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단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13)
사전(891)
- 단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단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김형국의 집에 찾아와 자신이 황해도 구월산 암자에 사는 노인이라며기갈(飢渴)을 면할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한다. 양씨부인이 음식을 챙겨주며 쉴 수 있도록하자, 직접 만나자고 청한다. 원래 김형국과 양씨부인 사이에는 자식이 없을 운수이지만 하늘의 선관들을 감동시킬 정도...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단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문화현(文化縣) 구월산에 있는 삼성사의 주신(主神)이다. 후사가 없어 자식을 비는 김선일 부부의 기자 정성을 갸륵히 여겨 아들 문백을 점지해 준다. 또 후에 선일이 문화 현령에서 고부 군수로 옮겨가는 도중 주막집에 머물 때 남부인의 꿈에 나타나 곧 닥칠 화에 대해 예고...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단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태초에 백성의 우두머리로서 박달나무 아래에서 나왔다. 나라 사람들에게 신으로 받들어져 군장에 올라 평양에 도읍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단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환웅과 웅녀 사이에 태어나 기원전 2333년 아사달에 고조선을 세웠다는 한국 건국 신화의 시조정의환웅과 웅녀 사이에 태어나 기원전 2333년 아사달에 고조선을 세웠다는 한국 건국 신화의 시조 | 문광부표기Dan-gun | MR표기Tan’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8)
- 조선시대 단군묘 인식 [단군묘 인식과 단군릉 수축 운동 | 단국대학교]저자 : 김성환(실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09.10.3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1. 서론 (1) 연구 목적과 범위 (2) 연구 방법과 내용 2. 단군묘의 출현 (1) 단군전승과 단군묘 (2) 세조의 평양 순행과 단군묘
- 일제강점기 단군릉 수축운동 [단군묘 인식과 단군릉 수축 운동 | 단국대학교]저자 : 김성환(실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09.10.3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1.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방법 2. 단군릉수축운동의 전개 (1)《江東誌》의 편찬과 단군릉수축운동 (2) 단군릉수축운동의 주도단체 (3) 단군릉수축운동의
- 역사인식으로 읽는 고조선사-고조선을 둘러싼 한국 상고사 체계에 대한 인식의 시대적 변천과 그 역사적 의미 [고조선을 둘러싼 한국 상고사 체계에 대한 인식의 시대적 변천과 그 역사적 의미 | 한국교원대학교]저자 : 송호정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고조선의 시조인 단군은 고조선의 등장 시기에 대한 관심과 연결되어 시대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인식되었다. 단군은 우리 역사를 통해 각 시기마다 새롭게 재인식되면서 민족의 상징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되풀이해왔다. 고려조선 시대 이래 국조로서의 단군 인식이 정립된 후, 일제 ...
- 민족종교와 민의 철학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 - | 조선대학교]저자 : 이종란, 김현우,이철승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01220이 책은 근대전환기 우리 민중들이 민족사적 비극과 혼란 속에서 겪어야 했고, 또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를 중심에 두고, 한국적 정서와 문화 속에서 전통사상을 계승·발전·극복하며, 또 외래의 어떤 사상과 문물을 수용하거나 거기에 대응했는지 살펴보았다. 그 대상은 민족종교를...
- 고조선문명의 사회사 [고조선문명의 학제적 연구 | 울산대학교]저자 : 신용하 ... | 출판사 : 지식산업사 | 출판일 : 20180801본 연구의 초록으로 다음을 특히 지적할 수 있다. (1) 약 5000년 전 동아시아에는 토인비 등 문명사가들의 기준을 모두 갖춘 고조선(아사달) 문명이라는 또 하나의 인류 고대 독립문명이 실재하였다. 이 거대한 문명은 ‘태양이 맨 먼저 떠오르는 아침의 나라(Land ...
