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당산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1)
사전(89)
- 당산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보내기 위한 날당산굿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당산제가 끝나면 마을공동 시설인 우물‧창고‧정자‧다리 등을 돌면서 굿을 친 다음 각 가정을 방문하여 문굿‧샘굿‧조왕굿‧마당굿 등 집안 구석구석을 돌면서 굿을 치는데, 이를 매구치기 또는 마당밟기‧지신밟기라고도...이칭별칭당산굿
- 당산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마을의 조상신‧수호신에게 마을사람들의 연중무병과 평온무사를 비는 제사.정의마을의 조상신‧수호신에게 마을사람들의 연중무병과 평온무사를 비는 제사.[두산백과] | 문광부표기dangsanje | MR표기tangsan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고창오거리당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에 있는 당산. [내용] 3기(基). 중요민속자료 제14호. 당산제 곧 동제의 신앙대상물로, 마을을 수호하는 구실과 함께 풍수의 기능도 한다. 고창읍의 상거리‧중거리‧...이칭별칭華表柱|망주석|삿갓비석|삿갓비|갓당산 | 연계항목고창오거리당산(高敞五巨里堂山)
- 오룡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섯 장을 오룡묘 지붕 위에 올려놓으면 풍랑이 가라앉을 것이라 하므로, 그대로 하자 풍랑이 멎어 항해를 계속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져 오고 있다. 이 청기와는 8ㆍ15광복 이후에 도난당하여 지금은 없다. 과거에는 매년 당산제(堂山祭)와 3년마다 별신제(別神祭)를 지냈...
- 제3노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금송아지」을 발표하면서 창작활동을 시작하였는데, 「당산제」(1939)ㆍ「고향 사람들」(1941) 등과 같은 작품에서는 도둑질ㆍ도박ㆍ인신매매 등의 막다른 길을 택하지 않을 수 없었던 소작농들의 모습을 통해 곤궁이 극에 달한 일제 말기의 농촌을 실감 있게 그려내었다.
고서·고문서(3)
- ○안봉사 영전에 있는 여러 조상의 초상화에 다례(茶禮)를 지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祖遺像前。三寶僧供餠、糆、泡炙、朴桂、果物。州人供藥飯。設畢焚香降神, 乃奠棗茶、淸酒各一杯。讀告辭拜退, 良久辭神而退。○會都三生、韓玠于禪堂餕祭餘。寺僧十餘亦共食之。行酒五、六巡乃止。○上休東室, 醉已食食, 遂出歷陞影堂拜辭焉。書生等別于門外, 過前溪石橋, 乃騎二城主所送騮馬而行。申時初還...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희재잡록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모임에서 나온 文學과 문장에 대한 이야기를 간략하게 정리한 글이다. 蘿村堂山祭祝文 (26) 魯城에 蘿人들이 거주하며 밭갈고 누에를 치며 100여년이나 거주한 지역에 있는 堂山에 올리는 祭祝文이다. 詩 戱題, 書憫, 次平城老人韻 惡佞說義 (27) 論語 先進篇...분야문학 | 유형문헌
- 홍인의 외 55명 예심종결결정, 홍인의외 15명 판결문, 이상호 판결문( 洪仁義 外 55名 豫審終結決定(昭和17年豫第34號) (1943년) 洪仁義 外 15名 判決文 (昭和19年刑公第349, 1546號) (1944년) 李相昊 判決文 (昭和20年刑上第21號(1945년) )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홍원군 운학면 차상리 44번지 주거 경성부 동대문구 전농정 160번지 직공 홍인의(洪仁義, 김동철) (40세) 본적 경성부 동대문구 제기정 148번지의 5 주거 경성부 영등포구 당산제 317번지 직공 산본병희(山本秉喜, 崔병희) (29세) 본적 강원도 강릉군 강릉...제목 홍인의 외 55명 예심종결결정, 홍인의외 15명 판결문, 이상호 판결문( 洪仁義 外 55名 豫審終結決定(昭和17年豫第34號) (1943년) 洪仁義 外 15名 判決文 (昭和19年刑公第349, 1546號) (1944년) 李相昊 判決文 (昭和20年刑上第21號(1945년) ) | 사건유형 치안유지법위반 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구술자료(24)
- 당산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마을에 대한 전설이나 인물에 대해 조사자가 묻자, 아래의 내용을 구연하였다.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내용이어서인지 정확성을 위해 서로 이야 기를 주고받는 분위가가 연출되었다.조사일시2010.02.04 | 조사장소충남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 옥포1구 새마을회관 | 제보자양예환
- 당산제 영험담⑦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화전놀이에 대한 이야기가 끝나자 조사자가 당산제에 대한 이야기를 물었다. 그러자 제보자가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11.01.27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무정면 동산리 칠전마을회관 | 제보자조춘숙
