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달걀” 에 대한 검색결과 4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2)

사전(25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닭이 낳은 알. [내용]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좋은 닭이 많이 생산되었고 난생설화도 많다. 그러므로 매우 오래 전부터 이 이용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경주 제155호 고분에서는 토기에 넣어둔 이 출토되기도 하였다. 그...
  • 속의 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89년에 간행된 김승희(金勝熙, 1952- )의 시집.
    정의1989년에 간행된 김승희(金勝熙, 1952- )의 시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algyal sok ui saeng | MR표기Talgyal sok ŭi sae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을낳는거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욕심을 부리다 금을 낳는 거위를 죽이고는 망했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동물담 가운데 치우담(痴愚譚)에 속한다. 내용은 거위가 매일 금을 한개 씩 낳았는데, 그 주인이 거위 뱃속에 든 금을 한꺼번에 가지고 싶은 욕심에 거위를...
  • 알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부침에 쇠고기 소를 넣어 반달처럼 만든 음식. [내용] 계란포 또는 알송편이라고도 한다. 우리 나라에는 정월보름날 복쌈이라고 하여 김‧취나물 등으로 밥을 싸서 먹는 풍속이 있는데, 알쌈도 밥을 싸서 먹는 쌈과는 다르지만 싼다는 의미...
  • 투란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놀이방법은 확인할 수 없다. 다만, 한식이 지금은 쇠퇴하였으나 고려시대에는 9대 속절(俗節)의 하나로 큰 명절이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 있는 놀이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을 깨뜨리는 의식이었거나 서로 을 던져 싸웠을 것으로 추측되는...

고서·고문서(16)

  • 高茂谷先塋祭需單子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1 주경안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高茂谷 先塋에 제사지낼 때 필요한 물품과 비용이 적혀 있다. 쌀과 생선, , 과일 등의 가격과 충당한 비용 등이 있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北坪祖先塋祭需單子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1 주경안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北坪祖 先塋에 제사지낼 때 필요한 물품과 비용이 적혀 있다. 쌀과 생선, , 고기, 과일 등의 가격과 각 전답 등에서 충당한 비용 등이 있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高茂谷先塋祭需單子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1 주경안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高茂谷 先塋에 제사지낼 때 필요한 물품과 비용이 적혀 있다. 쌀과 생선, , 과일 등의 가격과 충당한 비용 등이 있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활짝, 마늘, 두세치, 자랐고, 강낭이, 감자, 나오기시작, 봄, 산보놀이, 소학교, 막내딸, 학교, 들놀이, 좋은음식, 싸달라, , 몇개, 삶아보내면, 되겠지요, 저, 요청, 방송, 기다리면서, 안녕히, 1983, 5, 19
    대표표제어이곳소식 | 성씨
  • 할적, 유심, 먹어야, 두부, 탕펀이, , 물고기, 계속, 결혼, 적으로, 할것, 부탁 나이많이, 먹어서, 적계먹고, 화염단, 속한시일내, 얐, 락요병, 보내주지는못하나, 무슨것, 가져다주리, 이곳, 토론, 의사
    대표표제어3량 | 성씨

구술자료(17)

  • 귀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8-25 | 조사장소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 제보자이창원
  • 도깨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생애담에 이어서 호랑이와 관련된 짧은 이야기 몇 편을 간단히 소개하다가 옛날에는 곳곳에 무서운 것들이 있다면서 이 이야기 를 구연했다.
    조사일시2011.01.22 | 조사장소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모전3리 446-1번지 모전3리 마을회관 | 제보자이옥희
  • 먹는 구렁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가벼운 이야기 한 개 하자고 꺼낸 이야기다.*
    조사일시1981-08-10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양도면 | 제보자윤태선
  • 한 개로 팔천석 부자된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구연 상황 없음 *
    조사일시1980-05-25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 제보자이시균
  • 며느리 뒤꿈치가 같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현녀 할머니댁에서 동네 할머니가 오신 자리에서 얘기를 들려주었다. 김현녀 할머니는 충남 논산군 연무읍 소룡리가 고향인데, 어렸을 때 고향에서 들은 이야기인데 누구한테 들었는가는 잊어버렸다고 한다.*
    조사일시1980-01-31 | 조사장소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 제보자김현녀

