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광보국숭록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1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8)

사전(7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1품 상계(上階) 문관의 품계. [내용] 1392년(태조 1) 7월 관제를 새로 정할 때 고려시대의 특진보국삼중대광(特進輔國三重大匡)을 계승, 개편하여 특진보국숭록대부라 하였던 것을 뒤에 로 개칭하였...
  • (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祿 영의정(領議政),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안정윤 [정의] 문산계(文散階) 정1품의 상계(...
    관련어영의정(領議政),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
  • 정경부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1품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1품 (祿)‧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의 적처(嫡妻)와 종1품 숭록대부(崇祿大夫)‧숭정대부(崇政大夫)의 적처를 봉작하여 통칭한 것이...
  • 정일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는 로 개칭되어 수록되었다. 1443년(세종 25) 12월 종친계의 정1품 상‧하계로 현록대부‧흥록대부가 신설되었다. 또한, 의빈계는 1444년 7월 수록대부‧성록대부가 제정되었다. 그런데 1865년(고종 2)부터 종친계와 의빈계의 정1품 관계명...
  • 천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절세미인으로 둔갑한 노호를 총첩으로 받아들이고 그 간계에 빠져반필석을 죽이려고 하나 필석의 계략으로 진실을 알게 된 후 필석의 공을 치하한다. 또한사직을 위기에서 구출해 준 공로를 기려 다시 병부 상서에 벼슬을 더하게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2)

  • 교지-정만석 위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국제 및 왕실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1607년 황윤공(黃允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07년 윤6월 8일에 국왕이 고 황윤공에게 의정부좌의정겸영경연사을 추증하는 교지이다. 아들 황진의 공에 의해서 법전에 의해서 추증받은 것이다. 지난 1602년에 추증된 적이 있었는데, 1604년에 그의 아들이 선무원종공신으로 추록되면서 다시 1등급...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76263 B076263 동래 東萊 정치행정 睿宗實錄 附錄 _ 纂修官 名單 亮經濟弘化佐理功臣祿上黨府院君兼領經筵事兵曹判書 臣韓明澮。○監館事:○輸忠衛社協贊靖難佐翼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祿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寧城府院君 臣崔恒。○知館事:○推忠定難翊戴純...
    출처전거睿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8504 B068504 동래 東萊 정치행정 世祖實錄 附錄 _ 纂修官 名單 臣韓明澮○監館事:○輸忠衛社協賛靖亂佐翼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祿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寧城府院君 臣崔恒○知館事:○推忠定難翊戴純誠明亮佐理功臣崇政大夫判敦寧府事兼知經筵事晋山君 臣姜希孟○純誠明...
    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拾卷帙不全購求 完本得諸 此病家有賴而祖宗濟活生靈之意復行於聖朝玆非幸歟鳴吉方忝內局提調故略書其 顚末書諸卷尾以識之祟禎六年癸酉十二月 日崔鳴吉謹跋內醫院都提調奮忠贊謨立紀明倫靖 社功臣 祿議政府右議政兼領 經筵事監春秋館事 世子傅昇平府院君金瑬訓鍊都監提調奮忠贊謨立紀明倫靖 社 功臣...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2)

  • 십월 이십일호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죠셔샤 장례원경 윤용션을 명샤 의졍부 의졍을 삼으시고 농상공부 대신 민병셕을 명샤 궁부 대신을 삼으시고 농샹공부 협판 민상호로 농샹공부 대신 셔리 무를 명 시다
    게재일1898년 10월 22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內重四郞 任學部次官 俵孫一 帝室會計審査局長李鳳來 命奉常司提調 宮內府協辦金珏鉉 命帝室會計審査局長 命宮內府次官 鶴原定吉 宮內府特進官沈相薰 贈正一品祿領敦寧司事 以上八月九日 主殿院主事金準植 公立振威普通學校敎員尹大善 公立振威普通學校副敎員朴斗永 免本官 以上八月十日
    게재일1907년 8월 13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1품 상계 문관의 품계. 1392년(태조 1) 7월 관제를 새로 정할 때 고려시대의 특진보국삼중대광(特進輔國三重大匡)을 계승, 개편하여 특진보국숭록대부라 하였던 것을 뒤에 로 개칭하였다. 1894년(고종 31) 7월 갑오경장 때 관질(官秩)

  • 최효원증직교지 / 崔孝元贈職敎旨 [정치·법제/법제·행정]

    교지. 1734년(영조 10) 2월 18일 숙빈최씨의 부친 최효원(崔孝元)을 (祿) 의정부영의정겸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의 영사(領事)로 증직하는 교지이다.

  • 정경부인 / 貞敬夫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1품 작호. 문무관 정1품 ·보국숭록대부의 적처와 종1품 숭록대부·숭정대부의 적처를 봉작하여 통칭한 것이다.

  • 이서구 / 李書九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평안도관찰사, 형조판서,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문인. 아버지는 (祿)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을 증직 받은 이원(李遠)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貞敬夫人)이 된 평산 신씨(平山申氏)로 부사 신사관(申思觀)의 딸이다. 계비(繼妣

  • 이기 / 李芑 [종교·철학/유학]

    1476(성종 7)∼1552(명종 7). 조선 중기의 문신. 명신의 증손, 할아버지는 추이다. 아버지는 의무, 어머니는 성희의 딸이다. 좌의정 행의 형이다.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에 삼등과로 급제하였다. 가 되면서 병조판서를 겸하여 조정의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