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단련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3)
사전(115)
- 단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10도 12주 절도사체제하의 지방관. [내용] 단련사는 당나라에서 안사(安史)의 난 이후 군사적인 절도사체제의 외관제를 구축하였을 때 설치된 것인데, 983년(성종 2) 12목(牧) 체제의 지방통치방식을 실시하고 있었던 고려가
- 단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사신(使臣)을 호송하고 영봉(迎逢)할 때 수행하였던 군사책임자. [내용] 고려시대도 지방관으로서의 단련사가 있었다. 1396년(태조 4) 4월 각 도의 모든 수령이 모두 병마단련을 겸하였는데, 수령의 품계에 따라 3품관을 사(使...
- 도단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강화와 국방력의 강화를 위해 이 제도를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절도사를 두고, 이보다 작은 주에는 도단련사‧단련사‧자사(刺使)‧방어사(防禦使)를 설치해 군사적인 절도사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도단련사는 이러한 배경에서 설치되었다. 도단련사가 설치된 지역은...
- 단련사후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연행사절(燕行使節)들이 내왕할 때 호위의 임무를 맡은 단련사들에 의해 책문(柵門 : 九連城과 鳳凰城 사이)에서 사무역이 열리던 국제시장. [내용] 종래 사행은 우가장(牛家莊)에 도착하면 심양(瀋陽)의 성경부(盛京府)에 분납(分...
- 단련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초기 각 도 제진(諸鎭)의 장(將). [내용] 1394년(태조 3) 판의흥삼군부사 정도전(鄭道傳)의 건의에 따라 각 도에 절제사‧부절제사‧검할사(鈐轄使)와 주군(州郡)에 단련사(團練使)를 두고 그 아래 단련판관을 두었는...
고서·고문서(107)
- 북산집_北山集34 故武功大夫昭州團練使驍騎尉徐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398 중국 문집 북산집 002 기타 北山集34 故武功大夫昭州團練使驍騎尉徐公行狀 公諱量字子平徐氏系出帝髙陽自柏翳受封有虞得嬴姓其子若木别封于徐傳三十二世至偃王誕以仁義懐拊其人時周天子倦于勤乗八龍徜徉海外諸侯無所歸相與朝徐者三十六國周天子聞之懼歸與楚謀伐偃王王...국가중국 | 서명북산집 | 왕대기타
- 署和龍峪越墾局事候補知縣曲作寅爲報已停止設立團練事致琿春副都統衙門左司移文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단련 설립건.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東北邊疆檔案文獻叢書. 琿春副都統衙門檔(中國邊疆史地硏究中心•中國第一歷史檔案館合編) | 발신일1898.10.01
- 영락(永樂) 연간 정전(鄭悛)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07년에 정전을 통훈대부지금산군사 겸 권농병마단련사로 임명하면서 내려주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407년 정전(鄭悛) 고신(告身)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07년에 정전을 통훈대부지금산군사 겸 권농병마단련사로 임명하면서 내려주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柵門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疏.略曰臣於燕行,略有所聞. 瀋陽及柵門,舊無開市,自十數年來,法禁解弛,每當使行,商賈挾銀潛入,相與賣買,而因團練使回還人馬,運其卜物.其弊始微漸繁,終至於創行八包之規,而以致逋欠,竟有此移咨徵督之弊.蓋團練使歲幣領運之馬,殆過數百.當初朝家,慮有潛商之患,擇送邊將,爲團練使,檢率還渡.法意如北,...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신문·잡지(1)
- 연변교육_1985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과당, 격발학생자사어적흥취 최영희 24 취단련사 26 신독 27 정경을 꾸미는...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5
주제어사전(17)
-
단련사 / 團練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신을 호송하고 영봉할 때 수행하였던 군사책임자. 초기에 지방제도가 정비되면서 단련사의 명칭은 없어지고 절제사·절제도위 등으로 수령의 군사지휘권 겸대의 명칭이 바뀌고, 1407년(태종 7) 북방 익도(翼道)의 천호(千戶)와 백호(百戶) 중 청렴하고 용감한
-
도단련사 / 都團練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10도 12주 절도사체제 하의 지방관. 983년(성종 2) 12목 체제의 지방통치방식을 실시하고 있었던 고려가 995년 지방세력의 통제강화와 국방력의 강화를 위해 당나라 제도를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절도사를 두고, 이보다 작은 주에는 도단련사·단련사·자사
-
귀덕군 / 歸德軍 [정치·법제/국방]
고려 전기에 설치된 12절도사 중 상주에 주둔한 군. 고려는 995년 10도(道)의 설치와 동시에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절도사·도단련사·단련사·자사·방어사 등의 군사적인 절도사체제의 지방제도를 실시하였는데, 성종초에 두었던 12목(牧)을 12주 절도사로 개편하고
-
병마첨절제사 / 兵馬僉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 병마단련사(兵馬團練使)가 세조(世祖) 4년에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로 개칭되었다.
-
교주 / 交州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회양 지역의 옛 지명. 원래 고구려시대의 각련성군(各連城郡)인데, 신라 경덕왕 때 연성군(連城郡)이라 고쳤다. 고려 초에는 이물성(伊勿城)이라 불렀고, 995년(성종 14) 교주라 고치고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 1018년(현종 9) 방어사(防禦使)를 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