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8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30)
사전(3,592)
- 덕양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오대관(吳大寬)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69년 그의 8세손 해근(海根)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고윤주(高允柱)의 서문과 권말에 해근의 발문이 있다. 서문에 이어 그의 문인 백시덕(白時...
- 괴전와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하대관(河大觀)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불분권 1책. 필사본. 방손(傍孫) 하유집(河有楫)이 소장하고 있다. [내용] 시 591수, 부 1편, 서(書) 9편, 서(序) 4편, 기 2편, 후지 9편, 서...
- 계수대관왜(計受代官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05 개념용어 계수대관왜(計受代官倭) 계수대관왜 計受代官倭 원래 직무를 맡았던 관리를 대신하여 주찬(酒饌) 가미(價米)나 구청(求請) 잡물 등을 계산하여 수령해가는 왜인. 1636년에 쓰시마도주 소 요시나리(宗義成)가 그 부관과...유형분류개념용어
- 대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데 이 때 창조에는 대창(大倉)‧양온(良醞)‧염점(鹽店)‧영선점(迎仙店)‧함화점(咸和店)과 함께 대관을 그 속관으로 설치하게 되었다. 대관의 기능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가 없으나, 경관(京官)인 선관서(膳官署)가 목종 때는 대관서(大官署)로 바뀌고, 이 때...
- 대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관습에 따라 헌부(憲府)‧상대(相臺)‧백대(柏臺)‧오대(烏臺)‧상대(霜臺) 또는 대관 등으로 호칭하였다. 사헌부의 관원으로는 대사헌 1인, 집의(執義) 1인, 장령(掌令) 1인, 지평(持平) 2인, 감찰 24인을 두었는데, 이들을 통칭해 대관이라 하였다. 특...이칭별칭대신(臺臣)|헌관(憲官)
단행본(8)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3 - 외교류-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유지복(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조재곤...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2.05.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誥命 諭祭文 使行文書 國書 信任‧解任狀 照會文 條約 雇聘契約書 外交書翰 其他
-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 | 동국대학교]저자 : 조성운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240115한국 근대관광의 기원과 변용 과정을 실증적으로 천착한 연구이다. 한말 이후 근대관광의 기원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살폈으며, 일제의 조선 강점 직전인 1909년 경성일보사의 일본관광단 조직 이래 변용되기 시작한 근대관광의 모습을 천착하였다. 특히 근대관광 개발을 경성, ...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7-복식발기류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3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최주희, 이민주, 김봉좌...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6.11.30유형단행본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1 - 왕명, 상주-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민원(원광대학교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朝鮮王朝篇 1. 敎旨 2. 敎書 3. 封書 4. 敎命 5. 敎文 6. 傳敎 7. 提論 8. 論書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2 - 단망, 시장, 진설도, 홀기, 의주-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신명호(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욱(한국...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望單 諡狀 陳設圖 笏記 儀註 其他 해제
논문(3)
-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의 관광적 성격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 | 동국대학교]저자 : 조성운 | 게재정보 : 서울과역사
- 韓客來台觀光實務與韓語人才培育現況之研析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游娟鐶(Chinese Culture University), 陳瓊華(Chinese Culture University) | 게재정보 : 第25期韓國學報 1권, 게재일 : 2014.07유형논문
- "세설신어(世说新语)"에서 전래된 중한 성구 비교 [중국 절강성지역 한국학 교육 플랫폼 구축 | 浙江越秀外國語學院 (Zhejiang Yuexiu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저자 : 고신일 | 게재정보 : 현대언어학
고서·고문서(2,076)
- Покотилов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대관식 참여 대표단을 시테인이 수행한다.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 국립역사문서보관소 | 발신일1896(?). 3.25/4.6
- 大觀江山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928 잡가 8093―A, 8093―B TAIHEI 大觀江山 朴綠珠 [2] 이 몸이 재조 업서 성상이 바렷스매 공명이 부운이라 죽장망헤단포자로 대관강산 하잣서라 봉래산 가자하니 남포운 멀고 멀다 우흐로 천상선경 앙망불금무가내라 인간에 만고경치 차...구분잡가
