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계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우산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57년(효종 8) 지방유림의 공의로 안방준(安邦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이 서원은 중앙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훼철과 복설이 ...
  • 안방준(安邦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참판에 증직되었다. 보성(寶城)의 (), 동복(同福)의 도원서원(道原書院), 능주(綾州)의 도산사(道山祠)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은봉전서(隱峯全書)』(원집 38권, 부록 2권)가 전하는데, 권5~8에는 임진왜란 당시의 상황과 의병활동 등을 기록한 「임진...
    유형분류인물
  • 은봉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7대손 명선(命宣), 8대손 숙(橚) 등이 여기에 다시 누락된 것을 첨가하고 보충해서 전라도 보성 ()에서 1864년(고종 1)에 간행하였다. 그의 시문은 본래 5대손 창현(昌賢)이 5책의 활자본으로 ‘우산집(牛山集)’이라는 서명으로 출간한 바 있...
  • 안방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섰다. 인조반정공신인 김류‧이귀와 비공신계인 성문준(成文濬)‧송준길(宋浚吉) 등과 친교가 있어 서인집권 하에서는 호남 지방을 대표하는 학자로 조정에 거듭 천거되었다. 보성의 (), 동복의 도원서원(道原書院), 능주의 도산사(道山祠)에 제향되었다. ...
    이칭별칭 사언(士彦)| 은봉(隱峰), 우산(牛山)| 문강(文康)
  • 보성군(전라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면의 보성옥마리오층석탑(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금화산의 마애석불 등이 있다. 유교 문화재로는 1397년(태조 6)에 건립된 보성읍 보성리의 보성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6호)와 지(址)가 있으며, 보성읍 보성리 동륜마을에는 임진왜...

고서·고문서(17)

  • 1864년 () 품목(稟目)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4년(고종1)1월 14일에 문집간행소에서 보성군수에게『은봉전서(隱峰全書)』를 간행할 목활자를 탈취해간 후손으로부터 돌려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청원한 내용이다. 이는 조선조 후기에 문집간행과 관련해 벌어진 문중 분쟁의 양상과 추이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864년 () 품목(稟目)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4년(고종1)2월 27일에 문집간행소에서『은봉전서(隱峯全書)』를 간행하는 데 필요한 배전(排錢)을 안명완과 안양환에게 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보성군수에게 청원한 내용이다. 이는 조선조 후기에 문집간행과 관련해 벌어진 문중 분쟁의 양상과 추이를 살필 수...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864년 () 품목(稟目)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4년(고종1)3월에 문집간행소에서『은봉전서(隱峰全書)』를 간행하는 데 필요한 돈을 납부하지 않은 안규만과 그 친족들에게 납부를 독촉하는 이문(移文)을 순천부로 보내주길 연명으로 청한 내용이다. 이는 조선조 후기에 문집간행과 관련해 벌어진 문중 분쟁의 양...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864년 () 품목(稟目)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4년(고종1)4월 15일에 문집간행소에서『은봉전서(隱峰全書)』를 간행하기 위해 걷기로 한 돈을 납부하지 않은 안명완(安命琓)일파에게 납부를 독촉해주길 연명으로 요청한 문서이다. 이는 조선조 후기에 문집간행과 관련해 벌어진 문중 분쟁의 양상과 추이를 살필...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864년 () 품목(稟目)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4년(고종1)5월 12일에 문집간행소의 유사들이 임태현(任台鉉)의 진술서에 연루된 족인(族人) 안채수(安采秀)를 관대하게 처리해 줄 것을 청원한 내용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주제어사전(1)

  • / [교육/교육]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에 있던 조선시대 서원. 1657년(효종 8) 지방유림의 공의로 안방준(安邦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이 서원은 중앙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훼철과 복설이 거듭되었다. 1691년(숙종 17)에 안방준 사우에 대한 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