왕실 전승과 의례 - 정치권력으로 향한 통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우연 | 인하대학교 | 2014 | 국내 | 인천
-
영․정조대 국가운영과 왕실재정-정례서를 통해 본 왕실과 나라 살림-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26)
-
대군 / 大君 [정치·법제/법제·행정]
는 대군(大君)·군(君)은 정1품이었으나 본 법전에서 무품으로 되었다.
-
광평대군 / 廣平大君 [역사/조선시대사]
1425(세종 7)∼1444(세종 26). 조선 전기의 왕자. 아버지는 세종,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1432년(세종 14)광평대군으로 봉해지고 1436년에 신자수의 딸과 혼인하였다. 그 해 성균관에 입학하여 학문에 힘써 『효경』·『소학』·사서삼경·『좌전』등에
-
금성대군 / 錦城大君 [종교·철학/유학]
1426(세종 8)∼1457(세조 3). 조선 전기의 왕자. 아버지는 세종,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1433년(세종 15) 금성대군에 봉해지고, 1437년 참찬 최사강의 딸과 혼인, 그 해 태조의 일곱 째 아들인 이방번의 후사로 출계하였다. 단종 복위를 계획하
-
대군사부 / 大君師傅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대군의 교육을 담당한 관직. 권설직(權設職)으로 품계는 종9품이다. 왕자사부(王子師傅)·왕손교부(王孫敎傅) 등과 함께 1785년(정조 9)에 편찬된 ≪대전통편≫에 새로이 법제화되었다. 사과(司果) 이하의 체아록을 받았으며, 재직임기 900일이 만료되면 6품
-
대군진 / 大君陣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왕자들이 여러 가지 명목으로 무단 점령한 토지. 어린 대군의 하인들이 지방에 내려가 농민들의 땅을 대군진이라 하여 탈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농민들의 원성을 유발하는 등 물의가 야기되자, 1634년(인조 12) 사헌부에서 규제를 주청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