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계집”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4)

  • 조석형(趙錫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월사집(月沙集)』 『태계집()』 『문곡집(文谷集)』 『연경재전집(硏經齎全集)』 『수북유고(水北遺稿)』
  • 강대수 (姜大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계집(桐溪集)』 『용주유고(龍洲遺稿)』 『태계집()』 『응천일록(凝川日錄)』 『미수기언(眉叟記言)...
  • 목성선(睦性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호집(芝湖集)』 『창석집(蒼石集)』 『태계집()』 『퇴당집(退堂集)』 『호주집(湖洲集)』...
  • 목겸선(睦兼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잠곡유고(潛谷遺稿)』 『태계집()』 『한사집(寒沙集)』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4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김인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장원태, 정원재... | 출판사 : 민창사 | 출판일 : 2013.10.31.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集 檀海遺稿 團和齋集 澹人集 藫庭遺稿 大溪遺稿 大谷遺稿 大林山人未定藁

고서·고문서(3)

  • 序 1 高靈 申獻求(1823~1902년 이후)가 대계의 조카인 黃炳欽의 부탁으로 서문을 지었다. 그의 자는 季文이며, 호는 白坡居士이다. 應模의 아들로 1862년(철종 13)에 정시 병과에 급제하였다. 卷1 詞 懷遊詞 1 자신의 존재와 삶의 좌표에 대해 폭넓은 의문을...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559∼1617)의 문집인 『오한집』의 발문이다. 跋 (42) 河溍(1597∼1658)의 문집인 『』의 발문이다. 卷十一 壽峴集跋 (1) 石之珩(1610∼?)의 문집인 『수현집』의 발문이다. 敬書曾王考皇明復讎歌後 (2) 저자의 증조인 柳...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다. 문장의 詞理가 명백하고 音調가 화평하다고 평가하였다. 跋 42 1823년(순조23)에쓴台溪河溍(1597∼ 1658)의 문집(8권 4책)발문이다. 하진의 자는 晋伯, 본관은 晋陽이며, 浮査成汝信(1546 ∼1632)의 문인이다. 후손 河範雲이 속집과 연보를...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대계 황재영의 문집. 목판본. 7권 4책. 조카 병흠이 유고를 모아 신헌구에게 서문을 부탁하여 짓게 했다. 발문은 없다. 권1은 사 1편, 시 157제 198수, 소 1편이 있다. 권2~4까지는 서 147편, 권5에는 서 9편, 기 9편, 발 14편, 잡저 6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