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당시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6)
- 우당시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문인 윤희구(尹喜求)의 시집. [내용] 불분권 1책. 연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모두 없어 간행연도와 간행경위 등을 알 수 없다. ≪우당시초≫는 470여 수의 시로 이루어졌다. 오언절구 3수, 오언율시 14수, 육언절구...
- 윤희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권상실 이후 중추원촉탁(中樞院囑託)이 되어 경학원부제학(經學院副提學)을 겸하였다. 1916년에는 장지연ㆍ오세창(吳世昌)과 함께 『대동시선(大東詩選)』을 교열하였다. 저서로는 『우당시초』 1책과 『우당문초』 2책이 있다. 『고종실록(...이칭별칭 주현(周玄)| 우당(于堂)
- 이시카와 다이본(石川大凡)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당시초(唐詩礎)』가 있다. 『韓館倡和稿』; 高橋昌彦,「朝鮮通信使唱和集目錄稿」(一), 福岡大学, 2007. 東京都立中央図書館 (http://www.library.metro.tokyo.jp/) ; 日本古典作者事典 (www.geocities.jp/manyou...유형분류인물
- 라이 교헤이(賴杏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원고편(原古編)』 ∙ 『예비효의전(藝備孝義傳』 ∙ 『춘초당시초(春草堂詩抄)』 ∙ 『당도집(唐桃集)』 등이 있다. 重田定一,『賴杏平先生傳』,1908.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 (http://kotobank.jp/dictionary/rekishijinbutsu...유형분류인물
- 홍현주시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선언실권 宣言室卷>(숙선옹주 著), 제 19책은 <숙선옹주묘표석음기 淑善翁主墓表石陰記>(洪奭周著), 제 20책은 <숙선옹주묘지 淑善翁主墓誌>, 제 21책은 <초당시초 蕉堂詩抄>(洪祐喆著), 제 22책은 <좌의정홍공시장 左議政洪公諡狀>(李鶴秀著), 제 23책은 <한중...
고서·고문서(19)
- 幼年必讀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東西동셔로 黨派당파가, 되니, 이ᄂᆞᆫ, 우리나라 偏黨始初편당시초오 賢臣李珥어진신하리이가 和解화ᄒᆡ코자ᄒᆞ나, 이루지, 못ᄒᆞ고 ᄯᅩ 禹性傳우셩젼과 李潑리발이 黨당을, 난호아 潑발과 李山海리산ᄒᆡᄂᆞᆫ 北人북인이, 되고 性傳셩젼과 柳成龍류셩룡은 南人남인이, 되얏고 鄭汝...서명幼年必讀 | 자료명第十七課 本朝歷代 八
- 經史門3_百二十二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百二十二 百二、十二之說, 古今難喩. 余謂, 此專以地勢論, 而兵力次之, 據險阻而擁强衆, 所以爲二也. 據上文, 可知. 當時楚、魏之國, 兵非不强, 終不與秦、齊比竝者, 有一而欠二也. 秦、齊之較諸列國, 則齊爲十倍, 秦爲百倍, 而其二者自在, 是秦得百於二, 齊得十於二也, 猶言二者...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門3_世宗追崇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從其昭穆之序, 入入: 규장각본에는 ‘立’으로 되어 있다. 爲之子, 未嘗以從兄爲父, 何以異是? 然則世宗入後於孝宗, 而興獻爲本生父也. 若父視興獻, 而追尊爲帝, 則是因武宗之不可爲父, 而遂竝與孝宗棄之也. 當時初無武宗, 而孝宗無嗣, 則世宗之入承也, 其敢有他議耶? 此非難知之理也....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和洌水〈詠木槿花〉【淞翁】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可惜當時貂不足。壽陵醜婦雖工似,邯鄲才女寧稱淑?尙有悠揚蝶罥鬚,不禁狼藉蟲飾腹。總總已似竽混籟,縮縮纔堪蒲拜竹。先生本不受寂寞,往往遇物皆寓目。乍嘗幾番是凡ㆍ楚?竝收仍欲兼隴ㆍ蜀。葑菲不遺儘德厚,鑑別何嘗迷烏鵠?縞衣茹藘聊可樂,不必尋春向韋曲。物各付物卽平等,我詩云云非激觸。 520 ~ 521...권차명詩集 卷六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강음현(江陰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淸了許多冤案而受到高度評价。不論什么復雜曲折的案件,他全能調査處理得淸楚明白。當時楚州淮陰有個農民,他們村里的人都因爲豐收有錢而去經商。他的東鄰則購買了數百畝肥沃的田地。但是買地的錢不夠,他便把莊園房産的契據抵押給西鄰,借貸了一百萬文錢。交付檢驗了契據,說明第二年帶上本錢和利息去贖回契據。到了約定的...출처전거太平廣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당시초 / 唐詩抄 [문학/고전시가]
총집류(總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4.8×20.2cm이다. 중국의 유명한 시인들의 시를 필사한 책이다.
-
우당시초 / 于堂詩抄 [문학/한문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유학자 윤희구의 시 「교거잡감」·「동경잡영」·「소조자제」 등을 수록한 시집. 불분권 1책. 연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모두 없어 간행연도와 간행경위 등을 알 수 없다. 『우당시초』는 470여 수의 시로 이루어졌다. 오언절구 3수, 오언
-
윤희구 / 尹喜求 [종교·철학/유학]
. 저서로는《우당시초》·《우당문초》가 있다.
-
유길준 / 兪吉濬 [역사/근대사]
연금돼 《서유견문》을 집필했으며 학교와 회사를 만들어 국민 계몽과 민족 산업의 발전에 힘을 쏟았다. 저서로는 《서유견문》·《구당시초》·《대한문전》·《노동야학독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