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다케조에 신이치로” 에 대한 검색결과 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

사전(38)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1842년 3월 27일 肥後國 天草郡 上村(현재 熊本현 天草郡 大矢野町) 출생이며, 竹添筍園의 4남으로 태어났다. 휘는 光鴻이고, 호는 井井이다. 빈한한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어렸을 때부터 한시(漢詩)를 능숙하게 지었다. 21세 때에는 한학시습관 숙장(漢學時習館 塾長)이...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사후 처리를 위해서 8월 10일 시모노세키(下關)를 떠나 8월 12일 인천에 도착하였다. 뒤이어 16일까지는 등의 수행원, 군함 4척, 수송선 3척, 육군 1개 대대가 인천에 집결하고, 혼성여단이 후쿠오카(福岡)에서 출진준비를 하였다. 1882년 11월 6일...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竹添進一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216 인물 (竹添進一郞) 竹添進一郞 1842 1917 일본 메이지시대의 외교관‧한학자‧문학박사. 자는 고코(光鴻), 호는 세이세이(井井). 구마모토(態本)현 출신. 1875년
    유형분류인물
  • 가사하라 쇼키치(笠原昌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박영효(朴泳孝) 일행이 기차를 타고 요코하마(橫濱)에서 도쿄(東京)로 갔을 때, 가사하라 쇼키치는 외무성(外務省) 소닌고요가카리(奏任御用掛)로서 외무대서기관(外務大書記官) (竹添進一郞) 등과 함께 일행을 영접하였다. 박영효(朴泳孝)는 귀국 후 가사하라...
    유형분류인물
  • 지가 마사토시(千賀方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박영효(朴泳孝) 일행이 기차를 타고 요코하마(橫濱)에서 도쿄(東京)로 갔을 때, 지가 마사토시가 외무성 일등속(一等屬)으로서 외무성 대서기관(大書記官) (竹添進一郞) 등과 함께 일행을 맞이하였다. 朴泳孝, 『使和記略』 한국고전번역원, 한...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4)

  • 의 갑신정변 보고서 제출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월 4일부터 7일 사이 발생한 사건과 관련하여 제출한 사건진술서 내용과 조선의 반박. 갑신정변, (竹添進一郞), 푸트(L. H. Foote), 개화파 1. 가 미국공사에게 보낸 영문편지(1884.12.8) 2. 조선 외아문이 일본 대신에게...
    대표표제어다케조에의 갑신정변 보고서 제출 | 발신자Budler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갑신정변 직후 조선 동향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병호, (竹添進一郞), 거중조정, 묄렌도르프(P. G. Möllendorff), 제물포 J.No.149
    대표표제어갑신정변 직후 조선 동향에 관한 건 | 발신자Budler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도쿄 베를린 No.2 A.1279 보고 일본 외무대신 이노우에가 1884년 12월 30일에 조선에 도착하여 조선 정부와 협상. 갑신정변, 한성조약,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우다청(吳大澂), (竹添進一郞), 곤도 마스키(近藤眞鋤...
    대표표제어한성조약 체결 | 발신자Dönhoff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 임오군란 배상금 지불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배상해야 할 배상금이 11월 3일 일본 천황 탄신축하연과 관련하여 50만엔에서 40만엔을 면제하였고, 현재 조선의 미지불 배상금은 25000엔. 임오군란, (竹添進一郞), 배상금, 제물포조약, 일본 천황 탄신축하연 * 독일어 원문 확인 불가
    대표표제어임오군란 배상금 지불에 관한 건 | 발신자Zembsch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한성조약 체결 및 일본 동향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노우에가 조선과 체결한 조약의 관보 발표와 협상과정. 갑신정변, 한성조약,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조병호, 우다청(吳大澂), 개화파, (竹添進一郞), 천진조약, 군대철수, 청불전쟁, 다카시마 도모노스케(高島鞆之助), 가바야마 스케노리(樺山資紀),...
    대표표제어한성조약 체결 및 일본 동향 보고 | 발신자Dönhoff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주제어사전(2)

  • / 竹添進一郞 [정치·법제/외교]

    1842-1917. 일본 외교관, 갑신정변 당시 조선 주재 일본공사. 조선의 개화파 지원. 1882년 11월 6일 조선국 변리공사가 되어서 조선으로 파견되었다. 1883년에는 외무독판 민영목과 조일해저전선부설조약을 체결하기도 하였다. 는 갑신정변의 사후 수습을

  • 주한일본공사관 / [정치·법제/외교]

    1880년에 서울데 설립된 일본 외교기관으로서 1905년 을사늑약 이후 통감부로 이관됨. 역대 주한 공사를 역임한 사람은 초대 하나부사 요시모토, , 곤도 마스케, 가와키타 도시스케, 가지야마 데이스케, 오이시 마사미, 오토리 게이스케, 이노우에 가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