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구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1)
- 대구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두 언어 표현의 가락을 맞추는 데 그 본질이 있다. 이 맞춰진 가락에 의해 산출된 운율(韻律)은 표현을 아름답게 하는 한편, 그 뜻을 분명하게 드러내 주는 효과를 낳는다. 대구법은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의 예에서 보듯이 산문에서도...이칭별칭대우법(對偶法)|대유법(對喩法)|병려법(騈麗法)|대치법(對峙法)|균형법(均衡法)
- 손양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78(고종 15)∼1940. 독립운동가. [내용]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1917년부터 독립 군자금을 모금하다가 일본경찰에 잡혀 1918년 1월 대구법원에서 징역 10년을 언도받고 8년을 부역하였다. 출옥 후 만...
- 대조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삼키고, 쓰면 뱉는다.”,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조상 탓.” 등이 그 예이다. 대조법은 반드시 내용상 대립되면서 짝을 이뤄야 한다는 점에서 내용과는 상관 없이 형식상 짝을 이루기만 하면 되는 대구법과는 다르다. 『새 글 짓는 법』(백두성, 형...
- 호목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법과 대구법의 수사적 표현을 통하여 풍요로운 가을이 아니라 뜰안에 심은 박넝쿨을 모두 거둬들여도 남는 것은 한 조각의 표주박뿐이고, 가난한 부엌 세간 모두 합쳐도 한 바가지를 채우지 못하는 극단적 가난과 주림을 절실하게 표현하였다. 다음 3‧4구는 현실의 고달프...
- 최윤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듬해 7월 3일경상북도 칠곡 송림사 근처에서 일본경찰에 잡혀 이듬해 11월 대구법원에서 징역 2년 6월을 선고받았다. 광복 이후 1948년 5‧10총선거 때 대구 갑구에서 제헌국회의원으로 입후보하여 당선, 국회 외무‧국방분과 위원장으로 국군조직법 정비를 비롯한...이칭별칭 해광(海光)
고서·고문서(6)
- 實用作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ᄒᆞ야 具體的事物을 引援ᄒᆞ야 明白簡潔ᄒᆞᆫ 文句로 適當ᄒᆞᆫ 修飾法을 用ᄒᆞᆷ에 在ᄒᆞ니라 其方法에ᄂᆞᆫ 左의 數種이 有ᄒᆞ니 (一) 比喩法. (二) 誇張法. (三) 擬人法. (四) 寫聲法. (五) 代用法. (六) 警句法. (七) 對句法. (八) 引用法. (九) 諷刺法...서명實用作文法 | 자료명第二, 雄健
- 永陵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進所著摘謬論一篇·摘湯若望新法十謬.又選擇議一篇·摘湯若望選擇和碩榮親王安葬日期·悞用洪範五行.下議政王等會同確議.至是·議政王等逐款鞫問·所摘十謬.楊光先·湯若望·各言己是.曆法深微·難以分別.但歷代舊法·每日十二時·分一百刻·新法改為九十六刻.又康熙三年立春日候氣·先期起管.湯若望謊奏·候至其時...출처전거『淸實錄』 聖祖仁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륙변려문[四六文章] : 중국의 한나라와 위나라에서 처음 시작되어 육조와 당나라에서 유행하였던 문체. 네 글자와 여섯 글자를 기본으로 하고 대구법을 쓰며, 압운(押韻)이 많은 변려문(騈儷文)이다.을 가져다 보여주는데, 글씨체[書法]가 모두 아름답다. ○이경명(李景明)이...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中等朝鮮語作文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照法은 或은 對偶法 對置法 對句法이라고도하나니 語句를 兩兩對立하게하는形式이며 對照法을잘使用하면 文章의情趣를 增加하며 感興을 挑發케할지나 만일너무濫用하면 도로혀 浮虛한文章이되어 六朝騈儷文의 弊習을蹈襲하게될것닙니다. 이를테면 南山허리에는 푸른煙氣둘이엇고 北岳머리에는 흰구름...서명中等朝鮮語作文 | 자료명第三課 感想表現의方法(三)
- 實用作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九 (三) 平易 一◯ 第二 雄健 一一 (一) 比喩法 一二 (二) 誇張法 一八 (三) 擬人法 二◯ (四) 寫聲法 二一 (五) 代用法 二三 (六) 警句法 二四 (七) 對句法 二五 (八) 引用法 二八 (九) 諷刺法 三一 (十) 重言法 三三 (十一) 設疑法 三四 (十二) 漸層...서명實用作文法 | 자료명目次
기타자료(1)
- 46. 데라우치 총독 암살 음모에 대한 대구법원의 판결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46. 데라우치 총독 암살 음모에 대한 대구법원의 판결 n°53. Prononcé du jugement par la Cour d’appel de Taikou, dans l’affaire du complot contre la vie du Gal Terauchi ...집필자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관장 겸 부영사 | 작성연도1917년 | 작성월일7월 18일 | 발신자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관장 겸 부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2)
-
대구법 / 對句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변화법(變化法)의 하나. 이 표현법은 병렬되는 두 언어 표현의 가락을 맞추는 데 그 본질이 있다. 이 맞춰진 가락에 의해 산출된 운율(韻律)은 표현을 아름답게 하는 한편, 그 뜻을 분명하게 드러내 주는 효과를 낳는다. 대구법은 성질이나 뜻에는 상관 없이 다
-
축원무가 / 祝願巫歌 [문학/구비문학]
있으나, 전체를 종합하면 인간과 신의 대화라는 점에서 희곡적 성격을 가진다. 축원무가는 무속가사(巫俗歌辭)라고 할 수 있는데, 참신한 비유와 대구법으로 전개되며 문학성이 높은 무가이다. 이들은 민요나 가사와도 영향을 주고받았는데, 성조축원은 「고사반」·「논매기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