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단오” 에 대한 검색결과 2,6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01)

사전(55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음력 5월 5일로, 명절의 하나. [내용] 일명 수릿날[戌衣日‧水瀨日]‧중오절(重午節)‧천중절(天中節)‧단양(端陽)이라고도 한다. 의 ‘단(端)’자는 처음 곧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자는 오(五), 곧 다섯의 뜻으로 통하므로...
    이칭별칭수릿날|천중절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음력 5월 5일로, 명절의 하나.
    정의음력 5월 5일로, 명절의 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ano | MR표기Tan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B2_D_0018 세시의례 彩毯, 擊毬, 擊毬戲, 親幸, 婦女, 名畫 高麗 麗史 D_12_06_16 대동운부군옥 12권 6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6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B2_D_0032 세시의례 編艾, 國俗, 兒童, 作帶 叢話 D_14_03_06 대동운부군옥 14권 3장 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3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B2_D_0033 세시의례 蒲帶, 國俗, 兒童, 編菖, 辟邪 叢話 D_14_03_12 대동운부군옥 14권 3장 1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3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2)

  •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궁궐 안 사람들의 옷 이야기 | 성균관대학교]
    저자 : 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국학자료연구실 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3.12.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로열패밀리'를 위한 옷 (1) 의대, 왕실복식을 부르는 말 (2) , 백저포로 바뀌다 (3) 대홍, 함부로 입을 수 없는 왕실의 색 (4) 의식, 왕실복식을 구분짓다
  • 조선민족의 민속 세시풍속, 관혼상제 및 민속신앙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
    저자 : 김춘선(중앙민족대학), 박승권(중앙민족대학 조선언어문학부 부교수), 김광영(중앙인민방송국... | 출판사 : 民族出版社 | 출판일 : 2010.09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리날(절) (15)망종 (16)하지 (17)소서와 대서 (18)류두 (19)삼복 (20)칠석 (21)백중

고서·고문서(1,178)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조 남자 평안북도 의주군 요녕성(辽宁省) 신빈현(新宾县) 영릉진 하방자 조선족촌 4 3 , 그네, 씨...
    대표표제어단오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절 박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화천현(桦川县) 성화공사 성화대대 2 1 절, 맞이, 방송국, 여러분, 악수, 명...
    대표표제어단오절 | 성씨
  • 日述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40 詩集 卷四 ITKC_MP_0597A_0040_010_0500 日述哀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
    권차명詩集 卷四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詩文門1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唐 玄宗以八月五日爲千秋節, 張說上《大衍曆》, 《序》云“謹以八月獻之”, 宋璟請八月五日爲千秋節, 《表》云“月惟仲秋, 日在”, 則凡五日皆爲也. 意者, 行夏之時, 自寅數起, 午正當五, 者, 正五也. 後世, 但以五月五日爲者, 爲重五也.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往年時節(를 회상하다)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往年時節(를 회상하다) 대한민국(남북한) 청계천문화관 문헌자료 삐라는 남북한 심리전의 한 수단으로 항공기나 기타 수단에 의해 적지에 산포 ...
    대표표제어往年端午時節(단오를 회상하다) | 저작권자청계천문화관 | 자료구분문헌자료 | 키워드端午(단오)

구술자료(783)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노래를 해 달라고 하자 ?또 하느냐?하면서 해 준 것이다. 전보다 흥미가 좀 사라지고 차분하여 가기 시작하였다. *
    조사일시1982-01-13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분향리 | 제보자구점례
  • 기타 팸플릿 법성포제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2017.5.27~30) 법성포제.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기타 | 구분팸플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기타 장단 강릉제 장단 종교‧철학 행사 현대 강릉제 장단 DB.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기타 | 구분장단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강릉굿 현장녹음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강릉굿 현장녹음 ③ 예술·체육 작품 현대 I-610 3489 강원도 현장녹음자료 1) 강릉굿 중 천왕굿, 축원굿이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영희
  • 강릉굿 현장녹음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강릉굿 현장녹음 ③ 예술·체육 작품 현대 I-610 3489 강원도 현장녹음자료 1) 강릉굿 중 천왕굿, 축원굿이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석출

기초학문(7)

  • 강릉제 산신제 연구 - 고려말 조선초기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광선, 게재일 : 2015
    45060 안광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학연구원 2015 강릉제 산신제 연구 - 고려말 조선초기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고대 디오니소스 축제와 연관한 한국 가면극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한순, 게재일 : 2006
    22295 임한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INST 2006 고대 디오니소스 축제와 연관한 한국 가면극과 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복원주의 민속학의 아이러니-‘강릉제’의 곤경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근우, 게재일 : 2010
    40825 남근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속학회 2010 복원주의 민속학의 아이러니-‘강릉제’의 곤경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민속의 문화재화와 관광화: '강릉제'의 포클로리즘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근우, 게재일 : 2006
    37156 남근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속학회 2006 민속의 문화재화와 관광화: '강릉제'의 포클로리즘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신화가 가지는 관광자원의 속성 연구 - 강릉제 근원신화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학주, 게재일 : 2014
    18041 이학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4 신화가 가지는 관광자원의 속성 연구 - 강릉제 근원신화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69)

