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단풍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2)
사전(110)
- 단풍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학명은 Acer palmatum THUNB.이다. 산지에서도 자라지만 흔히 정원과 공원에서 가꾸고 있다. 일반사람들이 말하는 단풍은 단풍나무속에 딸린 종류를 통틀어서 가리키고 있다. [내용] 본시 가을철...
- 근대신어 : 메이플슈거(메풀⦁슈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7408 메이플슈거 마항 메풀⦁슈가 maple-sugar 楓糖 단풍나무 설탕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160 음식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음식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풍고(楓膏)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풍고 풍고 楓膏 약재(藥材) 문화의학·약학 약재 강연석 황해도 시기 무관 난현적종(爛弦赤腫), 유루(流淚)에 효과 [정의] 단풍나무(Acer palmatum)의 잎을 달인 것....상위어약재(藥材)
- 귀면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이 바위는 중생대의 화강암이 오랜 세월과 비바람에 씻기고 깎이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잣나무‧소나무‧단풍나무‧참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북한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북한천연기념물편람(한국문화사, 1996)
- 해칠보무지개바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루면서 윗부분이 서서히 올라와 형성된 것이다. 바위 위에는 소나무‧도토리나무‧단풍나무가 자라며 동해의 바다와 어울려 아름답다. 북한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북한천연기념물편람』(한국문화사, 1996)
고서·고문서(47)
- 공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공원 조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2 2 공원, 삼림, 원시림, 비슷, 몹시, 울창, 지금, 단풍나무, 포프라나...대표표제어공원 | 성씨조
- 큰공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큰공원 조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2 2 큰공원, 삼림, 원시림, 비슷, 몹시, 울창, 지금, 단풍나무, 포프...대표표제어큰공원 | 성씨조
- 계림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한 숲 계림이다. 경상북도, 경주, 계림, 물푸레나무, 홰나무, 휘추리나무, 단풍나무, 김알지, 탄강전설 일본어 조정민 신동규 신동규 朝鮮慶州新羅古蹟, 鷄林 1Tóyōken. 조선 경주 신라 고적, 계림 1Tóyōken. 141mm×91.5...자료명계림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남조선 철도 주식회사 개통기념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2매 세트. 사제엽서 문화생활 석가탄생일 근대 한국 사진그림엽서 미상 미상 미상 남조선 철도 주식회사의 개통을 기념하여 발행한 2매 세트의 엽서이다. 발행자와 인쇄처는 미상이다. 단풍나무와 사찰건물 그림을 배경으로 전라남도 순천에 있...자료명남조선 철도 주식회사 개통기념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경주의 계림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은 경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가 태어난 곳이라는 전설을 간직한 숲 계림이다. 엽서 캡션에도 이곳이 전설이 흐르는 곳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경상북도, 경주, 계림, 물푸레나무, 홰나무, 휘추리나무, 단풍나무, 김알지, 탄강전설 일본어, 영어 조정민 신동규 ...자료명경주의 계림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신문·잡지(11)
- 단풍나무 덩굴[楓蘿]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단풍나무 덩굴[楓蘿]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6호 楓蘿 1907. 04. 01. 사조(詞藻) 145 415 서상호(徐相浩) 대한제국 단풍나무 덩굴을 보며 드는 정회를 읊은 시...잡지명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 호수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함남인민보_1949_0413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는 산들을 하루 속히 복구하여 산림자원을 풍부히 하기위하여 리 인민위원회 및 산림관리위원회의 적절한 지도 밑에 식수반을 구성하고 반 사이에 경쟁적으로 이를 실천하였다. 이와 같이 부락민들은 향토건설 의욕과 열성으로 오리나무 8,000본과 단풍나무 1만본을 심어놓았다....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413_04 | 책임주필림상준
- 함남인민보_1949_0410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가로수로서 단풍나무와 들메나무 아까시야 사방공사에 사용될 오리나무와 싸리 등 기타 식용겸 공업원료로서 밤나무 등 10여종의 종자를 파종하여 육성하고 있다. 묘 포장에서는 인민경제의 급속한 부흥발전에 따르는 조림사업의 중요성에 비추어 작년보다 묘 포장 파종면적을 약 50...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410_04 | 책임주필림상준
