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다식” 에 대한 검색결과 3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5)

사전(1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받들고, 소형 등을 신라 문무왕에게 파견하여 고구려를 부흥하게 하여 영세에 충성을 다할 번병(藩屛)이 되게 해달라고 교섭하였다. 이에 문무왕은 안승을 고구려왕으로 책명(冊命)하고 선대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으며, 쌀 2,000석과 갑구마(甲具馬) 1필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쌀‧밤‧콩 등의 곡물을 가루 내어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판에 박아서 글자‧기하문양‧꽃문양 등이 양각으로 나타나게 만든 음식. [내용] 의례상(儀禮床)에 놓는 필수 과정류(菓飣類)의 하나이다. 이 언제부터 있어 왔는지는...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쌀‧밤‧콩 등의 곡물을 가루 내어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서 글자‧기하문양‧꽃문양 등이 양각으로 나타나게 만든 음식.
    정의쌀‧밤‧콩 등의 곡물을 가루 내어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서 글자‧기하문양‧꽃문양 등이 양각으로 나타나게 만든 음식.[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asik | MR표기tas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O4_S_0002 과자 祀典, 木匡, 大小龍團, 煎湯, 點茶, 倭茶, 茶餅, 龍團, 觚之不觚 國家, 宋朝, 武夷 丁公言, 蔡君謨 家禮, 坡詩 S_06_01_101 성호사설 6권 1장 101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6권 1장 10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유밀과(油蜜果)의 한 가지. 녹말‧송화‧밤‧검은깨 등의 가루를 꿀에 반죽하여 판에 찍어 낸다. 下惠橡實 寔出眷念 伏感 無以仰謝, 서명균(徐命均), 47-169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32)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萬物門3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國家祀典, 有. 用米麪和蜜, 木匡中築, 作團餠, 人不解其名義. 余謂, 此宋朝大小龍團之訛也. 茶始煎湯, 《家禮》用點茶, 則以茶末, 投之盞中, 沃以湯水, 攪以茶筅也. 今之倭茶, 皆如此. 丁公言、蔡君謨出奇, 爲茶餠, 獻之朝, 遂成同風. 坡詩所謂“武夷溪邊粟粒芽, 前...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惟酒無量,不及亂。沽酒市脯不食。不撤薑食。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390 論語古今注 卷五 ITKC_MP_0597A_0390_010_0060 惟酒無量,不及亂。沽酒市脯不食。不撤薑食。不。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
    권차명論語古今注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5521 중국 정서 고려도경 雜俗2 漁 188 인종(仁宗) 1 1123 國俗有羊豕 非王公貴人不食 細民海品 故有鰌鰒蚌珠母蝦王文蛤紫蟹蠣房龜脚 以至海藻昆布 貴賤通嗜 多勝食氣 然而臭腥味鹹 久亦可猒也 海人 每至潮落 矴舟島嶼而捕魚 然不善...
    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 天在山中,大畜,君子以 【劉瓛本作志】前言往行,以畜其德。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710 周易四箋 卷七 ITKC_MP_0597A_0710_030_0270 天在山中,大畜,君子以 【劉瓛本作志】前言往行,以畜其德。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
    권차명周易四箋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

  • 고아면 및 동 주변의 지명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식동 조사를 대강 마치고 나오는 길에, 제보 받은 바 있는 김문상씨를 방문하여, 이 지역에 관한 지식을 더 정확히 얻고자 했다. 지명에 얽힌 이야기들을 구연해 주었다. *
    조사일시1984-07-11 | 조사장소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 | 제보자김문상
  • 동 동제와 얽힌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4-07-11 | 조사장소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 | 제보자홍헌학

신문·잡지(11)

