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구광역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20)
사전(390)
- 대구광역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8'∼127°00'34", 북위 35°03'∼35°15'이다. 면적은 884.15㎢이고, 인구는 249만 2,724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7개 구, 1개 군, 3개 읍, 6개 면, 134개 동, 241개 리가 있다. 시청은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중구 동...이칭별칭달구벌|대구
- 달성군(대구광역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구광역시의 남서부에 위치한 군. [개관] 동쪽은 대구광역시와 경산시, 서쪽은 낙동강을 경계로 성주군‧고령군, 남쪽은 청도군‧경상남도 창녕군, 북쪽은 칠곡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8°21′∼128°42′,북위 35°36′...
- 대구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9년에 편찬된 경상북도 대구군(지금의 대구광역시) 읍지. [내용]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慶尙北道大邱郡邑誌(경상북도대구군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대구부읍지(大邱府邑誌)』 1책이 규장각...이칭별칭경상북도대구군읍지(慶尙北道大邱郡邑誌)
- 대구광역시립중앙도서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는 공공도서관. [연원 및 변천] 1919년 7월 당시 경상북도청 구내의 뇌경관(賴慶館)에 도서관이 개관되었는데, 이 도서관이 현재의 부산시립도서관의 전신인 일본홍도회(日本弘道會) 조선지부립도서관(...
- 판소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지정 보호하고 있는 판소리「흥보가」. [내용]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 1992년 9월에 지정되었다. 예능보유자인 이명희(李明姬)는 6세경부터 대구에서 성장하였고 거주하고 있음을 인연으로 박녹주(朴綠珠)의...
고서·고문서(2,422)
- 대구광역시 옻골마을 부인동지(夫仁洞誌)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조선후기 대구광역시부인동(夫仁洞)에서 실시되었었던 부인동향약(夫仁洞鄕約) 운영과 관련된 여러 자료를 망라해 놓은 것이다. 부인동향약은 이곳 출신의 양반 최흥원(崔興遠)에 의해 제정되었고 1739년부터 실시되었다. 이 향약은 최흥원을 비롯한 지역의 양반뿐만 아니라, 인...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대구광역시_ST2017011525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역사 물품도구 선사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충북대학교 김범철 대구광역시_ST2017011525 ST2017011525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 380번지 동천동 128°33'27.50"E 35°55'...대표표제어대구광역시_ST2017011525 | 유적명동천동
- 대구광역시_ST2017011526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역사 물품도구 선사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충북대학교 김범철 대구광역시_ST2017011526 ST2017011526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 380번지 동천동 128°33'27.50"E 35°55'...대표표제어대구광역시_ST2017011526 | 유적명동천동
- 대구광역시_ST2017011527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역사 물품도구 선사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충북대학교 김범철 대구광역시_ST2017011527 ST2017011527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 380번지 동천동 128°33'27.50"E 35°55'...대표표제어대구광역시_ST2017011527 | 유적명동천동
- 대구광역시_ST2017011528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역사 물품도구 선사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충북대학교 김범철 대구광역시_ST2017011528 ST2017011528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 380번지 동천동 128°33'27.50"E 35°55'...대표표제어대구광역시_ST2017011528 | 유적명동천동
구술자료(58)
- 경상 20170106_대구광역시 중구 대안동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20170106_053_1316_중구 2017 경상 20170106 경상 2017. 01. 06(금) 13:00-16:30 대구광역시 중구 대안동 묘엔 이치로 [일본, 남, 1952년생, 유학 3년차] 마츠자키 료코 [일본, 여, 1982년생,제보자묘엔 이치로 [일본, 남, 1952년생, 유학 3년차] 마츠자키 료코 [일본, 여, 1982년생, 이주노동 8년차] 마츠다 타마미 [일본, 여, 1976년생, 결혼이주 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경상 20180129_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20180129_053_1112_중구 2018 경상 20180129 경상 2018. 01. 29(월) 11:28-12:58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나탈리아 [러시아, 여, 1983년생, 결혼이주 13년차] 조사자 3인 김정은, 황승업, 강새미 조사자는 대구제보자나탈리아 [러시아, 여, 1983년생, 결혼이주 1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경상 20180129_대구광역시 북구 경북대 앞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20180129_053_1415_북구 2018 경상 20180129 경상 2018. 01. 29(월) 14:20-15:54 대구광역시 북구 경북대 앞 굴지라 [카자흐스탄, 여, 1994년생, 유학 1년차] 조사자 3인 김정은, 황승업, 강새미 조사자는 악지라제보자굴지라 [카자흐스탄, 여, 1994년생, 유학 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김초향 꾀꼬리 기타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김초향 1900 여자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기타녹음자료 | 자료유형잡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초향
- 김초향 꾀꼬리 기타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보형 김초향 1900 여자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기타녹음자료 | 자료유형잡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초향
기초학문(4)
- 지역 정치엘리트의 형성과 변화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사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경희, 게재일 : 201665248 임경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정치학회 2016 지역 정치엘리트의 형성과 변화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사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16
- IPA기법을 통한 스포츠공간으로서의 수변공원 활성화 전략:현재와 전망 -대구광역시 신천둔치수변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수원, 게재일 : 200906852 임수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체육학회 2009 IPA기법을 통한 스포츠공간으로서의 수변공원 활성화 전략:현재와 전망 -대구광역시 신천둔치수변공원을 대상으로 https://www.krm.or.kr/k유형논문 | 게재일2009