- 당산제 영험담④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당산제 영험담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자 이어서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11.01.27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무정면 동산리 칠전마을회관 | 제보자정종순
- 당산제 영험담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당산제 영험담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자 이어서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11.01.27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무정면 동산리 칠전마을회관 | 제보자정종순
- 당산제 영험담②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당산제에 관한 이야기에 이어서 다음 이야기를 이어갔다. 조사 분위기가 산만한 와중에도 제보자는 성의껏 이야기를 진행했다.조사일시2011.01.27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무정면 동산리 칠전마을회관 | 제보자송이진
기초학문(4)
- 광주ㆍ전남의 당산제 연구(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나경수, 게재일 : 200003577 나경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속학회 2000 광주ㆍ전남의 당산제 연구(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2000
- 광주ㆍ전남지역의 당산제 연구(3)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나경수, 게재일 : 200103578 나경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속학회 2001 광주ㆍ전남지역의 당산제 연구(3)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1
- 광주ㆍ전남의 당산제 연구(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나경수, 게재일 : 199911318 나경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남도민속학회 1999 광주ㆍ전남의 당산제 연구(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1999
- 광주‧전남의 당산제 연구(4)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나경수, 게재일 : 200114775 나경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남도민속학회 2001 광주‧전남의 당산제 연구(4)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유형논문 | 게재일2001
기타자료(1)
- 영광 불갑사 관광지구정밀지표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4. 모악리 민속신앙과 세시풍속 5. 삼정자 당산제 6. 지역문화제적인 가치 / Ⅳ. 조사단 의견 총 2기의 와요지를 조사하였는데 1기는 조사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어 발굴조사를 실시하였고, 다른 1기는 조사지역 밖에 위치하고 있어 내부의 퇴적토를 정리하는 단계에...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순천대학교박물관/영광군 | 발굴지역전라남도
주제어사전(4)
-
당산제 / 堂山祭 [종교·철학/민간신앙]
호남·영남 지역에서 행해지는 마을제사.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신(당산할아버지와 당산할머니)에게 마을의 풍요와 평안 등을 기원하는 지역공동체적 의례이다. 제일(祭日)은 주로 음력 정월대보름이나 정초가 가장 많고, 그밖에 10월 보름에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제관은 생기복덕
-
곤리도 / 昆里島 [지리/자연지리]
입도하여 살았다고 한다. 매년 3월 10일에 당산제를 지낸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05㎢, 밭 0.28㎢, 임야 0.81㎢이다.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으며, 주요 농산물은 쌀·콩·고구마를 비롯하여 배추·마늘·무 등이 생산된다. 볼락·장어·넙치 등이 어획되며, 섬
-
서천 신송리의 곰솔 / 舒川 新松里─ [과학/식물]
부분의 너비)은 동서 35.2m, 남북이 33m로서 평균 34.1m이다. 나무의 나이는 400년으로 추정된다. 마을 뒤 언덕에 홀로 서 있는 고립목(孤立木)으로 서낭나무로서 보호되어 왔으며 음력 정월에 마을에서 당산제를 지낸 바 있다.
-
기지시줄다리기 / 機池市─ [생활/민속]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 전승되는 줄다리기. 중요무형문화재 제75호. 기지시리의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에 마을 동편에 있는 국수봉(國守峰)의 국수당에서 행해지나, 줄다리기는 윤년의 음력 3월 초에만 행해진다. 따라서, 줄다리기를 하는 해에는 3월에 당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