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단오절선” 에 대한 검색결과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ㆍ사두선(蛇頭扇)ㆍ합죽선(合竹扇)ㆍ반죽선(斑竹扇)ㆍ외각선(外角扇)ㆍ내각선(內角扇) 등이 있다. 王世孫册封後三名日諸道方物物膳似當封進而無前例可考者何以爲之乎 , (책례1751/004ㄴ09~10)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절선(節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절선 절선 節扇 절물(節物) 단오선(端午扇), () 단오(端午), 부채, 생활 풍속풍속/행사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최진아 [정의] 단오절에 진상 또는 선물하는
    상위어절물(節物) | 동의어단오선(端午扇), 단오절선(端午節扇) | 관련어단오(端午), 부채,
  • 호좌영사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69명이었다. 수영 군병의 편제와 속읍과의 관계, 그리고 재원의 충원방안이 언급되었다. 두 번째로는 중앙정부로 보낼 진상(進上)에 관한 내용이 서술되었다. ‘각항진상(各項進上)’, ‘진상(進上)’, ‘진연진상(進宴進上)’ 등 그 사유를 구분하여...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

    단오절에 공조에서 만들어 임금에게 진상한 부채. 그림을 그리지 않은 것을 백첩, 옻칠을 한 것은 칠첩이라 하는데 재상을 비롯한 여러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부채를 받아 그림으로 주로 금강산 일만이천봉을 그려 넣는다. 영호남의 감사나 통제사도 부채를 진상하였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