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담정유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16)
- 남태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직 생활 50년 동안 파당적인 논쟁에 휩쓸리지 않았다. 문장이 우아하고 시문에 화실(華實)이 구비되었으며, 제자백가에도 통달했다. 저서로는 ≪『담정유고』가 있다. 시호는 청헌(淸獻)이다. 『영조실록(英祖實錄)』 ...이칭별칭 원진(元鎭), 관보(觀甫)| 담정(澹亭), 학야(鶴野)| 청헌(淸獻)
- 담정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명문화사에서 영인하여 간행하였다. 純祖實錄 藫庭 金鑢硏究(林鍾大, 高麗大學校碩士學位論文, 1983) 담정 김려시연구(朴晙遠, 成均館大學校碩士學位論文, 1984) 담정유고
- 담정유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의 문인 김려(金鑢, 1766-1822)의 시문집.정의조선 후기의 문인 김려(金鑢, 1766-1822)의 시문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amjeong yugo | MR표기Tamjŏng yug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가수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김려(金鑢)가 지은 전(傳). [구성 및 형식] ‘가수재’라는 이인(異人)의 약전이다. 『담정유고』 권9 「단량패사(丹良稗史)」에 실려 있다. [내용] 내용은 가수재라는 사람은 어느 곳 출신인지 알 수 없으나,
- 삭낭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김려(金鑢)가 지은 한문소설. [구성 및 형식] 삭낭자라는 이인(異人)에 관한 전기소설로, 『담정유고(藫庭遺藁)』 권9 「단량패사(丹良稗史)」에 실려 있다. [내용] 삭낭자의 성은 홍(洪)으로 견성(甄城 : 全...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4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저자 : 김인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장원태, 정원재... | 출판사 : 민창사 | 출판일 : 2013.10.31.분야문학 | 유형단행본集 檀海遺稿 團和齋集 澹人集 藫庭遺稿 大溪集 大溪遺稿 大谷遺稿 大林山人未定藁
고서·고문서(2)
- 담정유고(藫庭遺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담정유고(藫庭遺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주제어사전(7)
-
담정유고 / 覃庭遺藁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김로(金鑪) 저, 목활자본, 간사년 미상, 12권 6책. 표제와 판심제는 담정고(覃庭遺藁)이다. 담정 김로의 유고집이다. 1-5책과 6책의 표지가 상이하다.
-
사유악부 / 思牖樂府 [문학/한문학]
회고하면서 지은 것이다. 상권에 147수, 하권에 143수가 수록되어 모두 290수로 구성된 방대한 분량으로 그의 문집 『담정유고(藫庭遺藁)』 권5·6에 실려 있다. 「간성춘예집(艮城春藝集)」과 함께 그의 대표적인 악부시집이다.
-
황성이곡 / 黃城里曲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김려(金鑢)의 악부시집. 『사유악부(思牖樂府)』와 함께 그의 대표적인 시집으로 문집인 『담정유고(藫庭遺藁)』의 두번째권 「간성춘예집(艮城春囈集)」에 「상원리곡(上元俚曲)」과 같이 실려 있다. 여기에 소재되어 있는 시들은 대개 자신의 생활주변에서 잡다
-
화석자문초 / 花石子文鈔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옥의 경문·과어·승불각·핵묘 등을 수록한 문집. 필사본. 김려(金鑢)의 시문집 『담정유고(藫庭遺藁)』 권11에 수록되어 있다. 김려가 1819년(순조 19)에 필사하였다는 기록이 「제화석자문초권후(題花石子文鈔卷後)」에 기록되어 있다. 『화석다문초』에는
-
삭낭자전 / 索囊子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려(金鑢)가 지은 한문소설. 삭낭자라는 이인(異人)에 관한 전기소설로, 『담정유고(藫庭遺藁)』 권9 「단량패사(丹良稗史)」에 실려 있다. 삭낭자의 성은 홍(洪)으로 견성(甄城)에 사는 거지였다. 그는 새끼를 꼬아 망태기를 만들어 길을 갈 때는 메고 다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