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담양향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5)
- 담양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이 향교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潭陽鄕校誌(潭陽鄕校, 1964)연계항목담양향교(潭陽鄕校)
- 율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다. 상량문은 담양향교의 명륜당(明倫堂)을 지을 때의 글로, 담양 향토문화사를 이해하는 데 한 자료가 된다. 시는 자연의 섭리를 인간생활에 흡수시켜 읊은 서정시가 많고, 교육적인 것이 상당수에 이르고 있으며, 비교적 전아하면서도 기상과 조격이 높다. ...
- 추담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가 담양향교의 각종 건물을 신축 또는 수리하면서 겪은 어려움을 적은 「이건양사재문유야료지설(移建養士齋聞有惹鬧之說)」‧「여유택환임명륜당중건유사수전(與柳宅煥任明倫堂重建有司收錢)」 등이 있다.
- 담양동초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연원 및 변천] 그 전신은 1907년 8월 당시 담양향교의 재장(齋長) 이규담(李圭潭)이 설립한 사립 광명학교에서 출발하였다. 이규담은 교육을 통한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현...
- 담양군(전라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분향리의 담양분향리석불입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4호), 용면 월계리 추월산의 보리암(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9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담양읍 향교리에 담양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 고서면 교산리에 창평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4호)...
고서·고문서(1)
- 1904년 이승조(李承祖) 등 통문(通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04년(광무8) 8월 25일에 이승조(李承祖)최영조(崔永祚) 등 19명이 연명하여 담양향교(潭陽鄕校)에 보낸 통문(通文)이다. 서원 훼철 이후 담양의 의암서원(義岩書院)과 구산사(龜山祠) 및 지동사(池洞祠)등은 여러 선생을 향사하는 곳인데 향사를 폐한지가 거의 4...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담양 모현관
구술자료(1)
- 담양향교는 암탉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도깨비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자 이 지역의 자랑거리가 있다면서 다음 이야기를 이어갔다. 조사가 오전에 이어 오후에도 계속 되 었는데, 제보자는 지친 기색이 없이 즐거운 표정을 지으면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조사일시2011.02.09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금성면 대곡리 마을회관 | 제보자진용섭
주제어사전(1)
-
담양향교 / 潭陽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향교리에 있는 향교. 설립연대는 미상이다.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고려 충혜왕 때 설립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본격적인 건물창건은 1398년(태조 7) 대성전이 설립되면서부터이다. 167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