논문(4)
- 중국학계의 단군연구와 그 비판 [중국학계의 단군연구와 그 비판 | 인하대학교]저자 : 서영대 | 게재정보 : 고조선단군학 27권, 게재일 : 2012.11분야정치‧법제 | 유형논문
- 단군신화로 본 고조선 문화의 기원 재인식 [고조선 문화의 형성과 정체성 연구 | 상명대학교]저자 : 임재해 | 게재정보 : 단군학연구 19호, 게재일 : 2008.11분야정치‧법제 | 유형논문
- 한국과 불가리아의 국가 의식 구축에 대한 단군과 탕그라의 역할 [동유럽의 한국학 정착과 확산을 위한 교육·연구 통합시스템 구축 | Sofia University]저자 : 이리나 소티로바 | 게재정보 : Bulgarian historical review유형논문
- 일제의 종교정책과 대종교-탄압과 쇠망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근대 민족종교문화 지식지도 DB구축(1860-1945) | 원광대학교]저자 : 김동환(국학연구소) | 게재정보 : 한국종교 38권, 게재일 : 2015일본제국주의의 팽창 배면에는 그들의 신도(神道)가 있었다. 또한 침략한 국가에 대한 마지막 완성을 신도의 국교화에 두었다. 조선을 병탄한 후, 그들 종교정책의 거시적 목표도 조선의 국교를 신도로 세우는 작업이었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큰 마찰이 대종교(大倧敎)와의 충돌...유형논문
고서·고문서(687)
- 檀君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5386 창가 최신창가집 부악전 22028 檀君 〈mn〉오선악보 있음. 악보 안에 1절 가사가 적혀있다.〈/mn〉 〈#53〉 [ 一、 ] 우리 시조 단군긔서 太白山에 강림하샤 나라집을 챵립하여 우리 자손의게 주시엿네 거룩하고 거룩하다 대황...구분창가
- 단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단군 염 여자 길림성(吉林省) 용정시(龙井市) 길림성 용정시 2 2 단군, 자손, 무궁화, 고국, 친척, 리별, 골육,대표표제어단군 | 성씨염
- 단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단군 최 베이징시(北京市) 중국정법대학 89급 법3 3 2 단군, 주몽, 온작, 박혁거세, 김유신, 계백, 송강, 리순신, 안중...대표표제어단군 | 성씨최
- 檀君記念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5426 창가 최신창가집 부악전 22028 檀君記念 〈mn〉오선 악보 있음. 악보 안에 1절 가사가 적혀있다.〈/mn〉 〈#93〉 굳은 마암 한같 같은 각방 사람이 우리 셩죠 크신 빛에 모혀들어셔 아모거나 같이 하쟈 맹셰하던 날 깁붐으로 노래하여구분창가
- 단군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단군님 김 남자 길림성(吉林省) 용정시(龙井市) 노두구진 화평호동 30-1 2 1 단군님, 피줄, 이어받아, 부친, 옛날...대표표제어단군님 | 성씨김
구술자료(11)
- 마니산과 단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1981.07.17 | 제보자신의하
- 동명성와의 너른 바우와 단군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명성왕에 관해 어린시절에 들었던 얘기 있으면 좀 해달라고 청했더니 해 준 것이다.*조사일시1983-07-20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 제보자오정섭
- 늑대의 후예 몽골인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그거 보시면 약간 회색, 파란색 같은 약간 늑대 색깔이랑 비슷해요. 그래서 거기서부터 시작한 건데. 그거, 그, 단군할아버지 전설, 신화처럼. 그거 하늘에, 뭐지? 늑대가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예요, 늑대가. 처음에 늑대가 왔구, 사슴 한 마리가 또 내려 오구. 그래서국가몽골 | 제보자멀얼게렐 [몽골, 여, 1983년생, 결혼이주 1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백 개의 알을 낳은 시조신 락롱꿘과 어우꺼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이름이에요. 신 이름이에요. [조사자1: 그거 지난번에 해주시긴 하셨는데.] 그쵸? [조사자2: 그게 비엣족의 시조신이에요?] 네. 단군처럼. [조사자2: 단군처럼?] [조사자1: 아니다. 지난 번에 자세하게 안 해주셨다. 그거 해주실 수 있으세요?] 네. 그니까 그국가베트남 | 제보자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늑대 시조(1)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되고 자기 어머니를 기리며 국기에 늑대를 그렸다. 터키, 투르크, 하잘바다, 캐스피안, 아시네, 알타이산, 늑대깃발, 메르베에아한, 한미성,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한국에 단군이야기 있듯이 터키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어요. 근데 이것은, 한국 사람들 조상은국가터키 | 제보자메르베에아한(한미성) [터키, 여, 1989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27)
