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당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5)
사전(23)
- 당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에 녹비[鹿皮]를 붙인다. 이 것을 오려 가죽 마름질을 하고 ‘눈’새김질을 하여 당초문을 마련한다. 마름질한 가죽으로 울타리를 지어서 ‘도리’를 돌리고 눈을 놓은 다음 안을 감치고 바닥을 붙여서 창을 건다. 조선시대 여자의 신으로는 온혜(溫鞋)‧당혜 등...
- 당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중국식 가죽신. 黃筆 .柄 眞墨 十笏 唐鞋 一部, 정조(正祖), 26-5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당혜(唐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당혜 당혜 唐鞋 궁혜(宮鞋), 수혜(繡鞋), 운혜(雲鞋) 생활 풍속의생활/이 의복 대한민국 조선 최은수 일상용(日常用), 혼례용(婚禮用) 혼례 [정의] 신 코에 당초무늬가 있...관련어궁혜(宮鞋), 수혜(繡鞋), 운혜(雲鞋)
- 청목당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흰 바탕이나 붉은 바탕에 푸른 무늬를 놓은 가죽신.정의흰 바탕이나 붉은 바탕에 푸른 무늬를 놓은 가죽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cheongmok danghye | MR표기ch’ŏngmok tangh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홍목당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푸른 바탕에 붉은 무늬를 놓은 가죽신.정의푸른 바탕에 붉은 무늬를 놓은 가죽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ongmok danghye | MR표기hongmok tangh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41)
- 燕巖先生書簡帖11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補遺 2 燕巖先生書簡帖 燕巖先生書簡帖11 燕巖先生書簡帖11 11. 庚後暑氣猶盛, 令候起居如何? 今日極欲乘早涼進晤, 而爀曦已中天矣. 晩往則寄食無處, 纔停坐. 計於明曉, 當偕景禹, 朝飯能具否? 爲此專報. 姑不備. 令照. 卽欠拜. 蓮洞數三處,대표표제어燕巖先生書簡帖11 | 목차燕巖先生書簡帖
- 개고리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에…… 성은 청가래도 뛰는 멋으로 댕긴다 [③] 에― 개천에 빠져서 허덕저덕한다 에…… 수렁에 빠져서 만석당혜(萬舃唐鞋)를 잃었네 [④] 에― 개고리 집을 찾으려면 미나리 밭으로 가거라 에…… 뚜꺼비 집을 찾으려면 장독대로 돌아라 [⑤] 에― 은장도(銀粧刀) 차려다 작...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개고리 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리라. 에…… 성은 청가래도 뛰는 멋으로 댕긴다. [③] 에― 개천에 빠져서 허덕저덕한다. 에…… 수렁에 빠져서 만석당혜(萬舃唐鞋)를 잃었네. [④] 에― 개고리 집을 찾으려면 미나리 밭으로 가거라. 에…… 뚜꺼비 집을 찾으려면 장독대로 돌아라. [⑤] 에― 은장도(銀...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祭需物目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선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제사 때 쓰던 제수의 물목(淸酒, 醴酒, 乾杮, 飴糖, 散子, 乾脯, 北魚, 靑魚, 四白魚, 崇魚, 道味, 鹿脚, 加里, 唐鞋, 靑帶)과 수량이 적혀 있는 문서이다.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垂統三百餘祀洪惟本朝風化掩古畏天之威樂天之道以小事大于時保之物不疵癘元元皡皡歎之不足申其義而作歌曰邈自陶唐兮下至宋康雖文質沿革之不同兮靡不由奢儉而興亡西柳兮以淫而顚覆北松兮由侈以流移西都號柳京煌煌江都惟德之基順天事大風俗淳熙於萬斯年安不忘危 四面環海土彊沃美 鄭以吾公衙記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51)
- 本人本月初過去壽洞等地라가油唐鞋眼鏡典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本月初過去壽洞等地라가油唐鞋眼鏡典標二張及葉三百兩手標一張拾得故伊日皇城新聞에廣告이되尙今不推故玆更廣告오니見失君子는推去홈 西署派駐憲兵 鄭在世 金鼎鉉告白게재일1903년 3월 16일 | 기사분류광고
- 여달살먹은 계집희가 더벙머리에 홍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여달살먹은 계집희가 더벙머리에 홍당목 겹져고리에 반물치마입고 연두 당혜신고 나오니 누구던지 보시거든 곤당골뒤 면집으로 지시시면 후소 김홍 고게재일1903년 6월 9일 | 기사분류광고
- 여달살먹은 계집희가 더벙머리에 홍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여달살먹은 계집희가 더벙머리에 홍당목 겹져고리에 반물치마입고 연두 당혜신고 나오니 누구던지 보시거든 곤당골뒤 면집으로 지시시면 후소 김홍 고게재일1903년 6월 10일 | 기사분류광고
- 대구든 계집아희 나은 십셰오 모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대구든 계집아희 나은 십셰오 모시젹삼에 반물치마입고 쳥목당혜신엇 일젼에 김션달이 즁로에셔보고 다려다가 본인의집에 두엇시니 그아희쥬인은 차져가시오 대젼골 쳔태 고게재일1903년 6월 24일 | 기사분류광고
- 다셧살먹은 남희 당목져고리에 무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다셧살먹은 남희 당목져고리에 무든 바지에 헌당혜신고 얼골은 둥근 음력금월 십칠일에 나가셔 집을 일엇스니 누구던지 보시거든 쳥셕골 리쥬집으로 보쥬시면 후소 리쥬 고게재일1902년 3월 29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1)
-
당혜 / 唐鞋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부녀자가 신던 갖신. 코와 뒤꿈치에 당초문을 놓아 만든 마른 신, 안은 융 같은 푹신한 감으로 하고 거죽은 가죽을 비단으로 싸서 만들었다. 먼저 ‘넝마’를 쌀풀로 부하여 배악비를 만들고, 여기에 녹비를 붙인다. 이것을 오려 가죽 마름질을 하고 ‘눈’새김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