- 구대관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6843 P-SDK-06843-P-E-50-05 P-SDK-06843-P-E-50-05-1 P-SDK-06843-P-E-50-05-2 구대관 舊大官 조선 경성 명소 회엽서 봉투 있음. 50매 세트. 사제엽서 사회 생활 근대 ...자료명구대관 | 발행처日之出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구대관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6870 P-SDK-06870-P-E-50-32 P-SDK-06870-P-E-50-32-1 P-SDK-06870-P-E-50-32-2 구대관 舊大官 조선 경성 명소 회엽서 봉투 있음. 50매 세트. 사제엽서 사회 생활 근대 ...자료명구대관 | 발행처日之出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조선대관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4807 P-SDK-04807-P-A-01-01 P-SDK-04807-P-A-01-01-1 P-SDK-04807-P-A-01-01-2 조선대관 GRAND SIGHT OF KYURYUEN IN OUTER KONGO, CHOSEN. 외금강 구룡연의자료명조선대관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20)
- 대관령 과부서낭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거 갖잖은 얘긴데’라고 전제한 뒤 김복남씨가 들여준 이야다.*조사일시1979-08-08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가남면 | 제보자김복남
- 대관령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울 장충단 공원에서 이야기 시합을 해서 상을 탄 얘기를 하면서 이야기란 삼국지 초한전등을 얘기할 것이 아니라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의 내력을 얘기해야 한다고 했다. 이야기 시합에서 대관령의 유래를 얘기해 상을 탔다고 하면서 이 이야기를 구연했다. 청중들은 웃으며 ...조사일시1983-07-19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 제보자이재옥
- 대관령 여국사성황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랑이의 이야기가 계속 이어졌다. *조사일시19810906 | 조사장소강원도 속초시 양양읍 | 제보자정연옥
- 백점봉 몽유가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2) 음질 중 백점택 단가 몽유가 대관강산 김창선 중고제 유성기음반 판소리 3:48 00:00 A면 단가 몽유가소리 백점봉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백점봉
- 박록주 공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질 중. 박록주 단가 진국명산 만고강산 죽장망혜 대관강산 백발가 추풍감별곡 춘향가 사랑가 정자노래를 들어라 이별가 춘향어머니 나온다 군로사령 여러 기생이 들어 온다 동풍가 몽중가 판소리 미상 미상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록주
기초학문(22)
- 샤를마뉴의 대관식 의례와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71693 한국연구재단 이화사학연구소 2015 샤를마뉴의 대관식 의례와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세대관계의 다양성과 구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경숙, 게재일 : 200415328 박경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학회 2004 세대관계의 다양성과 구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3유형논문 | 게재일2004
- 音韻闡微를 통한 淸代官話 聖母體系 考察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태완, 게재일 : 200205618 김태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언어학회 2002 音韻闡微를 통한 淸代官話 聖母體系 考察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중년층과 노부모의 세대관계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경숙, 게재일 : 199900662 박경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학회 1999 중년층과 노부모의 세대관계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유형논문 | 게재일1999
- 갑오개혁과 한국 근대관료제의 형성: 역사적 제도주의접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근세, 게재일 : 201717137 김근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7 갑오개혁과 한국 근대관료제의 형성: 역사적 제도주의접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885)
- 大官會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삼작일에 쟝곡쳔 령관이 군부대신리근씨 쳥야 무삼문뎨 셜명얏고 작일에는 통감이 부대신을쳥야 무삼건을 상의엿는데 경무고문환산씨도 참셕얏다더라게재일1906년 9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大官遷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츄원의쟝 민죵묵씨갈니고 그의 쥬뎐원경리근호씨가 젼임고 특진관민병한씨 즁츄원찬의로 젼임엿다더라게재일1906년 6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大官未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부대신 모씨가 시졍션 방을 긔록야 어젼에 봉졍얏더니 쳐분을나리샤 졍치 량의실시 졍부에임이어늘 국 졍부에 위임셩지 오되 실시난것은 보지못고 이 록지보니 민국를 황실로 미거시아니냐압신고로 그대신이 대단 미안즁이라더라게재일1906년 3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大官任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쥬뎐원경 리근효씨난 죵무관장으로 젼임고 량셥환씨가 쥬뎐원경을 피임엿다더라게재일1906년 7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大官照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갈닌함흥 관찰 신긔션씨 관찰 임시에 뎡평군 죄인 삼명을 징역칠년에 셔고고 무삼쥬션이 잇셧든지 급기집에각기 일에방송지라 평리원에셔 그 건으로 구라심판다더니 징역칠년에 죠률야 검사가 공소야 아즉 션고 되지 안엇스나 엇지될지 알슈업스되 신씨...게재일1906년 8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6)
- 썰매와 스키를 타고 학교를 다니고 스키 시즌을 맞아 관광객이 방문하고 스키대회가 열리는 대관령의 겨울 모습을 기록함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59년 | 제작공보실
