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공수미법”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이는 그 효과를 인정하고 1569년(선조 2) 전국의 모든 공납을 쌀로 대신 수납하게 하는 의 시행을 건의했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군량미의 확보가 다급해지자, 유성룡 등에 의하여 다시 이 제기되어 1594년...
  • 공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여 폭리를 취하였고 그 반대편에는 소농민(小農民)의 몰락이 이어졌다. 공납제 개혁문제가 조야의 중대현안으로 떠올랐음은 물론이다. 조광조(趙光祖), 이이(李珥) 등이 공물을 쌀로 대납하는 방안인 ()을 제시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지방 차원에서...
  • 대동청(大同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경제재정/공물·진상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김동철 1608년(광해군 즉위) 선혜청(대동청) [정의] 조선후기에 대동법이 실시되면서 각 도의 대동에 관한 업무를 관장했던 관청. [제정...
    상위어대동법(大同法) | 하위어경기청(京畿廳), 강원청(江原廳), 호서청(湖西廳), 호남청(湖南廳), 영남청(嶺南廳), 해서청(海西廳), 삼도대동청(三道大同廳) | 관련어선혜청(宣惠廳), 삼도대동법(三道大同法), 대동사목(大同事目), 대공수미법(代貢收米法)
  • 선혜법(宣惠法)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道大同廳), () 경제재정/공물·진상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김동철 1608년(광해군 즉위년) 선혜청 [정의] 조선 광해군 때 공납제의 모순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련된 재정제도. [개설]...
    하위어삼도선혜법(三道宣惠法), 삼도대동법(三道大同法), 경기선혜법(京畿宣惠法) | 동의어선혜지법(宣惠之法), 대동법(大同法) | 관련어경대동(京大同), 반대동(半大同), 한백겸(韓百謙), 유성룡(柳成龍), 선혜청(宣惠廳), 삼도대동청(三道大同廳), 대공수미법(代貢收米法)
  • 방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실시를 주장한 바 있었다. 그 골자는 공납제를 폐지하고 전결(田結)을 단위로 하여 쌀로 부과, 징수하자는 것이었다. 이를 ‘대동법’이라고도 하는데 마침내 1608년(광해군 즉위년) 경기도의 실시를 시작으로 점차 전국으로 확대되어갔다. →대...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경제]

    조선 중기 공납제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이이·유성룡 등에 의해 제기된 재정 정책. 대동법의 선구가 되었다. 조선 중기까지는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물자를 각 지방에 할당, 징수하여 조달하였다. 이것을 공납이라 하여 백성들에게 호세(戶稅)로 부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