신문·잡지(43)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安完成(完成商店) 서울 安完成 完成商店 北米倉町 142 市場 식료품 - 야채 소매 16.2 과일,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安完成(完成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야채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犬飼政次郞(犬飼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犬飼政次郞(犬飼商店) 서울 犬飼政次郞 犬飼商店 南米倉町 205-46 식료품 - 닭과 소매 3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犬飼政次郞(犬飼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닭과 달걀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顯大(金顯大) 서울 金顯大 金顯大 鍾路 4-17 식료품 - 닭과 소매 21.6 모피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顯大(金顯大)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닭과 달걀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鍾完(新興商會) 서울 金鍾完 新興商會 南大門通 4-3 식료품 - 닭과 소매 22.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鍾完(新興商會)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닭과 달걀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聖完(南昌商會) 서울 金聖完 南昌商會 禮智町市 93 식료품 - 닭과 소매 16.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聖完(南昌商會)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닭과 달걀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기타자료(29)

  • (소설) 아버지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소설) 아버지와 (소설) 아버지와 교육 문헌 중등교육 교사문화 잡지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고시홍 | 사료철명교육제주
  • (동화) 토종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동화) 토종 (동화) 토종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잡지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재형 | 사료철명교육제주
  • An extract from General Headquarters, United Nations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본부(General Headquarter)로 부터의 한국 원조에 관한 보고서. 기부된 물품의 이용 정도에 관한 내용. 건조유나 건조 사용내역이 나와있음. 재봉틀이나 교육에 필요한 물품들도 기부됨. 한국 어...
    국내소장처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 3.1. Food service bulletin No. 10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조리는 계속 같은 요리를 서빙하는 방식인데, 여기서 탈피하여 메뉴에 적힌 대로 조리해야 함. 서문에는 조리법을 비롯한 기본 아침 메뉴 조리법이 서술되어 있음 start, day, breakfast, menu, require, fruit, juice,...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Status of United Command Acceptances For Korean CivilianRelief Program_Acceptence No. 101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tatus of United Command Acceptances for Korean Civilian Relief Program"이라는 문서의 복사본. War Relief Services에서 지원한 물품의 목록. 승인 일자, 무지방우유, 건조 등 식품의 목록과 용량...
    국내소장처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 발신자H. Lewis, E. Tuttle

주제어사전(47)

  • / [생활/식생활]

    닭이 낳은 알.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좋은 닭이 많이 생산되었고 난생설화도 많다. 그러므로 매우 오래 전부터 이 이용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경주 제155호 고분에서는 토기에 넣어둔 이 출토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고려 이전의 문헌이나 자료에는

  • 을 낳는 거위 / [문학/구비문학]

    욕심을 부리다 금을 낳는 거위를 죽이고는 망했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은 거위가 매일 금을 한개 씩 낳았는데, 그 주인이 거위 뱃속에 든 금을 한꺼번에 가지고 싶은 욕심에 거위를 죽여 뱃속을 보니 아무것도 없어서 귀중한 거위만 잃고 말았다는 것이다. 이 설화

  • 금강산닭알바위 / 金剛山鷄卵巖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고성군 외금강면 창대리(지금의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는 바위. 닭알 바위[鷄卵岩]는 모양이 처럼 생겼다고 하여 일명 ‘ 바위’라고 부르는데, 화강암이 오랜 세월 동안 비바람에 깎이고 씻기워서 타원형의 닭알 모양을 이루게 된 것이다. 타원형의 집채만

  • 산돌배나무 / Pyrus ussuriensis Maxim. [과학/식물]

    장미과 배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전국 표고 1,500m 이하의 산지 또는 계곡에 자생하며 인가 부근에도 재식되어 있다.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형 또는 넓은 형이다. 잎의 길이는 5∼10㎝, 너비는 4∼6㎝이다. 엽병의 길이는 2∼5㎝이고 털이 없다.

  • 신갈나무 /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과학/식물]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잎은 어긋나기를 하고 모양의 타원형 또는 형이다. 잎의 길이는 7∼20㎝, 너비는 8∼11㎝이다. 잎자루가 짧고 물결 모양의 거치가 있으며 곁맥은 7∼11쌍이다. 꽃은 암수한몸 단성 또는 양성화로 5월에 핀다. 수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