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닥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9)
사전(133)
- 닥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잎사귀가 갈라지지 않으며 톱니도 다른 품종보다 드물다. 이것도 외피의 색깔에 따라 흑과 청의 두 종류로 세분된다. 닥나무는 옛날에는 저포라고 불리는 일종의 피륙을 짜는 데 사용되었고, 제지원료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시대 이후인 것으로 믿어진다. 조선...
- 산닥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창복, 향문사, 1982)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경남 남해군 고현면 대곡리에 있는 산닥나무 자생지. 천연기념물 제152호. 팥꽃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높이가 1m에 달하며, 소잎은 마주나며 난...
- 남해산닥나무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대곡리에 있는 산닥나무 자생지. [내용] 천연기념물 제152호. 면적 9,917㎡. 현재 화방사(花芳寺) 입구의 왼쪽 구릉과 계곡을 중심으로 하여 군생하고 있는데, 이곳은 배수가 잘 되고 그늘진 편이다...연계항목남해산닥나무자생지(南海산닥나무自生地)
- 화방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남해군의 3대사찰 중 하나이며, 절 주위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산닥나무가 자생하고 있다.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6) 『사향록(思鄕錄)』(향토문화연구회, 1973) ...이칭별칭연죽사(煙竹寺)|영장사(靈藏寺)
- 화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전기 일본으로부터 수입해 온 왜저(倭楮: 일본의 닥나무)를 충청도 태안, 전라도 진도, 경상도 남해와 하동 등지에서 재배하였으며 그것을 재료로 한 왜지(倭紙)를 생산하기도 하였다. 또한 세종조 때에는 『강목통감(綱目通鑑)』을 왜지로 인출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
고서·고문서(56)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방실(方失)을 경주(慶州)에 보내 먹을 것을 구했다. ○기성(箕星)의 얼굴색을 보니 습증(濕證)이 생긴 것 같다. ○판관에게 편지를 보내 안봉사(安峰寺)에 분배하는 닥나무를 줄여달라고 했하니, 그리하겠다고 한다. 판관에게 ∼ 그리하겠다고 한다. : 승들에게 닥나무를 나...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1588년 호노(戶奴) 애금(挨金)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88년(선조21) 호노(戶奴) 애금(挨金)이 고 이영필(李永弼)의 처로부터 밭을 사고 받은 토지 거래 계약서이다. 이영필의 처는 이사를 가느라 남편이 상속받은 정혜동 소재 보리밭 2섬지기를 동쪽 산림에 있는 닥나무밭과 함께 팔았다. 2섬지기는 종자 2섬을 뿌릴 수...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3_355_234 1563년8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3년 8월 27일 계유. ○당(堂)에 머물렀다. ○혜자(惠慈)가 동아[冬瓜]‧무청[菁莖]‧닥나무 대[楮骨]를 보냈다. ○김종련(金宗連)이 홍시 110개를 보냈다. 廾七日癸酉。 廾七日...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1939년 조상빈(趙相賓) 소작계약서(小作契約書)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939년 1월 4일, 조상빈(趙相賓)이 지주(地主) 미상에게 작성해 준 소작계약서(小作契約書)이다. 계약의 내용은 조상빈이 유명산에 있는 토지를 소작하되, 밭에 대한 소작료는 8석, 논에 대한 소작료도 8석으로 정하며, 이 토지에 있는 닥나무와 과수나무는 지주가 취...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추수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나무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796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나무타령 〈ad〉洪川郡西面牟谷里四四六番地〈/ad〉 〈in〉金春岡君報〈/in〉 〈#489〉 영감첨지 감!나무 십리 절반 오리나무 방구 는 나무 의 사촌 닥나무 아흔 지나 백양나무 서울...구분창가
구술자료(2)
- 경상남도 합천군_궁굴레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합천 20) 궁굴레.mp3 *궁굴레소리는 의령군 동부 7개면이 문화중심인 논매기소리이다. *묘산면의 닥나무를 매개로 문종이 생산으로 유명한 의령군 부림면 방면의 논매기소리가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녹음지역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화양리, 관기리, 도옥리 | 녹음날짜2016.6.10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아들 눈에 비친 부친의 집안과 삶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마당에다 감나무, 뽕나무, 닥나무, 또 뭐 이런 어떤 잡목 들이 많았어요. 그럼 뭐 어떤 것은 딱딱하고 어떤 것은 능청능청한 것까지 다양해. [조사자 : 어떤 게 안 아픈가요? 그래도 좀 들 아픈 걸 잘라야 할 거 아니에요.] 그러고 싶죠잉? 그러면 딱- 아버 지가 때조사지역전남 순천 | 조사일2014년 7월 11일
