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단군대” 에 대한 검색결과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 패엽리 의 구월산에 있는 단군 관련유적. [내용] 패엽사(貝葉寺) 앞 높은 봉우리 위에 있다. 이 대상에 똑 바로 선 바위 정면에 ‘()’라 쓴 세 자가 크게 새겨져...
  • 당장경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별로 차이가 없다. 한편 장당경 주변의 구월산성은 고구려 때 쌓은 둘레 4km의 산성으로 경내 서쪽에 자리한 집터는 발굴 결과 고구려 궁터로 확인되었다. 다양한 유적이 발굴됨에 따라 북한은 문화유적 복구사업을 추진하여 와 단군성동, 제2단군사당을 복원하고...
    이칭별칭장당경유적(藏唐京遺蹟)|장장평(庄庄坪)
  • 묘향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歷)한 견문과 감회를 적은 것이다. 스님이 거처하는 명월당(明月堂), ()의 석굴, 서산암(西山庵)에 있는 휴정의 옷과 탁발(托鉢) 등 묘향산에 있는 유적과 유물을 소개하고 있다. 이 글은 묘향산을 중국의 천주봉(天柱峯)에 대조하여 기술하고 있음이 특...
  • 단군교포명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 이 포명서를 발행한 것이니, 귀공의 금후의 사명은 이 포명서를 널리 펴는 일이오.” 그렇게 이르고 간 며칠 뒤인 12월 9일 밤, 그 노인이 다시 찾아와서 “국운은 이미 다하였는데 어찌 이 바쁜 시기에 쓸데없는 일로 다니시오? 곧 귀국하여 황조(皇...
  • 묘향산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심사 남쪽에 불영대(佛影臺)가 있다. 이 대에는 예전에 우리 국조사실(國朝史實)을 비장해두었던 각(閣)이 있었으나 병자‧정묘 두 난리 후에 나라에서 도난을 염려하여 오대산으로 옮겨갔다고 하였다. ()는 3, 4인이 앉을 만하고, 그 옆에...

고서·고문서(9)

  • 향산록(香山錄)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올나가니 단군의 탄생처에 석굴만 남아있다 산천을 구경하고 만폭동 도라오니 백석층층 천만대에 흐르나니 청계수라 유적대 올나가니 대소유적 분명하다 강선대 올나가니 신선의 하강처라 금강굴 내려오니 서산대사 수도처라 사리각 드러가서 팔상탑 구경하고 내원암 드러가니 산중지...
    구분잡가 | 편저자申泰三
  • 향산록(香山錄)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觀察使) 태슈명을 면면(面面)이 엿스니 셕면에 반됴뎡(半朝庭)은 녯말이 분명(分明)다 화발(花發) 산간(山間)으로 불영 올나가니 두견화(杜䳌花) 만발고 졉동 슯히 운다 빈발암 뎜심(点心)고 단군() 올나가니 단군이 탄쳐(誕生處)에 셕굴(石窟...
    구분잡가 | 편저자한인석
  • 향산록(香山錄)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됴(半朝)뎡은 녯말이 분명(分明)고 화발(花發) 산간(山間)으로 불영(佛迎臺) 올가니 두견화(杜鵑花) 만발고 졉동(接同) 슯히 운다 빈발암 졈심(点心)고 단군() 올나가니 단군(檀君)에 탄쳐(誕生)쳐에 셕굴(石窟)만 남아잇다 산쳔(山川)을 구경...
    구분잡가 | 편저자김천희
  • 數名(관찰사대수명)은 면면이 색엿스니 石面(석면)의 半朝廷(반조졍)은 녯말이 분명하고 花祭(화제)한 山間(산간)으로 佛迎台(불영대) 올나가니 杜鵑花滿發(두견화만발)하고 졉동새 슬피운다 빈바람 點心(점생)하고 올나가니 檀君(단군)에 誕生處(탄생처)의 石窟(석굴)만...
    구분잡가 | 편저자―‧제―핸드포―드
  • 향산록(香山錄)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鵑花) 만발고 졉동(接同) 슯히 운다 빈발암 졈심(点心)고 단군() 올나가니 단군(檀君)에 탄(誕生)쳐에 셕굴(石窟)만 남아잇다 산쳔(山川)을 구경(求景)고 만폭동 도라오니 셕층층(白石層層) 쳔만에 흐르니 쳥계수(淸溪水)라 유젹...
    구분잡가 | 편저자福田正治郞

신문·잡지(2)

  • 민세안재홍전집 : 와馬韓洞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13 1934 7 13 6 3 安民世 안재홍 檀君聖蹟 九月山登覽誌(三) 와馬韓洞 신문 동아일보 1면 6단조간 기행문 여행 직접자료 5권 九月山, , 月精寺 A19340713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檀君聖蹟護維會 事業에 대하여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905 1949 10 3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檀君聖蹟護維會 事業에 대하여 문서류 미상 논설 역사 직접자료 4권 開天節, 檀君, 檀君聖蹟護維會, 塹城壇, 祭天堂, 三聖祠, D19491003미...
    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주제어사전(2)

  • / [역사/고대사]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 패엽리의 구월산에 있는 단군 관련유적. 패엽사(貝葉寺) 앞 높은 봉우리 위에 있다. 이 대상에 똑 바로 선 바위 정면에 ‘()’라 쓴 세 자가 크게 새겨져 있다. 바위가 크고 이끼가 덮여서 글자의 획이 희미한 것이 연대의 오래됨을 말해

  • 구월산 / 九月山 [지리/자연지리]

    장당경(藏唐京), 환인(桓因)·환웅(桓雄)·단군을 모시는 삼성사(三聖祠), 단군이 올라가 나라의 지리를 살폈다는 (), 활쏘는 데 사용한 사궁석(射弓石) 등이 지금도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