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단령” 에 대한 검색결과 5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8)

사전(30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겪다가, 1884년(고종 21)의 의제개혁 이후 흑 위주가 되었다. 지금도 혼인 때 신랑의 관대로 입고 있다. 高麗史 經國大典 高宗實錄 한국복식사연구(柳喜卿, 梨花女子大學校出版部, 1980) ...
    연계항목단령(團領)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문무백관(文武百官)의 대표적인 관복(冠服)이었던 둥근 깃의 포(袍). 은 공복(公服), 시복(時服)으로도 착용되었고 흉배(胸背)를 붙여 상복(常服)으로도 착용되었다. 임진왜란 이전에는 관직이 없는 남자들도 혼례나 제례 등의 의례복으로 허용되었다. 은 깃이 둥근...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둥근 깃을 단 조선시대 관리의 포.
    정의둥근 깃을 단 조선시대 관리의 포.[한국복식사전] | 문광부표기dallyeong | MR표기tall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N3_D_0047 복식제도 建議, 百官, 紗帽 麗季 鄭夢周 D_12_02_37 대동운부군옥 12권 2장 3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2장 3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복(官服), 관복(冠服) 목화(木靴), 사모(紗帽), 품대(品帶), 흑화(黑靴) 관대(冠帶), 의(衣), 원령(圓領), 원령포(圓領袍) 상복(常服), 시복(時服), 예복(禮服)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
    상위어관복(官服), 관복(冠服) | 하위어목화(木靴), 사모(紗帽), 품대(品帶), 흑화(黑靴) | 동의어관대(冠帶), 단령의(團領衣), 원령(圓領), 원령포(圓領袍) | 관련어상복(常服), 시복(時服), 예복(禮服)

고서·고문서(212)

  • 개량도포병개량변경에 관한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木面 第三六六號 昭和 十三年 四月 十日 木面長 各 區 長 儒 林 振興會長 殿 改良道袍並改良變更에 關한 件 儀禮執行에 依한 標記服裝을 一般禮服으로 使用키로 決定 되얏쓰나 其普及이 徹底치 못함으로 于先 貴殿으로 부터 率先實行하야 漸...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조선시대 역학서:1768_몽어유해(上)_ 관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몽어유해 101 1768_몽어유해(上) 관 1768몽어유해(상)043a.jpg 관 補子 흉 笏 笏 袍子 웃옷 褂子 쿠리매 衫兒 젹삼 單的 홋 挾的 겹 襖子 돌 綿襖子 핫옷 皮襖子 갓옷 皮* 둔 氈褂子 담유삼 옷 斗蓬 널쿠 雨衣 유삼 蓑衣 누역 衣...
    편명1768_몽어유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81_왜어유해(上)_관 관 冠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왜어유해 112 1781_왜어유해(上) 관 관 冠 1781왜어유해(상)_45a.jpg 관 관 冠 사모 紗帽 모 帽子 갇 립 笠 두건 頭巾 난모 煖帽 흉 胸褙 홀 홀 笏 옫 의 衣 표의 表衣 도포 포 袍 챵의 氅衣 핟옫 오 襖
    편명1781_왜어유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690_역어유해(上)_朝靴 朝服에 신 훠.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역어유해 137 1690_역어유해(上) 朝靴 朝服에 신 훠. 1690역어유해(상)_45a.jpg 朝靴 朝服에 신 훠. 蟒龍袍 蟒龍 옷. . 圓領 . 搭護 더그레. 比甲 비게 옷. 直身 直領 옷. 衣撒 이삭 옷. 帖裡 텰릭. 褷褶 텰릭. 道袍 道袍. 氅...
    편명1690_역어유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排。 一。 自京城到界, 奉安晝停所及宿所後, 本道監司及本府留守、各務差使員, 以黑, 大門外肅拜。 一。 奏時等事, 令歡象監擧行。 一。 替軍處, 只設地排地衣, 替軍則或二十里, 或十五里從便定所。 一。 御眞輦, 到江華府, 直爲奉安于萬寧殿大廳。 二十二日午時, 萬寧殿官員二員, 仍...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1)