- 단군신화의 보편적 인간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경철, 게재일 : 201452921 조경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소 2014 단군신화의 보편적 인간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단군신화의 신개념과 홍익인간 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8759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단군신화의 신개념과 홍익인간 사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단군설화의 역사 비평적 해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533176 한국연구재단 단군학회 2005 단군설화의 역사 비평적 해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유형논문 | 게재일2005
- 韓末 日帝下 檀君에 대한 認識의 변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영희, 게재일 : 200403389 서영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04 韓末 日帝下 檀君에 대한 認識의 변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4
- 한말의 檀君運動과 大倧敎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영대, 게재일 : 200105693 서영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연구회 2001 한말의 檀君運動과 大倧敎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241)
- 민세안재홍전집 : 社會進化의 諸段階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518 1930 2 3 56 5 安在鴻 안재홍 朝鮮上古史管見( 六) 社會進化의 諸段階 四. 檀君時代(一) 신문 조선일보 4면3단 석간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檀君時代 A19300203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社會進化의 諸段階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519 1930 2 4 56 6 安在鴻 안재홍 朝鮮上古史管見(七 ) 社會進化의 諸段階 四. 檀君時代(二) 신문 조선일보 4면1단 석간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檀君時代 A19300204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社會進化의 諸段階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526 1930 2 12 56 13 安在鴻 안재홍 朝鮮上古史管見( 十四) 社會進化의 諸段階 四.檀君時代小觀(上) 신문 조선일보 4면1단 석간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檀君 두레 A19300212조...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學徒로서의가질態度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600 1930 7 5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檀君과朝鮮史 學徒로서의가질態度 신문 조선일보 1면1단석간 사설 역사 직접자료 4권 아씨, 檀君 A19300705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端郡王의得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쳥국 단군왕이 의화단비도건으로 신강에 감금이되얏더니 근일소문을 거즉 단군왕이 소에 가지안코 현금 령하에잇셔 신강슌무연과가 졀강에 거쳐케즉 단왕이 쳐소협다야 화원을 널이베풀고 월의 경비 은일쳔량은 신강슌무가 지공고 츌입시에 록 인교를 타고 위의...게재일1907년 6월 6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멀티미디어(226)
-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수업내용/목표 ‘한국 신종교’라는 범주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단군 신앙과 동학의 종교사적 경관과 맥락을 살핀 후에, 현재의 사회민속학적 맥락에서 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수업내용/목표 ‘한국 신종교’라는 범주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단군 신앙과 동학의 종교사적 경관과 맥락을 살핀 후에, 현재의 사회민속학적 맥락에서 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수업내용/목표 ‘한국 신종교’라는 범주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단군 신앙과 동학의 종교사적 경관과 맥락을 살핀 후에, 현재의 사회민속학적 맥락에서 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수업내용/목표 ‘한국 신종교’라는 범주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단군 신앙과 동학의 종교사적 경관과 맥락을 살핀 후에, 현재의 사회민속학적 맥락에서 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수업내용/목표 ‘한국 신종교’라는 범주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단군 신앙과 동학의 종교사적 경관과 맥락을 살핀 후에, 현재의 사회민속학적 맥락에서 천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연구결과보고서(3)
