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담제” 에 대한 검색결과 4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7)

사전(16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남편이 아내를 위하여 지내는 는 상 후 15개월 만에 지내는데, 즉 소상(小祥) 후 2개월째가 된다. 를 지내야 하는 경우는 부모상을 비롯하여 죽은 아버지를 대신하여 손자가 지내는 조부상과 부상(夫喪)‧처상(妻喪)뿐이다. 를 지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담사(禫祀) 상례(喪禮) 길복(吉服), 담복(淡服) 문화의례/상례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 안정윤 [정의] 3년의 상기(喪期)를 마친 뒤 상복을 벗고 평상으로 돌아감을 고하는...
    상위어상례(喪禮) | 관련어길복(吉服), 담복(淡服)
  • 상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대상(大祥)과 (). 汝之本生祥禫 次第告訖 想廓然靡逮 爲之悲念悲念, 김정희(金正喜), 33-6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담월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사후 27개월 만에 지내는 ()가 든 달. 禫月卽今月 汝兄當以初丁卽吉 汝等亦當依此順變耶, 이관징(李觀徵), 13-10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담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상을 당한 후 27개월, 즉 대상(大祥)을 치른 다음다음 달에 지내는 제사. 를 지낸 후 상복을 벗고 담복(禫服)을 입고, 다음달에 지내는 길제(吉祭)를 지낸 후 평상복을 입는다. (). .來承惠書 審月初已經尊先.夫人禫祀 何光陰不爲孝子而留連也, 김희봉...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91)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970 喪儀節要 卷一 ITKC_MP_0597A_0970_010_016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喪儀節要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二 【爲母ㆍ爲妻】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810 喪禮四箋 卷五 ITKC_MP_0597A_0810_010_0030 二 【爲母ㆍ爲妻】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喪禮四箋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妻喪黲帶亦可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ws_00006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喪禮_ 妻喪黲帶亦可 妻喪黲帶亦可 이익(李瀷, 1681~1763) 答秉休問目 DRAC_5:1:1:5Q 《喪威日錄》“”條, 引退溪說曰“依丘氏 氏 : 《星湖全集》에는 ‘儀’로 되어 있다.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537_150_077 1537년3월 ○중당(中堂)에서 ()를 지냈다 1537년 3월 18일 정유, 흐림. ○중당(中堂)에서 ()를 지냈다. 박(朴) 씨댁 누님‧형님[伯氏]‧형수님을 배향했다. 제사를 마치고 사당방[祠房]에 신주(神主)를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효안전 친제 제문(孝安殿親祭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구술자료(1)

신문·잡지(16)

  • 역사담 제17회(歷史十七回)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역사담 제17회(歷史十七回)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19호 歷史譚 第十七回 1908.02.24. 講壇 500~502 670~672 숭고생(崇古生) 대한제국     역사상...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9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역사담 제2회: 콜럼버스전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역사담 제2회: 콜럼버스전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4호 歷史二回클럼버스傳 1906.11.24. 講壇/學園 89~91 122~124 박용희(朴容喜) 대한제국     역사상...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역사담 제3회 : 비스마르크 전(傳)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역사담 제3회 : 비스마르크 전(傳)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5호 歷史三回 1906.12.24. 講壇/學園 115~116 157~158 박용희(朴容喜) 대한제국     ...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역사담(歷史譚) 제4회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역사담(歷史譚) 제4회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6호 歷史四回 1907.01.24. 講壇/學園 145~146 197~199 박용희(朴容喜) 대한제국     역사상 위인에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역사담 제7회 : 비스마르크 전 (부(附))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역사담 제7회 : 비스마르크 전 (부(附))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9호 歷史七回比斯麥傳附 1907.04.24. 講壇/學園 222~223 304 박용희(朴容喜) 대한제국   ...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9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19)

  • (특집 전인교육) 예체능 전 운영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특집 전인교육) 예체능 전 운영 (특집 전인교육) 예체능 전 운영 (特輯 全人敎育) 藝體能 專 運營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총류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연호 | 사료철명교육전남
  • (실천 자료) 예, 체능 전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실천 자료) 예, 체능 전 적용에 대한 연구 (실천 자료) 예, 체능 전 적용에 대한 연구 (實踐 資料) 禮, 體能 專 適用에 대한 硏究 교육 문헌 교육과정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실 | 사료철명문교경북
  • 국민학교 예체능교과 전에 참여한 보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국민학교 예체능교과 전에 참여한 보람 국민학교 예체능교과 전에 참여한 보람 국민학교 藝體能敎科 專에 參與한 보람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상수, 박옥임, 권오식 | 사료철명문교경북
  • (교육 현장은 말한다) 초등교 학년 전 필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 현장은 말한다) 초등교 학년 전 필요 (교육 현장은 말한다) 초등교 학년 전 필요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초등교육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성수 | 사료철명교육월보
  • (특집) 예, 체능 교과 전 운영의 실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특집) 예, 체능 교과 전 운영의 실제 (특집) 예, 체능 교과 전 운영의 실제 (特輯) 芸, 体能 教科 専 運営의 実際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종찬 | 사료철명충북교육

주제어사전(18)

  • / [정치·법제]

    상례에서 초상으로부터 27개월 되는 때에 지내는 제사. 초상에서 윤달을 계산하지 않고 27개월째에 지내는 제사이다. 다만 상제 후 있는 윤달은 계산한다. 내상인 경우에는 초상에서 15개월이 되는 달에 거행하는데 이때에도 상제 이후 윤달은 달수에 넣는다. 때에는

  • 효안전친제제문초 / 孝安殿親祭祭文草 [역사/조선시대사]

    제문초. 1807년(순조 7) 3월 6일에 순조가 효안전(孝安殿)에서 친히 정순왕후의 ()를 지낼 때 썼던 제문이다. 의 날짜는 ≪순조실록≫과 ≪승정원일기≫ 순조 7년 3월 6일의 기사를 근거하여 추정하였다. 이 제문은 순조가 직접 지었으며, "裳"자를 썼

  • 길제 / 吉祭 [사회/가족]

    상례(喪禮)의 한 절차로, ( : 대상 다음다음 달에 지내는 제사)를 지낸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 를 지낸 다음 상주가 날짜를 정할 때와 같이 날짜를 정하는데, 한 달 뒤에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의 날을 정해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 소상 / 小祥 [사회/가족]

    만에 연사(練祀)를 지내며, 13개월만에 대상(大祥)을 지내고, 15개월만에 ()를 지내도록 규정하고 있다.

  • 연제 / 練祭 [사회/가족]

    祥)까지 치러야 하므로 11개월이 지나 날을 택하여 소상을 지내고 13개월 될 때 대상의 형식을 갖추고 15개월에 ()를 지내게 된다. 소상 형식의 연제를 지낼 때는 궤연(几筵: 죽은 사람의 혼령을 모셔둔 곳)을 치우고 상주는 연복(練服)을 입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