  • 停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은 음력 오월의 명일이라야 각부부원에 졍공이 되엿더라
    게재일1902년 6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십인사연오인장(十因四因章)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십인사연오인장(十因四因章) 十因四因章 십인사연오인장 유통서지 十因四因章 1 文備 一切經論律章疏集(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대표표제어십인사연오인장(十因四緣五因章) | 대표서명十因四緣五因章 | 한글서명십인사연오인장 | 서지형태유통서지
  • 日本畵十名家の作品を頒つ (일본화단 50명가의 작품을 나눔)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日本畵壇五十名家の作品を頒つ | 기사명_한글일본화단 50명가의 작품을 나눔 | 부제_원문低廉な均一値段で | 게재일19250528 | 게재판 | 게재면03 | 게재단5-9
  • 해당 제목 없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그림 상른쪽 화면유실. 제목을 알 수 없음
    작품명_원문해당 제목 없음 | 게재일19170101 | 게재판其1 | 게재면02 | 게재단3-6
  • 安氏免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즁츄원의관안종덕씨가 려쥬군 영릉 졔관으로 나려가더니 맛참비가와셔 길이막힌고로 졔관불참이되야 면관이 되엿더라
    게재일1903년 6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5)

  • (내고장의 전설) 강릉의 굿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내고장의 전설) 강릉의 굿 (내고장의 전설) 강릉의 굿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익자 | 사료철명강원교육
  • 【번역】 발해. 헌종 원화 2년 진봉사(進奉使) 양광신(楊光信)이 도망쳐 돌아왔는데, 동관(潼關)의 관리가 잡아서 보내자 궁 안에서 국문하였다. (『冊府元龜』 997 外臣部 42 悖慢) 【원문】 渤海 以憲宗元和二年 進奉使楊光信逃歸 潼關吏執以至 鞫於內仗 (『...
    대표표제어양광신이 도망쳐 돌아오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07년(丁亥/신라 애장왕 8/발해 康王 正曆 13/唐 憲宗 元和 2/日本 平城天皇 大同 2)
  • 번역】 발해. 헌종 원화 2년 진봉사(進奉使) 양광신(楊光信)이 도망쳐 돌아왔는데, 동관(潼關)의 관리가 잡아서 보내자 궁 안에서 국문하였다. (『冊府元龜』 997 外臣部 42 悖慢) 【원문】 渤海 以憲宗元和二年 進奉使楊光信逃歸 潼關吏執以至 鞫於內仗 (『冊...
    대표표제어양광신이 도망쳐 돌아오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06년(丙戌/신라 애장왕 7/발해 康王 正曆 12/唐 元和 1/日本 延曆 25, 大同 1)
  • 무덕전 행사에 발해 사신을 불러 관람하게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門)을 마주하고 있었다. 무덕전의 동쪽은 마장(馬場), 연회용의 송원(松院) 등이 펼쳐져 있었다.에 나아가 4부(府)의 말타고 활쏘는 것과 5위 이상의 공마(貢馬)를 관람하였는데, 발해의 사신들을 불러 관람시키고, 친왕(親王)과 공경(公卿)에게 속명루(續命縷) (...
    대표표제어무덕전 행사에 발해 사신을 불러 관람하게 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83년(癸卯/신라 헌강왕 9/발해 玄錫 13/唐 僖宗 中和 3/日本 陽成天皇 元慶 7)
  • 시대의 5호묘와 8호묘에서 확인되었는데, 5호묘의 동경은 송대에 유행한 호주(湖州) 명경(明鏡)으로 주조된 명문에 의해 산지와 제작공방, 주조시 사용된 동의 양 등을 알 수 있다. 8호묘에서 출토된 사유문경(四乳瑞烏文鏡)은 한대(漢代)의 것이지만, 공반 유물과의 시...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남도

주제어사전(25)

  • / [생활]

    음력 5월 5일. 원래 중국의 명절이었으나 우리나라에서도 신라시대 이래 명절로 삼았다. 조선에서는 정조(正朝)·동지(冬至)와 함께 이 날을 삼절일이라 하였으며 정조·동지··추석·한식(寒食)을 속절(俗節)이라 하였다. 는 그네를 뛰는 명절로도 알려져 있다.

  • 절선 / 節扇 [정치·법제]

    절에 공조에서 만들어 임금에게 진상한 부채. 그림을 그리지 않은 것을 백첩, 옻칠을 한 것은 칠첩이라 하는데 재상을 비롯한 여러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부채를 받아 그림으로 주로 금강산 일만이천봉을 그려 넣는다. 영호남의 감사나 통제사도 부채를 진상하였으며,

  • 강릉제 / 江陵 [종교·철학/민간신앙]

    강원도 강릉지방에 전승되는 향토신제(鄕土神祭). 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 대관령서낭을 제사하며, 산로 안전(山路安全)과 풍작·풍어, 집안의 태평 등을 기원하는 제의이자 축제라고 할 수 있다. 음력 3월 20일부터 제사에 소용될 신주(神酒)를 빚는 데서 시작하여

  • 아우내절민속축제 / 아우내節民俗祝祭 [생활/민속]

    음력 5월 5일 절(節)을 기념하여 개최하는 민속놀이. 1970년대 초반 시장 상인들이 옛 아우내 장터의 번영을 되살리고, 사라져가는 전통 민속놀이를 계승·발전시킬 목적으로 시작했다. 1974년 천원문화원(현 천안시동남구문화원)에서 천안시청과 전국 문화원 연합

  • 추석 / 秋夕 [생활/주생활]

    음력 8월 15일. 와 더불어 민간의 큰 명절. 신라 유리왕대 이미 추석에 백성이 모여 여러 가지 행사를 가졌다는 기록이 있다. 추석과 등 속절에는 왕이 의정부와 육조에서 잔치를 베푸는가 하면 종묘와 문소전·능묘에 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