- 현대 한국사회의 도시성과 일상성 연구: 공간의 전유와 적응에 따른 일상적 전술과 행위양식의 민족지적 조사연구 - 대구광역시 도심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43807 한국연구재단 현대 한국사회의 도시성과 일상성 연구: 공간의 전유와 적응에 따른 일상적 전술과 행위양식의 민족지적 조사연구 - 대구광역시 도심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논문] 사이존재로서 결혼이주자와 로컬의 다문화와 초국가적 공간화-대구광역시 결혼이주 여성의 생애사 사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737908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논문] 사이존재로서 결혼이주자와 로컬의 다문화와 초국가적 공간화-대구광역시 결혼이주 여성의 생애사 사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11)
- 만종요결(萬種要訣)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대구광역시/경상북도Ⅰ_자료집(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2007), p.261.대표표제어만종요결(萬種要訣) | 대표서명萬種要訣 | 한글서명만종요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36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경북 경주 기림사 기림유물관 無 1. 비로자나불 복장전적 2. 소장본: 卷15-16 한국의 사찰 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대구광역시/경상북도Ⅰ_자료집(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2007), p.167.대표표제어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36 | 대표서명禪門拈頌集 | 한글서명선문염송집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37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경북 군위 유일정사 조용당 無 1. 소장본: 卷13-15 한국의 사찰 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대구광역시/경상북도Ⅰ_자료집(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2007), p.260.대표표제어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37 | 대표서명禪門拈頌集 | 한글서명선문염송집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38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경북 청도 운문사 삼장원 無 1. 소장본: 卷4-6 한국의 사찰 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대구광역시/경상북도Ⅰ_자료집(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2007), p.293.대표표제어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38 | 대표서명禪門拈頌集 | 한글서명선문염송집 | 서지형태형태서지
- 화엄경과목도 / 강요장(華嚴經科目圖 / 綱要藏)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本 朝鮮後期 1帖 대구시 원만사 대웅전 無 한국의 사찰 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대구광역시/경상북도Ⅰ_자료집(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2007), p.128.대표표제어화엄경과목도 / 강요장(華嚴經科目圖 / 綱要藏) | 대표서명華嚴經科目圖 / 綱要藏 | 한글서명화엄경과목도 / 강요장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135)
- 달성교육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대구광역시달성교육청 大邱廣域市達城敎育廳 2007 대구광역시달성교육청 879범주1교육총류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대구광역시달성교육청
- 대구교육원설치제정조례(1754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문서 대구광역시 1983 12 24 조례 BA0034114 대구광역시기획관리실법무담당관 4...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대구광역시 | 사료철명조례
- 대구교육사 2001-2010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단행본 대구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2011 대구광역시교육청 ...범주1교육총류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대구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 대구교육사-1991-2000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단행본 대구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2001 대구광역시교육청 ...범주1교육총류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대구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 대구직할시교육과학연구원설치조례(1638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문서 대구광역시 1983 2 2 조례 BA0034107 대구광역시기획관리...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대구광역시 | 사료철명조례
연구과제(1)
-
현풍곽씨언간의 영문 번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Vincenza D Urso | Ca' Foscari University of Venice (Ca Foscari University of Venice) | 2021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94)
-
대구광역시 / 大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다. 면적은 883.48㎢이고, 인구는 248만 7829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7개 구, 1개 군, 3개 읍, 6개 면, 130개 행정동(195개 법정동), 255개 행정리(95개 법정리)가 있다. 시청은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다.
-
남구(대구광역시) / 南區(大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의 중앙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는 수성구, 서쪽으로는 달서구 송현동, 남쪽으로는 달성군, 북쪽으로는 중구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8°33′∼128°36′,북위 35°48′∼35°51′에 위치한다. 면적은 17.44㎢이고, 인구는 16만 852명(2015년
-
동구(대구광역시) / 東區(大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 북동부에 위치한 구(區). 동쪽으로는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과 하양읍, 서쪽으로는 북구·경상북도 칠곡군, 남쪽으로는 경산시, 북쪽으로는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영천시 신령면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8°36′∼128°45′, 북위 35°50′∼36°00′
-
북구(대구광역시) / 北區(大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 북부에 위치한 구(區). 동쪽으로는 팔공산, 서쪽으로는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달성군 다사읍, 남쪽으로는 중구, 동구, 서구, 북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8°30′∼128°37′, 북위 35°52′∼35°59′에 위치하고
-
중구(대구광역시) / 中區(大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의 중앙에 위치한 구. 행정·정보·금융·유통의 중심지로 대구 심장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동서남북이 신천, 달성 기슭, 명덕로 그리고 경부선을 경계로 각각 대구광역시 동구, 서구, 남구 그리고 북구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8˚34'~128˚38', 북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