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당하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0)
사전(394)
- 당하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彰善大夫) 이하, 의빈(儀賓)은 정순대부(正順大夫) 이하의 품계를 가진 사람이다. 당하관에는 양반은 물론 기술관(技術官)‧양반서얼(兩班庶孽) 등도 종사할 수 있었다. 15세기 후반부터 양반들은 기술관을 제도적‧관념적으로 차별하여 기술직을 이들에게 세전시키고,...
- 당하관(堂下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당하관 당하관 堂下官 조선관직(朝鮮官職) 제술문관(製述文官), 준직(准職), 참상관(參上官), 참하관(參下官), 첨위(僉尉) 당하(堂下) 계궁(階窮), 문신제술(文臣製述), 문신중시(文臣重試) 정치행정/관직·관품 개념용어 한국...상위어조선관직(朝鮮官職) | 하위어제술문관(製述文官), 준직(准職), 참상관(參上官), 참하관(參下官), 첨위(僉尉) | 동의어당하(堂下) | 관련어계궁(階窮), 문신제술(文臣製述), 문신중시(文臣重試)
- 상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내시부(內侍府)의 정3품 당하관(堂下官). [내용] 임금‧비빈‧대비‧왕세자의 시중을 들며, 특히 다과(茶菓)를 준비하는 일을 관장하였다. 환관(宦官) 가운데서 임명되었으며, 그 정원은 1인이다. 『경국대전(經...
- 중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당하관(堂下官) 이하의 문무관에게 10년마다 한번씩 보이는 과거. [내용] 처음에는 정년(丁年)에 행하던 것을 뒤에 병년(丙年)으로 바꾸어 실시하였다. 응시자격도 처음에는 중앙과 지방의 종3품 중직대부(中直大夫) 이하로
- 통훈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문신 정3품 하계(下階)의 품계명. [내용] 문산계에서는 정3품 상계인 통정대부 이상을 당상관(堂上官)이라 하고, 하계인 통훈대부 이하를 당하관(堂下官)이라 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
고서·고문서(236)
- 1866년 기정진(奇正鎭) 증조비(曾祖妣) 이씨(李氏) 추증교지(追贈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66년(고종3)11월에 기정진(奇正鎭)의 증조할머니인 이씨(李氏)를 숙인(淑人)에 추증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숙인은 정3품 당하관(堂下官) 처에게 주던 품계이다. 이씨는 기종상의 처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1747년 김광계(金光繼)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747년(영조23) 에 영조 가 김광계 를 통훈대부 사헌부집의 로 추증하는 문서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에 해당한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747년 의인이씨(宜人李氏)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747년(영조23) 에 영조 가 김광계 의 처 이씨를 숙인으로 추증하는 문서이다. 숙인은 3품 당하관 처에 해당한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537년 김연(金緣)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37년(중종32) 에 중종 이 김연 을 통훈대부 행사간원사간 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에 해당한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537년 김연(金緣)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37년(중종32) 에 중종 이 김연 을 통훈대부 행군자감판관 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에 해당한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주제어사전(30)
-
당하관 / 堂下官 [정치·법제/법제·행정]
람이다. 당하관에는 양반은 물론 기술관(技術官)·양반서얼(兩班庶孽) 등도 종사할 수 있었다.
-
우유선 / 右諭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강서원의 관직. 정원은 1인이다. 3품 당하관 이상 종2품 이하의 관원 중에서 임명되었다.
-
좌유선 / 左諭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강서원의 관직. 정원은 1인이다. 3품 당하관 이상 종2품 이하의 관원 중에서 임명하였다.
-
어모장군 / 禦侮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정3품 당하관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 하계는 과의장군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무산계 하계의 과의장군은 1466년(세조 12) 어모장군으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그리고 정3품 당하관에 해당되는
-
계궁 / 階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3품 하계 문·무관의 품계. 관리들의 정규적인 진급 상한선이었던 당하관 최고위계이다. 동반은 통훈대부, 서반은 어모장군이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