- 이화여대는 1970년 5월 30일 개교 84돌을 맞이해 운동장에서 기념식을 열고 메이퀸(5월의 여왕) 및 동창여왕 대관식 등 다양한 행사를 벌였다자료구분대한뉴스KC | 제작년도1970년 6월 6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용 금지 5. 동맹국간의 유대관계 강화.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0년 5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12-08_0.8920709_[사진 38] 각종 암막새편.jpg h2-0171_3 유물 [사진 41] 「大管」(1,2,3), 「草」(4), 「柱」(5), 「卍」(6) 명와편 2014-12-08_0.2485773_[사진 41] 「大管」(1,2,3),제목대원사지‧미륵대원지 : 중원 미륵리사지 5차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유물 [사진 38] 미륵당 명와편 2014-11-23_0.915539_[사진 38] 미륵당 명와편.jpg h2-0170_3 유물 [사진 41] 대관 명와편 2014-11-23_0.9908563_[사진 41] 대관 명와편.jpg h2제목중원 미륵리사지 4차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58)
- 나대관;羅大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826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19면 나대관;羅大寬 제1회 1924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대관;金大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7716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60면 - 김대관;金大寬 1937년 3월 1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대관;李大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3378 남한 경성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1-19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 17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4) 제14회 123명(1918년 3월 졸업) 이대관;李大瓘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대관;李大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0210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17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4) 제14회 123명(1918년 3월 졸업) 이대관;李大瓘 (주소 및...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대관;丁大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1306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72면 8. 제21회 졸업자명부 1935년 3월 3일 정대관;丁大琯 1935년 3월 3일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성운 | 동국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용만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5 | 국내 | 경기
-
중국내 근·현대한국학 및 한중관계학 선도 연구·교육 시스템 구축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김동길 | 北京大學 (Peking University) | 2021 | 국외 | 해외
-
재미한인 차세대의 다양성 및 초국가적 관계와 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은주 | 성균관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고종의 국정운영과 리더십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장영숙 | 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 2014 | 국내 | 충남
주제어사전(77)
-
대관 / 臺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칭되어 조선시대로 계승되었다. 관원으로는 대사헌 1인, 집의 1인, 장령 1인, 지평 2인, 감찰 24인을 두었는데, 이들을 통칭해 대관이라 하였다.
-
대관령 / 大關嶺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과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사이에 있는 고개. 정상에는 대령원(大嶺院), 횡계리에는 횡계역이 있어 과거의 험준한 교통로를 유지하고 여객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현재는 영동고속도로의 대관령휴게소가 있으며, 여기에서 서쪽으로는 일반국도와 분기된다. 또한
-
대관서 / 大官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제사와 연회의 음식을 조달하는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관청. 목종 때 대관서령을 두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이미 직제상 확립을 보았던 것이 확인된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명칭을 선관서(膳官署)로 바꾸고 사선서(司膳署)의
-
박대관 / 朴大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의병장(1756년(영조 32)~미상). 평안도 철산에 거주하던 진사로서, 홍경래가 반란을 일으키자 의병을 일으켜 반란군 진압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관군과 연합하여 반란군을 진압하였을 뿐만 아니라, 군량미를 공급하여 난을 진압하는 데 많은 공을 세웠다.
-
대관령 옛길 / 大關嶺─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에 있는 명승. 대관령 옛길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이래 영동과 영서를 잇는 교역로이자 교통로로서, 대관령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더불어 옛길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2010년에 명승 제74호로 지정되었다. 강릉단오제의 첫 제례는 대관령 옛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