- 단군묘 인식과 단군릉 수축 운동 결과보고서 [단군묘 인식과 단군릉 수축 운동 | 단국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중국학계의 단군연구와 그 비판 결과보고서 [중국학계의 단군연구와 그 비판 | 인하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고고학적 관점에서 본 단군신화의 편년 연구 결과보고서 [고고학적 관점에서 본 단군신화의 편년 연구 | 단국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115)
- 10월의 행사 단군 개국 4305주년 개천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10월의 행사 단군 개국 4305주년 개천절 10월의 행사 단군 개국 4305주년 개천절 교육 문헌 교육과정 학교규율ㆍ행사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자 | 사료철명문교월보
- (논단) 개천절에 생각한다 -단군신화의 의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논단) 개천절에 생각한다 -단군신화의 의미- (논단) 개천절에 생각한다 -단군신화의 의미- (論壇) 開天節에 생각한다 -檀君神話의 의미- 교육 문헌 교육행정 교육이...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철준 | 사료철명문교행정
- 이영근;李英根;목촌영근;木村英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617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48면 이영근;李英根;목촌영근;木村英根 경기도 장단군 장도면 두매리;경기도 장단군 장단면 나산리 제4회 1942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창순;安昌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026 남한 경성 경성법정전문학교 제1회 졸업생사진 기념첩 1929―03 0 안창순;安昌淳 경기도 장단군 진남면 석곶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정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본청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6336 남한 경성 덕성여자실업학교 1-25 제8회 졸업기념 1943 0 송본청자 경기도 장단군 진동면 초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덕성여자실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0)
-
단군묘 인식과 단군릉 수축 운동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성환 | 단국대학교 | 2007 | 국내 | 경기
-
중국학계의 단군연구와 그 비판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서영대 | 인하대학교 | 2009 | 국내 | 인천
-
고고학적 관점에서 본 단군신화의 편년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도상 | 단국대학교 | 2007 | 국내 | 경기
-
고조선을 둘러싼 한국 상고사 체계에 대한 인식의 시대적 변천과 그 역사적 의미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송호정 | 한국교원대학교 | 2019 | 국내 | 충북
-
한국 선도사상의 3수문화-선도문헌과 대종교계열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조남호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2013 | 국내 | 충남
주제어사전(86)
-
단군 / 檀君 [종교·철학]
고조선의 첫 임금, 또는 고조선의 역대 왕들을 총칭하는 일반 명사. 우리민족의 시조로 받들어진다. 단군 이해는 세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실증사학을 중시하는 역사학계에서는 단군을 고조선의 첫임금으로 이해, 민족사관의 입장에서는 단군을 고조선의 역대 왕들을 총칭하는
-
단군고기 / 檀君古記 [역사/고대사]
단군신화와 고조선의 개국사실을 기록한 역사서. 이 『고기』는 『제왕운기(帝王韻紀)』·『응제시주(應製詩註)』·『세종실록』 지리지에도 거의 비슷하게 인용되었다. 다만, 『제왕운기』에는 단군신화가 『본기(本紀)』의 인용인 것으로 되어 있는데, 환웅천왕이 손녀로 하여금 약
-
단군대 / 檀君臺 [역사/고대사]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 패엽리의 구월산에 있는 단군 관련유적. 패엽사(貝葉寺) 앞 높은 봉우리 위에 있다. 이 대상에 똑 바로 선 바위 정면에 ‘檀君臺(단군대)’라 쓴 세 자가 크게 새겨져 있다. 바위가 크고 이끼가 덮여서 글자의 획이 희미한 것이 연대의 오래됨을 말해
-
단군세기 / 檀君世記 [역사/고대사]
1363년 이암이 단군조선에 관해 저술한 역사서. 연대기. 계연수(桂延壽)의 ≪환단고기 桓檀古記≫에 수록되어 있다. 일찍이 이암은 고려시대 ≪진역유기 震域遺記≫를 저술한 이명(李茗)과 ≪북부여기 北夫餘記≫의 저자 범장(范樟) 등과 더불어 경기도 양주 천보산(天寶山)
-
단군신앙 / 檀君信仰 [종교·철학]
우리나라 고유 신앙 가운데 하나. 환인, 환웅, 단군 등을 숭배하는 신앙이다. 천신과 산천신을 숭배하는 민족신앙의 대표적인 예이다. 단군신앙이 의존하는 경전으로는 <천부경> <삼일신고><참전경> 등이 있다. 근세에 와서 단군신앙은 여러 가지 이름의 교단이 창립되어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