신문·잡지(4)
- 農業槪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그나무 위 에 들어가 온긔를통고 낙엽은 썩어셔 걸음이 되야 츄슈가 잘되나니그닙히 널은슈목은 나무가 뎨일이오 한 밧가온 듬은듬은 게 삼간에 한 쥬식 일앙을 라가며 나무와 닥나무를 심으고 그이에 곡식을 심어도 잘되나니라 뎐곡에 이것뎌것 글우를 밧구어...게재일1907년 9월 12일 | 기사분류기타
- 農業槪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에 병든초목을 소케 며 흉년을 도로케 풍년이 되게니라 鷄糞 의 은 그 셩질이 극히 렬고 능히 음을 덥게고 오습를건죠게 며 벌에 쥭이 더욱묘고 각죵 농사에 다 맛당고 굿고 억센에 쓴즉 연야지고 논에 쓴즉 열야지고 닥나무 모시...게재일1907년 10월 20일 | 기사분류기타
- 선데이서울_1971_04_2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닥나무 두들 반세기의 엘레지 64 광고 66 봄엔 두통 여름엔 열병 북극이 그리운 사나이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 전남교육_1975_05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으로 세계의 낙원을 이룩한 덴마아크-유달영 저 <새역사를 위하여>를 읽고 정상운 50 변론학술지도 소고 (2) 유철호 54 제지용수인 삼지닥나무...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5
멀티미디어(4)
- 조선전기 닥나무[楮]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시계열 통합 신증/세종/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078_조선전기_닥나무[楮] 경제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일본산닥나무[倭楮]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778_18세기_중반_일본산닥나무[倭楮] 경제_1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닥나무[楮]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088_토의_15세기_중반_닥나무[楮] 경제_143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닥나무[楮]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O/X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681_16세기_초반_닥나무[楮] 경제_736_16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5)
-
닥나무 / Broussonetia kazinoki SIEB [과학/식물]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한자어로는 저목(楮木)이라고 한다. 학명은 Broussonetia kazinoki SIEB.이다. 전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높이는 약 3m 정도에 달한다. 작은 가지는 갈색 또는 자줏빛이 돌며, 짧은 털이 밀생하지만 곧 떨어진다. 잎의 길이는
-
산닥나무 / 山─ [과학/식물]
팥꽃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높이가 1m에 달하며 소지는 털이 없고 적갈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다. 길이 1.5∼6㎝, 너비 1∼3㎝로서, 표면은 황록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은 양성으로서 황색이고 7∼8월에 핀다.
-
저주지 / 楮注紙 [생활]
승정원의 승지 또는 주서 등이 국왕의 명령을 받아 적거나 계사 따위를 적을 때에 쓰는 주지의 하나로 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여 만든 종이. 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여 만든 주지의 일종이나 가례, 책례, 국장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귀중품이나 문서를 싸는
-
초주지 / 草注紙 [경제·산업]
주문을 쓰는 데 사용하는 고급 종이의 한 종류. 닥나무로 만든 저주지와 함께 주문을 쓰는 데 사용하였다. 초주지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재료는 알 수 없으나 저주지에 비해 가격이 비싼 것으로 보아 매우 고급의 종이였음을 알 수 있다. 초주지는 초벌만으로 도배를 끝내는
-
저생전 / 楮生傳 [문학/한문학]
고려말 조선초에 이첨(李詹)이 지은 가전체 소설. 종이를 의인화한 작품으로 『동문선(東文選)』권101에 실려 있다. 내용은 서두(序頭)·선계(先系)·사적(事蹟)·후계(後系)·평결(評結)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서두에서 저생의 성은 저(楮, 닥나무), 이름은 백(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