- 함남인민보_1949_0402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의 충실을 기하기 위하여 정화릉에 오리나무 2만본 귀주사에 단풍나무 2만본을 각각 식수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민주선전실 앞에 있는 공지를 리용하여 화원을 만들 준비를 하고 있다. 이렇듯 경흥리 인민위원회는 향토미화사업을 성과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김원하)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402_02 | 책임주필림상준
- 함남인민보_1949_0416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상적으로 보수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다음 매개가정에서는 매일 아침 도로와 뜰 안을 깨끗이 청소하게 하고 반별 교대로 지도검열을 실시케 하고 있으며 월 2회의 청소일을 정하고 대청결을 실시하여 보건위생에 만전을 기하도록 지도하고 잇다. 그리고 민주선전실 주위에 단풍...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416_02 | 책임주필림상준
기타자료(4)
- 원주 대안리사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다래나무, 찔레나무, 옻나무, 단풍나무, 소나무, 자작나무 등)이 우거져 있었고, 그 사이에서 무너진 동편 축대와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석탑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2004.05~(5개월) Ⅰ.머리말 / Ⅱ.유적의 주변환경 1.자연・지리적 환경 2.고고・역사적...발행연도2004/10/22 | 발굴기관강원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강원도
- 경주 불국사 경내 성보박물관 건립예정부지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이루어졌다. 발굴 전에는 불국사사적비가 있었고 그 주위로 잔디가 있었으며 그 안에 소나무, 단풍나무 등이 조경수로 심어져 있었다. 조경사업으로 인해 깨끗하게 정리되어 있었고, 대나무와 각종 나무로 덮여 있었다. 발굴 후에는 9개동의 건물지와 그에 따른 옛 길 유구...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주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북도
- 화성 태안(3) 택지개발예정지구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00평에 대한 택지개발로 인하여 파괴의 우려가 있는 문화유적 및 매장문화재의 확인과 경관보호 등 후속조치를 위한 기초자료제공을 위해 발굴되었다. 발굴전에는 조사 1구역은 현재 공장, 음식점, 도로로 둘러싸여 있으며, 밭작물과 목초 경작, 단풍나무 묘목장, 논 등으...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연구원/한국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 | 발굴지역경기도
- 화성 둔대리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손잡이가 달린 토기편 등이 아궁이 입구의 좌우측에서 엎어진 채로 정연하게 출토되었다. 특히 아궁이 안쪽과 앞쪽에서는 많은 양의 숯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숯은 樹種分析 결과 단풍나무속중 신나무류와 밤나무속으로 판명되어 아궁이에 불을 지필 당시에 사용된 나무는 신나무류와...발행연도1996 | 발굴기관서울시립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16)
-
단풍나무 / 丹楓─ [과학/식물]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학명은 Acer palmatum THUNB.이다. 산지에서도 자라지만 흔히 정원과 공원에서 가꾸고 있다. 일반사람들이 말하는 단풍은 단풍나무속에 딸린 종류를 통틀어서 가리키고 있다. 본시 가을철에 붉은색으로 변하는 데서 생긴 이름이지
-
당단풍나무 / 唐丹楓─ [과학/식물]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당단풍나무는 단풍나무과의 큰키나무로 높이가 10m까지 자란다. 단풍나무류의 나무 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로 전국의 산지에 넓게 분포한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새로 난 가지는 녹색 또는 붉은 빛을 띠는 녹색
-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 숲 / 高敞文殊寺丹楓─ [과학/식물]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에 위치한 단풍나무 숲. 2005년 9월 9일에 천연기념물 제463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의 단풍나무 숲은 문수산 중턱에 위치한 문수사 입구까지의 진입도로 약 80m 좌우측 일대에 수령 100년에서 400년으로 추정되는 단풍나무 500여 그
-
갑현령 / 甲峴嶺 [지리/자연지리]
하여 깎이면서 낮아진 고개이다. 고개의 북쪽 및 남쪽 비탈이 26°안팎으로 몹시 급하고 험하며, 주변에는 단풍나무·봇나무·참나무·가문비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룬다. 교통은 동신에서 이 고개를 지나 용림군, 장진군, 낭림군으로 연결되는 도로가 지방의 교통에 중요한 역할
-
귀면암 / 鬼面岩 [지리/인문지리]
)과 나란히 마주보고 있다. 이 바위는 중생대의 화강암이 오랜 세월과 비바람에 씻기고 깎이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잣나무·소나무·단풍나무·참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북한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