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당오전” 에 대한 검색결과 4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2)

사전(3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三錢) 등을 주조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임오군란과 인천 개항 이후 격증하는 경비 지출을 타개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통화 개혁이 필요하였다. 그리하여 1883년 2월 민씨(閔氏)일파가 주동이 되어 주조를 결정하였다. 민태호(閔台鎬)가 책임을 맡았으며, 경...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임오군란(壬午軍亂), 전환국(典圜局) 경제물가·화폐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유현재 화폐 구리, 주석 [정의] 1883년에 관에서 제작한 상평통보...
    관련어임오군란(壬午軍亂), 전환국(典圜局)
  • 일문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음 구리를 도금한 악화(惡貨)로, 실질가치는 이전 상평통보 일문전의 3분의 1에 불과하였다. 전질(錢質)이 양호한 1매를 다시 주조하면 조악한 일문전 5매가 되어 25문의 가치로 통용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그레셤(Gresham)의 법칙이 현실적으로 나타나게 되...
    이칭별칭평양전(平壤錢)|신전(新錢)
  • 민병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패하였다. 1886년부터 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事)‧한성부좌윤‧예조참판‧육영공원변리(育英公院辨理)‧강화유수 등을 지냈다. 1889년 평안도관찰사로 임명되어 1894년까지 평양에 머물렀다. 이 때 ()을 발행해 조병세(趙秉世)의 탄핵을 받...
    이칭별칭 경소(景召)| 시남(詩南), 의재(毅齋)
  • 송근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조세의 부담과 ()의 폐해 등을 지적하여 조세정책을 시정하고 개선할 것을 주장하였다. 1895년 단발령이 공포됨에 ‘각식’(却食)하여 이에 항의하였으며, 1895년 9월 문석봉(文錫鳳)의 유성의병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퇴직 후에는 봉조하(奉朝賀)가...
    이칭별칭 근술(近述)| 입재(立齋), 남곡(南谷)| 문헌(文獻)

고서·고문서(357)

신문·잡지(54)

  • 本人이金浦居李德三處의任置六千兩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이金浦居李德三處의任置六千兩推尋後成票를三千兩二千兩一千兩合三張出給矣德三親兄永三과五寸叔元昊兩人이來到야德三이挾雜錢을宅의㽝置고昨日逃走엿다고任置錢을달나기로無票不應矣漢城裁判所에呈訴엿기로其錢을官庭納上後領受票와兩人에手票를並捧上엿스니內外國人은其票를相關마시고或拾得休...
    게재일1903년 4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 瑞盛春九日二十八号二萬兩票遺失休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瑞盛春九日二十八号二萬兩票遺失休紙施行 甲辰十月卄八日 濟用司 李昌浩 廣告
    게재일1904년 12월 6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이 南門倉內米㕓閔昌淳許推次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이 南門倉內米㕓閔昌淳許推次一千四百兩於音一片을遺失엿시니誰某拾得와도休紙施行홈 棗洞 李星汝 告白
    게재일1903년 6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泥峴內全鍾源處에 推次五千兩無日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泥峴內全鍾源處에 推次五千兩無日字於音二百四十二号一片遺失故如是廣告오니誰某拾得이든지休紙施行오 李文京 告白
    게재일1903년 7월 2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이南門倉內米㕓閔昌淳許推次一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이南門倉內米㕓閔昌淳許推次一千四百兩於音一片을遺失엿시니誰某拾得와도休紙施行홈 棗洞 李星汝 告白
    게재일1903년 6월 29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5)

  • / [경제·산업/경제]

    1883년 2월에 주조되어 1894년 7월까지 유통되었던 화폐. 명목 가치는 1문전 상평통보 5배, 실질 가치는 상평통보의 약 2배에 지나지 않았다. 의 가치가 이처럼 폭락하자, 지방관들은 이를 이용해 조세를 양화인 상평통보로 징수해 악화인 으로 바꾸어 내

  • 일문전 / 一文錢 [경제·산업/경제]

    1892년부터 1894년 사이에 주조되어 사용된 상평통보. 평양에 분설된 전환국 주전소에서 주조하였다. 평양부 주전소에서 처음에는 크기가 작고 전질이 조잡한 을 주조하였으나, 1892년부터 일문전을 주조하였다. 그러나 1894년 7월 8일 화폐제도 문란을 이유로

  • 기계공 / 機械工 [사회/사회구조]

    여러 가지 형태의 기계금속 제품과 기관 및 기계장치를 조립, 장치, 수리하고 시계 등 정밀기구를 제작, 수리하는 일에 종사하는 공원. 1880년대 중엽 ()을 주조하기 위해 수입한 주전기계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 하던 실정이었다. 그러나 당시는 박문국(博文局

  • 상평통보 / 常平通寶 [경제·산업/경제]

    무너졌다. 상평통보의 무게는 2전 5푼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원료인 동의 공급이 어려워져 2전·1전7푼·1전2푼으로 줄어들었고, 19세기 후반에는 당백전· 등과 같은 고액전이 주조 유통되기에 이르렀다. 갑오경장과 함께 폐지되었다.

  • 홍순목 / 洪淳穆 [종교·철학/유학]

    년 일본이 통상을 요청하였을 때 척화론을 펼쳤으며, 1883년 재정난을 타개하기 위한 의 주조를 주장하여 이를 실현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