  • 민세안재홍전집 : 紅祠잠간들려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616 1930 8 19 34 8 安民世 안재홍 白頭山登陟記(8) 紅祠잠간들려 신문 조선일보 4면 1단석간 기행문 여행 직접자료 5권 農事洞 紅湍水 A19300819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百官陳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뎐셔 리되압신 관진하 작일오젼칠시에 거얏 품 이상은 죠복이오 오품이하 흑으로 즁화뎐 함령뎐에셔 권뎡례로 례얏더라
    게재일1907년 7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禮院輪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음력본월 이십팔일에 황 봉도습의와 팔월일일에 황뎨상호 삼도습의시에 죵친문무관이 흑으로 진참케라고 장례원에셔 미리 각부부원으로 통쳡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9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禮院通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장례원에셔 각부부원쳥에통쳡기를 금이후로난 의효뎐공△에 대황뎨폐하 친시에난 관이흑을닙고 황뎐하친시에난 죠복을닙고 입참케라 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2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陳賀權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쳐분을나리샤 음력칠월이십오일 만슈셩졀의 진하의졀을 권졍례로 셜라압신지라 졍부에셔 상 쥬기 그날 시에 죵친문무관이 품이상은 죠복이오 오품이하 흑으로 즁화젼에 권졍례로 진참케고 각부부원쳥에 통쳡엿더라
    게재일1906년 8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

  • , 중간부는 매죽도(梅竹圖)와 인물풍속도(人物風俗圖), 하단부는 3단으로 쌓인 벽돌문을 배치했다. 인물풍속도에서 남자는 모두 수련계(垂練髻) 두발에 모자를 쓰고 옆이 트인 ()의 도포를 입었다. 각대 또는 포백대를 허리에 둘렀으며 장화를 신고 있다. 여자는 수련...
    발행연도2002/12 | 발굴기관동아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 다. 회곽묘에서 출토된 유물은 총 49점으로 복식류는 여성을 포함한 6종 33점, 염습제구는 삽을 포함하여 13종 16점이다. 이처럼 다량의 복식이 출토되어 당시의 문화와 생활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피장자의 신분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인천광역시립박물관 | 발굴지역인천광역시

주제어사전(19)

  • / [생활/의생활]

    깃을 둥글게 만든 포(袍). 4, 5세기 몽고·서역 지방에서 발생하여 수나라와 당나라를 거쳐 우리 나라에는 신라시대 때 김춘추(金春秋)에 의하여 전래되었다. 648년(진덕여왕 2) 공복(公服)으로 채택되어 관직에 있는 사람이나 귀족층이 공청으로 나갈 때 입는 옷이 되었

  • 흥선대원군자적 / 興宣大院君紫赤 [생활/의생활]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입었던 자적색 겹.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입었던 자적색 겹 1점으로 대군(大君)용 기린흉배가 부착되어 있다. 흥선대원군의 공식적인 활동 시기는 고종 재위 초반부 10년간(1864-1873년)의 섭정기로 집중되어 있고, 노년기인 대한

  • 흥선대원군기린흉배 / 興宣大院君麒麟胸背 [생활/의생활]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이 상복(常服) ()에 달았던 기린(麒麟)이 수놓인 흉배. 없이 흉배 1쌍이 1979년 1월 23일 중요민속자료 제65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흉배는 관리의 관복 앞뒷면에 부착하여 품계를 나타

  • 각릉기신제청명제홀기 / 各陵忌辰祭淸明祭笏記 [정치·법제]

    능에서 지내는 기신제(忌辰祭)와 청명제(淸明祭)의 의식 절차를 적은 홀기. 끝에 작은 글자로 '다만 기신제 복장은 천담, 오사모, 오각대, 백피화를 착용, 청명제에는 흑, 모, 대, 흑피화로 하라'는 단서를 달고 있다.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작성하였다.

  • 관복 / 官服 [생활/의생활]

    관원의 정복으로 관에서 지급한 제복. 고려시대에는 제복, 조복, 공복으로 나뉘고, 조선시대에는 더욱 세분화되어 제복, 조복, 공복, 상복, 융복 등으로 구별되었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 공복과 상복을 뜻하는 것으로 ()의 포만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