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다리밟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
사전(61)
- 다리밟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리빼앗기’라고도 한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에는 이것이 고려 이래의 풍속이라 하고, 답교지희(踏橋之戱)라는 이름을 적고 있다. 조선시대의 기록 등은 당나라 이래의 중국 다리밟기의 기록들을 인용하고, 그것이 중국에서 유래하였다...이칭별칭답교
- 다리밟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월 대보름날 밤에 다리[橋]를 밟는 풍속.정의정월 대보름날 밤에 다리[橋]를 밟는 풍속.[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ari bapgi | MR표기tari papk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놋다리밟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상북도 안동‧의성 등지에서 음력 정월 보름 밤에 부녀자들이 하는 민속놀이의 하나정의경상북도 안동‧의성 등지에서 음력 정월 보름 밤에 부녀자들이 하는 민속놀이의 하나 | 문광부표기notdari bapgi | MR표기nottari papk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안동놋다리밟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위군, 동쪽은 영덕에 이르고 있어서 주로 내륙지방에 전승되고 있다. 놀이의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동국세시기≫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오랫동안 전승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놋다리밟기의 유래담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연계항목안동놋다리밟기(安東놋다리밟기)
- 송파다리밟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송파구 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내용]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호. ‘답교(踏橋)놀이’라고도 한다. 다리밟기 풍습은 전통적으로 경향(京鄕) 각지에서 정월대보름을 전후해서 행해지던 세시...연계항목송파다리밟기(松坡다리밟기)
고서·고문서(1)
- 함흥역전 및 함흥 만세교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설하였다. 함흥 풍속의 다리밟기는 정월대보름에 만세교를 밟으면 한 해동안 건강하며 재액을 물리칠 수 있다는 풍속이다. 일제 강점기에 들어와 1910년 10월 1일에 공포된 총독부 지방관제에 의하여 함흥부는 군으로 개편되었지만 계속 도청 소재지로서 함경남도의 행정 중심지...자료명함흥역전 및 함흥 만세교 | 발행처咸興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20)
- 안동 놋다리 밟기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도 김명환 선생님댁에서 복사한 것이다. 2) 1984년 12월 29일 경상북도 시도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안동 놋다리밟기의 1983년 조사자료로 가치가 있다. 3) 음질 하. 안동 놋다리밟기 민요 1983-10-2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채조
- 안동 놋다리 밟기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도 김명환 선생님댁에서 복사한 것이다. 2) 1984년 12월 29일 경상북도 시도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안동 놋다리밟기의 1983년 조사자료로 가치가 있다. 3) 음질 하. 안동 놋다리밟기 민요 1983-10-2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응하
- 안동 놋다리 밟기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도 김명환 선생님댁에서 복사한 것이다. 2) 1984년 12월 29일 경상북도 시도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안동 놋다리밟기의 1983년 조사자료로 가치가 있다. 3) 음질 하. 안동 놋다리밟기 민요 1983-10-2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신재균
- 안동 놋다리 밟기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도 김명환 선생님댁에서 복사한 것이다. 2) 1984년 12월 29일 경상북도 시도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안동 놋다리밟기의 1983년 조사자료로 가치가 있다. 3) 음질 하. 안동 놋다리밟기 민요 1983-10-2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남조
- 안동 놋다리 밟기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도 김명환 선생님댁에서 복사한 것이다. 2) 1984년 12월 29일 경상북도 시도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안동 놋다리밟기의 1983년 조사자료로 가치가 있다. 3) 음질 하. 안동 놋다리밟기 민요 1983-10-2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윤현
신문·잡지(1)
- 은하수_1988_06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사르트르의 유혹 전소령 44 성숙의 미 송림 47 놋다리밟기 리은우 48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8
주제어사전(6)
-
다리밟기 / [생활/민속]
정월대보름날 밤에 다리[橋]를 밟는 풍속. 우리 나라에서 특히 다리밟기를 하면 다리병을 앓지 않는다는 관념이 강한 것은 다리[脚]와 다리[橋]의 발음이 같은 데서 생긴 속신적 관습이며, 언어질병적(言語疾病的)인 심리가 작용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홍석모(洪錫謨)의
-
송파다리밟기 / 松坡─ [생활/민속]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호. ‘답교(踏橋)놀이’라고도 한다. 다리밟기 풍습은 전통적으로 경향(京鄕) 각지에서 정월대보름을 전후해서 행해지던 세시풍속으로 한 해 동안의 액운을 방지하고 다리의 병을 예방하며 또한 무병하기를 기원하
-
안동놋다리밟기 / 安東─ [생활/민속]
경상북도 안동지방에 전승되는 부녀자들의 민속놀이.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7호. 음력 정월대보름날 밤에 행하여지며, 동교(銅橋)·기와밟기·인다리[人橋]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분포지역은 안동을 중심으로 하여 서쪽은 군위군, 동쪽은 영덕에 이르고 있어서 주로 내륙지방에 전
-
기와밟기 / [생활/민속]
경상북도 의성과 전라북도 정읍·임실 등지에서 행하여지는 민속놀이. 음력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는 부녀자들의 집단놀이이다. 의성에서는 기와밟기·꽃게싸움, 안동에서는 놋다리밟기, 전라도에서는 지와밟기, 그 밖의 지방에서는 지네밟기·재밟기 등으로도 불린다. 놀이의 형태와 시
-
밀양법흥상원놀이 / 密陽法興上元─ [생활/민속]
을 지나던 도승(道僧)의 지시대로 당목에 짝을 지어주고 당사(堂祠)를 만들어 법고(法鼓)를 안치하고 대보름날 동제를 모시자 태평해졌다는 것이다. 놀이의 내용은 앞마당인 용왕제에 이어 지신밟기와 신랑 다루기를 한다. 다음 놀이마당에서는 윷놀이·널뛰기·다리밟기를 하며, 뒷