  • 學학問문의 必필 要 요 공긔압력시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도다 물속에왕통을 잠그고 솜방이로 통속공긔를면 물이통속으로 올나오나니 이통속에 공긔가업고 통밧게 공긔가 물을눌너셔 통속으로들어가게이니 이것은 물춍이라것인 비유면 국슈틀을 눌으면 구멍마다 국슈가나오며 판을눌으면 큰구멍과 젹은구멍에 이들어가나...
    게재일1907년 6월 1일 | 기사분류기타
  • 外道片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인 은결이나 부졍명 일호도 업스니 례도 업스면 슈구에 무엇먹고 거오릿가 원이 올연독좌 삼일만에 간신이 빌어셔 불너들엿더라 원이 언으셩 불으게드면 그셩 답되 우리는 아모나라 사인 이에 는고로 구실은 거니와 달은일은 샹관업스니 안이간다 고...
    게재일1903년 1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59 신념의 원로정객 60 박학의 신사 61 정계의 혜성 62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0
  • 遊學生寄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유학박봉씨가 묵셔가국에가잇동포의 졍형을 긔별편지 젼호속 일품갑 삼십젼은 곳 신화삼십젼이나 긔일신상 호구기도 극락거던 함을며 슈구잇쟈 견기 극란고 한 쌀과 고기 구지부득이오 그곳풍속이 원 옥슈슈로 량식인 쌀밥먹던창에 참아먹을슈업고
    게재일1907년 5월 23일 | 기사분류기타
  • 48 천리향 만리향 김상대 52 가슴 아픈 이별, 외할머니의 민영일 56 99센트 오세...
    발행국가미국 | 발행연도2006

기타자료(5)

  • 고구려가 ()을 신라에 보내어 번병(藩屛)이 될 것을 원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고구려가 ()을 신라에 보내어 번병(藩屛)이 될 것을 원하다 교류담당 670년(庚午/신라 문무왕 10/唐 總章 3, 咸亨 1/倭 天智 9) 신라 ...
    대표표제어고구려가 다식(多式)을 신라에 보내어 번병(藩屛)이 될 것을 원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0년(庚午/신라 문무왕 10/唐 總章 3, 咸亨 1/倭 天智 9)
  • 검모잠이 등을 문무왕에게 보내어 아뢴 말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관련 외교문서 신라가 국내 제국에게 보낸 외교문서 외교문서 고구려(보덕국)→신라 검모잠이 등을 문무왕에게 보내어 아뢴 말 【개요】 검모잠...
    대표표제어검모잠이 다식 등을 문무왕에게 보내어 아뢴 말 | 주제분류외교문서
  • 성술생;成戌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0471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88면 성술생;成戌生 경북 선산군 고아면 동 111 제21회 4266년 3월 6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해동;權海東;安本海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0780 남한 경북 김천고등보통학교 2-12 校友會誌 제5집 1941―03―03 45면 권해동;權海東;安本海東 선산군 고아면 동 제2회 193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김천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토(淵淨土)의 아들인 안승(安勝)을 보고 한성(漢城) 안으로 맞아들여 받들어 임금으로 삼았다. 소형(小兄) () 등을 보내 슬프게 아뢰어 말하길, “망한 나라를 일으키고 끊어진 세대를 잇게 하는 것이 천하의 올바른 도리이니, 오직 대국에게 이것을 바랄 뿐입니다....
    대표표제어검모잠이 신라에 귀부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0년(庚午/신라 문무왕 10/唐 總章 3, 咸亨 1/倭 天智 9/庚午)

주제어사전(4)

  • / [생활/식생활]

    쌀·밤·콩 등의 곡물을 가루 내어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판에 박아서 글자·기하문양·꽃문양 등이 양각으로 나타나게 만든 음식. 의례상(儀禮床)에 놓는 필수 과정류(菓飣類)의 하나이다. 이 언제부터 있어 왔는지는 잘 알 수 없다. ≪목은집 牧隱集≫에 팔관회(八

  • 전오익 / 全五益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전씨대동보>에 의하면, 그는 인조 때 박학한 학자로서 이름을 떨쳤다고 전한다.

  • 이덕무 / 李德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41∼1793). 박학하고 문장에 개성이 뚜렷하며 글씨와 그림에 능했으나, 서자라서 크게 등용되지 못했다. 박제가·유득공·이서구와 함께《건연집》이라는 사가시집을 내었고, 박지원·홍대용 등 북학파실학자들과 교유하였으며, 정조 때 초대 규장각

  • 고운당필기 / 古芸堂筆記 [문학/한문학]

    ·신라 그리고 태봉(泰封)과 후백제에 이르기까지 현존하는 작품을 시대순으로 19편을 소개하고 있다. 『고운당필기』의 「항 炕」·「경도시속(京都時俗)」·「옥저예부(沃沮預婦)」·「세시풍속」 등은 우리 나라의 풍속을, 「이엄(耳掩)」·「절풍(折風)」·「약과(藥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